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 의제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xploring Education Facility Environment Agenda in the Post COVID-19 Era

  • 투고 : 2022.02.23
  • 심사 : 2022.03.14
  • 발행 : 2022.03.31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보다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미래 교육시설환경 관련 핵심 영역과 영역별 의제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 시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관련 정책, 보고서, 자료집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뉴딜 및 미래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하고, 미래 교육시설환경 분야의 핵심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일선 교육 현장과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의 핵심 영역으로 5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총 33개의 의제(그린 영역 8개, 스마트 영역 9개, 공간혁신 영역 9개, 학교시설 복합화 4개, 기타(안전) 영역 3개)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New Deal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and furthermore, to provide basic data to discover and present a desirable futur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related agenda that will help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we explored the new paradigm shift for the education new deal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utur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through Korean and overseas related policies, reports, and source books.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panels of experts in the front-line education field, academia, and industry. As a result, 5 areas were derived as key domains of th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era, and a total of 33 agendas [8 in green, 9 in smart, 9 in spatial innovation, 4 in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nd 3 in others (safety)] were derived.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the smart area and spatial innovation area as th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 agenda in the post-COVID-19 era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green area or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rea. Therefore, when establishing educational facility poli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ustomized policies that reflect the demands and needs for the smart area and spatial innovation area, whereas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establishing policies that improve awareness and interest about the green area and school facilities complexatio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계보경(2020).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행복한교육 2020년 6월호. 교육부.
  2.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3. 교육부(2020.7.).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안).
  4. 교육부(2020.10.5.).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
  5. 교육부(2021.2.).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안).
  6. 교육부(2020.7.17.). 교육부,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발표[보도자료].
  7. 교육부(2021.4.20.).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발표[보도자료].
  8. 김진숙(2020). 코로나19가 던진 교육 혁신 방향과 과제. 서울교육. 서울특별시 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특별기획, 10-19.
  9. 김태완(2020).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화 정책시리즈 ;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것들 NEW THINGS, 13장 뉴노멀 시대 미래교육 방향과 과제, 334-361.
  10.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호, 경기연구원.
  11. 윤종혁(2021a). 코로나19 위기, 미국의 교육격차 해소 전략과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1월호, 26.
  12. 윤종혁(2021b). 코로나19 재난 이후 영국 정부의 교육재건대책. 월간 제주교육, 2021년 2월호, 28.
  13. 윤종혁(2021c). 코로나 이후 '일본형 학교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2월호, 29.
  14. 윤종혁(2021d). 미국 바이든 정부의 신 '교육 뉴딜' 정책과 개혁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6월호, 28.
  15. 윤종혁(2021e). 포스트 코로나 교육체제와 영국 정부의 개혁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6월호, 29.
  16. 윤종혁(2021f). 미국의 교육뉴노멀 사회 실현을 위한 새로운 변화. 월간 제주교육, 2021년 11월호, 28.
  17. 윤종혁(2021g). 일본 레이와시대의 교육실천: GIGA스쿨 구상의 성과와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9월호, 28.
  18. 마이클 혼, 헤더 스테이커(2017). 블렌디드 : 학교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온.오프라인의 결합/장혁, 백영경 역, 서울: 에듀니티, 원저: Horn, M. & Staker, H.(2015). Blended: Using Disruptive Innovation to Improve School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 조진일, 이상민, 최형주, 홍선주, 계보경, 박관수, 강혁진(2020).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III) : 학교의 대지 조건과 배치 및 평면 유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 조진일, 최형주, 홍선주, 안태연(2020).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9(1), 13-24. https://doi.org/10.7743/kisee.2020.19.1.013
  21. 최상덕, 김주섭, 최동선, 박승재, 서영인, 최수진, 문보은, 박근영, 김나영, 이호준, 최형재, 허영준, 최수정(2020). 해방 100년,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교육체제의 대전환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4-01.
  22. 황규호(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교육과정연구, 38(4), 83-106.
  23.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4. 강호원(2016). 영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 현황. 기획기사(2016.4.27.), 해외교육동향.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ardArticleSeq=150075, 검색일 2021.7.2.)
  25. 김현준(2016). 미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 현황. 기획기사(2016.4.27.), 해외교육동향.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ardArticleSeq=150073, 검색일 2021.7.2.)
  26. 에듀인뉴스(2020.7.25.).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뉴노멀시대, 교육의 리부팅(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58, 검색일 2021.3.31.)
  27. 최연구(2020). 미래의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09013&memberNo=15194331, 검색일 2021.3.31.)
  28. 프레시안(2020.5.25.).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육의 '뉴노멀'은?(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52509170549331, 검색일 2021.3.31.)
  29. 권순정(2020).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과제 :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그리고 학교의 역할(http://webzine-serii.re.kr/%EC%BD%94%EB%A1%9C%EB%82%9819-%EC%9D%B4%ED%9B%84-%EA%B5%90%EC%9C%A1%EC%9D%98-%EA%B3%BC%EC%A0%9C-%EC%9E%AC%EC%A1%B0%EB%AA%85%EB%90%98%EB%8A%94-%EA%B2%A9%EC%B0%A8%EC%99%80-%EB%B6%88%ED%8F%89%EB%93%B1/, 검색일 2022.1.26)
  30. Roy, U. K.(2020). Rise of new teaching methods post Covid-19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https://www.indiatoday.in/education-today/featurephilia-story/rise-of-new-teaching-methods-post-covid-19-in-higher-education-institutes-1739746-2020-11-10, 검색일 2021.4.9.)
  31. 日本文部科學省 (2020). 文部科學白書(https://www.mext.go.jp/content/20210720-mxt_soseisk01-000016965_2-12.pdf, 검색일 2021.12.9.)
  32. 日本文部科學省(2021a). 「令和の日本型学校教育」の構築を目指して-全ての子供たちの 可能性を引き出す, 個別最適な学びと, 協働的な学びの実現 (中央敎育審議會答申) 심의회답신(2021.1.26.) ; https://www.mext.go.jp/content/20210126-mxt_syoto02-000012321_2-4.pdf(검색일 2021.4.1.)
  33. 日本文部科學省(2021b). これからの高等学校施設の在り方について- 特色.魅力ある教育 と生徒の多様な学びを支える環境づくりを目指して. 学校施設の在り方に関する 調査研究協力者会議. 2021年 5月(https://www.mext.go.jp/content/20210518-mxt_sisetuki-000014912_6.pdf, 검색일 20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