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경화(2015).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영향요인과 대학헌신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22(12), 543-565.
- 김경화(2016). 대학생 생애핵시 역량 분석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 연구. 청소년학연구, 23(1), 429-449.
- 김경희(2011).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8-387. https://doi.org/10.5392/JKCA.2011.11.8.378
- 김수연(2012).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경로 구조 분석. 교육과학 연구, 43(3), 131-163.
- 김아영.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 95-123.
- 김양분 외(2016). 한국교육종단 조사개요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김옥분.조영복(2019).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1(1), 25-31. https://doi.org/10.14702/JPEE.2019.025
- 김은지(2015).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 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6(3), 107-129.
- 김희은.장은정(2021).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383-401.
- 김희정(2016). 학사경고자 대상 개별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8(4), 971-983.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4.971
- 박미정 외(2014).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346-355.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46
- 박성미(2014). 공학 분야의 학문융합교육 가능성 분석. 공학교육연구, 17(6), 53-61. https://doi.org/10.18108/JEER.2014.17.6.53
- 박성익.김연경(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 박수미.오미자(2021).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505-1529.
- 박승철(2012). 공학전공대학생의 입학전형과 중도탈락의 상관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5), 98-107. https://doi.org/10.18108/JEER.2012.15.5.98
- 박희인.구자경(2011). 전공-적성 불일치로 인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4(4), 173-190.
- 백은주.남민우.이해듬(2015).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예측도구 타당화.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233-260.
- 서대원.오상훈(2019).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347-356.
- 송지현.정은영(2020).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 한국웰니스학회지, 5(1), 173-183.
- 오숙영(2017).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교육방법연구, 29(2), 313-34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2.313
- 오헌석.성은모(2013). 융합인재역량 분석-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4), 201-228.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9
- 유지원(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상우.박기범(2019). 대학생의 특성과 학업 중도 탈락의 상관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1185-1210.
- 이숙정(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 이슬이.김은정(2021). 대학생의 학사경고에 관한 원인 탐색-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115-135.
- 이윤정.장현정(2019). 대학신입생들의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양가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703-714.
- 이은철(2021). 원격 PBL 수업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몰입의 관계 탐색: 흥미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2), 395-405.
- 이지현.김수영(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35(2), 327-353.
- 원주연(2022).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89-104.
- 정연재.주소영(2020).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271-1296.
- 주영주.정애경.최혜리(2012).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전자공학회논문지, 49(1), 30~38.
- 최규환.여호근.정호균(2014).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학업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이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6(8), 451-469.
- 최미순.조혜영(2021). 대학생의 교육자율성 지지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295-305.
- 최은이(2017).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조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홍성연(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71-295.
- 홍성연.김인수(2022).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2001년에서 2020년까지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4(3), 169-190.
- 홍효정(2020).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789-816.
- 홍효정 외(2020). KMOU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화 및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 한국해양대학교.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 Bandura, A.(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
- Bandura, A.(1995). Exercise of pers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15, 334.
- Bakker, A., Ljubin Golub, T., & Rijavec, M.(2017). Validation of the study-related flow inventory (WOLF-S). Croatian Journal of Education, 19(1), 147-173.
- Berlyne, D. E.(1965). Motivational problems raised by exploratory and epistemic behavior. In S. Koch (Ed.), Psychology: Astudy ofa science (Vol. 5). New York: McGraw-Hill.
- Csikszentmihalyi, M., & Csikzentmihaly,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Vol. 1990). New York: Harper & Row.
- Csikszentmihalyi, M., & Rathunde, K.(1993).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 Csikszentmihalyi, M.(1997).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Perennial, New York, 39.
- Denovan, A., & Macaskill, A.(2017).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irst year UK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8(2), 505-525. https://doi.org/10.1007/s10902-016-9736-y
- Fornell, C., & Larc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 Finch, J. F., West, S. G., & MacKinnon, D. P. (1997). Effects of sample size and nonnormality on the estimation of mediated effects in latent variabl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4(2), 87-107. https://doi.org/10.1080/10705519709540063
- Hair, J. F. et al.(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 Handelsman, M. M. et al.(2005). A measure of college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19.
- Hu, L. T., & Bentler, P. M.(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Hussey, T., & Smith, P.(2010). Transitions in higher educa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7(2), 155-164. https://doi.org/10.1080/14703291003718893
- Little, T. D. et al.(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2_1
- Linnenbrink, E. A., & Pintrich, P. R.(2004). Role of affect in change processing in academic contexts. In D. Y. Dai & R. J. Sternberg (Ed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Integrative perspectives o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pp. 57- 8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Litman, J. A., & Spielberger, C. D.(2003). Measuring epistemic curiosity and its diversive and specific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1), 75-86.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8001_16
- Matsunaga, M.(2008).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primer.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2(4), 260-293. https://doi.org/10.1080/19312450802458935
- Seymour, E. & Hewitt, N. M.(1997). Talking about leaving: Why undergraduates leave the sciences. Boulder, CO: Westvicw Press.
- Shernoff, D. J. et al.(2014).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 of flow theory. In Applications of flow in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pp. 475-494). Springer, Dordrecht.
- Steiger, J. H.(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502_4
- Rogers, W. M., & Schmitt, N.(2004). Parameter recovery and model fit using multidimensional composites: A comparison of four empirical parceling algorithm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3), 379-412.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903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