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크래치를 활용한 수학수업에서 도구화 수준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등식의 성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Levels and Computer Programming Self-efficacy in a Mathematics Classroom Using Scratch: Focused on the Property of Equality

  • 투고 : 2022.11.04
  • 심사 : 2022.12.11
  • 발행 : 2022.12.30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시대를 맞아 코딩을 포함한 교수·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코딩수업에서 수학 교수·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D 중학교 1학년 학생들 32명이 스크래치를 활용한 7차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그들의 활동자료는 컴퓨터에 매 차시 저장되었고, 연구자는 관찰일지를 매주 작성하였다. 중학교 등식의 성질에서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자는 도구화 수준에 대해 개별 학생의 수준을 조사하고, 학생의 컴퓨터프로그래밍 자기효능감을 사전과 사후 검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도구화는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연구가 시작된 시점에는 도구화의 제 3 또는 4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9%에 불과하였지만 연구마무리 시점에는 80%를 상회하였다. 학생들의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students' instrumentalization levels and computer programming self-efficacy in mathematics classrooms while using Scratches,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equality. 32 of 7th-grade students from D middle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sisting of 7 lesson units. To investigate individual students' levels of instrumentalization, each worksheet they worked on using Scratches was saved into computers after each lesson. Questionnaires measured self-efficacy regarding computer programming at the study's beginning and the end. The level of students' instrumentalization was revealed to be variously from level 0 to 4. In the beginning, 9% of students corresponded to level 3 or 4, but more than 80% of students reached level 3 or above at the end. In addition, computer programing self-efficacy was improved significa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하람, 임채령, 조한혁 (2021). 수학교과와 정보교과를 융합하는 코딩수학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연구. 수학교육, 60(4), 467-491.
  2.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5).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3. 고상숙, 박만구, 한혜숙 (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675-694.
  4. 고영해, 안재호, 박남제 (2011). LOGO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프랙탈 기하이론 기반의 초등학교 컴퓨터교육 지도 방안.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9(8), 151-163.
  5. 교육부 (2016). 초중고교 코딩교육 보도 관련. 교육부 보도자료 (2016. 10. 06.)
  6. 권점례, 이광상, 김성경 (2016). 지능정보사회 대비 학교 교육에서 코딩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6-9.
  7. 김갑수 (2014).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서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111-120.
  8. 김소민 (2021). 이차곡선 수업에서 공학도구 사용과 수작업 교구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4(1), 151-172. https://doi.org/10.30807/KSMS.2021.24.1.008
  9.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김수미, 배수경, 오혜정 외 (2013). 중학교 수학 1. 비상교육.
  10. 김진숙 (2015). 2015년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지원연구: SW교육 교수학습모델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 2015-35. 한국교육개발원 .
  11. 남진영 (2015).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2), 159-178,
  12. 송정범 (2017). 스크래치 활용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2), 199-208.
  13. 신동조, 고상숙 (2019). 수학교육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 및 연구동향 탐색. 수학교육, 58(4). 483-505.
  14. 유정호 (2015). 수학 내용 기반의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이상구 (2015). 수학과 컴퓨팅 사고력(CT).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년 연보: 수학교육에서 공학적 도구(pp.368-384). 서울: 경문사.
  16. 이서빈, 고상숙 (2018).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3)의 효과. 수학교육학연구, 28(4), 479-499.
  17. 이환철, 김형원, 이지혜, 이현숙, 고호경 (2017).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학교수학, 19(2), 267-287.
  18. 임현정, 고상숙 (2016).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4), 435-452.
  19. 조혜정, 김인수 (2016).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0(1), 67-83,
  20. 한세호, 장경윤 (2009).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학교수학, 11(3), 527-546.
  21. 황정규 (2002).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2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24.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S.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and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Heinemann.
  25. Drijvers, P. M. (2003). Algebra on screen, on paper and in the mind. In J. T. Fey, A. Couco, C. Kieran, L. McMullin, & R. M. Zbiek(Eds.), Computer Algebra System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pp. 241-267). New York: Springer.
  26. Krathwohl, D. R., Bloom, B.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2: Affective Domain. New York.: McKay.
  27. Lindsley, D. H., Brass, D. J., Thomas, J. B. (1995). Efficacy- performance spirals: A multilevel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9(3), 645-678. https://doi.org/10.2307/258790
  28. McLeod, D. B. (1989). Beliefs, Attitudes, and Emotions: New Views of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In D. B. McLeod, & V. M. Adam(Eds.), Affect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pp. 245-258). New York: Springer Verleg.
  29.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 Handbook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Macmillan.
  30. Mitchell, T. R., Hopper, H., Daniels, D., George-Falvy, J., James, L. R. (1994). Predict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during skill acquisi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4), 506-517. https://doi.org/10.1037/0021-9010.79.4.506
  31. Resnick, M. (2019). The Next Generation of Scratch Teaches More Than Coding. EdSurge. (https://www.edsurge.com/news/2019-01-03-mitch-resnick-the-next-generation-of-scratch-teaches-more-than-coding).
  32. Salomon, G. (1984). Television is "easy" and print is "though": The differential investme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as a function of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647-658. https://doi.org/10.1037/0022-0663.76.4.647
  33. Sengupta, P., Kinnebrew, J. S., Basu, S., Biswas, G., & Clark, D. (2013). Integ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K-12 science education using agent-based comput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8.
  34. Trouche, L. (2004). Managing the complexity of human/machine interaction in a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s : Guiding students' command process through instrumental orchest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9, 281-307. https://doi.org/10.1007/s10758-004-3468-5
  35. Trouche, L. (2005). Calculators in Mathematics Education: A Rapid Evolution of Tools with Differential Effects. New York: Springer.
  36. Vergnaud, G. (1996). The Theory of Conceptual Fields. In L. Stette, P. Nesher, P. Cobb, G. A. Goldin, & B. Greer (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pp. 219-240). Mahwah, NJ:Lawrence Eri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