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pter 'Saving Lives' from The Canonical Scripture: Regarding the Power and Wisdom of Kang Jeungsan

『전경(典經)』 「제생(濟生)」편 연구- 강증산의 권능(權能)·지혜(智慧)와 관련하여 -

  • Ko Nam-sik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2.04.25
  • Accepted : 2022.06.08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In the context of Daesoon Jinrihoe's The Canonical Scripture, 'Saving Lives' consists of one 44 verse-long chapter. The content covers Kang Jeungsan's authority and foreknowledge, and most of the passages are about the treatment of diseases. Other passages are about relief from natural disasters, the resolution of conflicts in personnel affairs, and wisdom as applied to saving lives. The treatment of diseases focuses on solving the ailments faced by lower classes during that time period. Kang Jeungsan relieved the damage suffered by the people from natural phenomena as caused by the three disasters which resulted from water, fire, and wind. He also worked to solve other difficulties experienced in human societ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wisdom' here is one of being high-seeing and far-thinking in Saving Lives. That is the foundation upon which wisdom can save oneself and others. After comparing each chapter of The Canonical Scripture with the parallel verses from the 6th edition of Daesoon Jeongye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ving lives as performed by Kang Jeungsan became an unprecedented and absolute act of relieving the common people during a time when they were suffering from great harms, hardships, and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v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the verses were distributed into seven parts to achieve the purpose indicated by the titles of each section which related to specific powers exhibited by Kang Jeungsan in his interactions with Heaven, Earth and Humanity. Third, the second chapter of 'Saving Lives' includes not only treatment of disease, natural disasters, and hardships, but also relief meant to lessen the burdens people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ves while living within the boundaries of society. This is different from the respective section from the 6th edition of Daesoon Jeongyeong which, by way of contrast, only contained verse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disease. The contents of 'Saving Liv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deals with the relief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is thereby different from the chapter on healing from the Daesoon Jeongyeong, which merely dealt with the healing of diseases. Therefore, this broader range of meanings can be taken to be a unique feature of The Canonical Scripture.

「제생」편은 총 44절 1개 장으로 강증산(姜甑山, 1871~1909) 성사(聖師)의 권지(權智)에 기반한 내용으로 병의 치료에 대한 구절이 대부분이며 이외에 자연 재해(災害)로부터의 구제, 일상 인사(人事)에서의 갈등의 해소, 제생을 위한 인간 각자의 지혜의 계발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현실에서 세계가 팬데믹 병겁을 겪기도 했지만, 병의 치료는 당대 하층민들이 겪는 병고(病苦)를 긍휼히 여겨 치료해준 내용들이다. 강증산은 권능과 지혜로 수화풍(水火風) 삼재(三災)로 인해 자연에서 일어나는 순조롭지 않은 현상으로부터 민중이 겪는 피해들을 구원하고 구제해주었으며, 인간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들을 해소해주었다. 또 「제생」편에 지혜라는 것은 세상을 보는 높은 견해와 미래에 일어날 일들에 대해서 생각해 대처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정의 하에 기록된 내용은, 지혜가 스스로 자신을 구제해 나갈 수 있고 나아가 남을 구제해 줄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생」편 구절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경』 각 편에 나타난 강증산의 제생 양상을 찾아본 후 구절의 변이를 『대순전경』 6판과 비교해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증산의 제생은 조선 말기의 일상에서 위정자들의 폐해로 고난 및 고통에 처한 당대 일반 민중들을 구제하는 전무후무한 절대적 행적임을 볼 수 있다. 둘째, 『전경』 일곱 개의 편에 천지인으로 용사(用事)된 강증산의 권능에 의한 제생 관련 구절들이 분포되어 각 편의 제목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루고 있다. 셋째, 「제생」편은 단지 치병만 기록된 『대순전경』 6판과 다르게 자연재해로 인한 민중들의 생활의 어려움, 사회라는 울타리 안에서 살며 일상사에서 겪는 당대 정치사회적 현실과 관련된 고난과 고충을 구원해준 것이 특질이다. 이렇게 광범위한 범주에서 구원과 구제의 내용을 『전경』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병만을 치료해준 일을 담고 있는 『대순전경』의 치병 장과 구분되는 면으로 『전경』 「제생」편만이 갖고 있는 특장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3.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4. 「대순전경」 6판, 서울: 동도교 증산교회 본부, 1965.
  5. 「大學」
  6. 「書傳」
  7. 고남식, 「유도(有道)의 확립과 안(安)의 의미: 안심(安心)안신(安身)의 안과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7, 1999.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9.7..003
  8.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9. 고남식, 「천지공사를 중심으로 본 「전경」과 증산 관련 경전의 경향」, 「신종교연구」 16, 2007.
  10.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https://doi.org/10.21457/kars..50.200803.247
  11. 고남식, 「「대순전경」 초판 구절의 변이: 초판 10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7, 2012. https://doi.org/10.21457/kars..67.201206.207
  12. 고남식, 「「대순전경」의 변이에 대한 연구」, 「종교연구」 75-1, 2015. https://doi.org/10.21457/kars.75.1.201503.59
  13. 고남식, 「「전경」 「교법」편 연구: 「대순전경」 6판 「법언」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1
  14. 고남식, 「개화기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서교(西敎)의 삼위적 체제 수용과 특성」, 「동아시아고대학」 61, 2021. https://doi.org/10.17070/aeaas.2021.3.61.315
  15.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6.
  16.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3판, 서울: 집문당, 1994.
  17. 이규창, 「전라민속논고」, 서울: 집문당, 1994.
  18. 이대효,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민중종교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9. 임동권, 「한국민속학논고」, 서울: 집문당, 1991.
  20.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
  2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서울: 지식산업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