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2.25.6.14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Curiosity in Engineering College Freshmen  

Hong, Hyojeong (Department of Liberal Education, National Korea Maritimr&Ocea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5, no.6, 2022 , pp. 14-2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is a basic study of college of engineering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curiosity is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a plan to support new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is suggested.
Keywords
Freshmen's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n; Academic curiosity; College of engineer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화(2015).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영향요인과 대학헌신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22(12), 543-565.
2 김경화(2016). 대학생 생애핵시 역량 분석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 연구. 청소년학연구, 23(1), 429-449.
3 김경희(2011).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8-387.   DOI
4 김수연(2012).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경로 구조 분석. 교육과학 연구, 43(3), 131-163.
5 김아영.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 95-123.
6 김양분 외(2016). 한국교육종단 조사개요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7 김옥분.조영복(2019).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1(1), 25-31.   DOI
8 김은지(2015).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 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6(3), 107-129.
9 김희은.장은정(2021).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383-401.
10 김희정(2016). 학사경고자 대상 개별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8(4), 971-983.   DOI
11 박미정 외(2014).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346-355.   DOI
12 박성미(2014). 공학 분야의 학문융합교육 가능성 분석. 공학교육연구, 17(6), 53-61.   DOI
13 박성익.김연경(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4 박수미.오미자(2021).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505-1529.
15 박승철(2012). 공학전공대학생의 입학전형과 중도탈락의 상관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5), 98-107.   DOI
16 박희인.구자경(2011). 전공-적성 불일치로 인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4(4), 173-190.
17 백은주.남민우.이해듬(2015).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예측도구 타당화.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233-260.
18 서대원.오상훈(2019).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347-356.
19 송지현.정은영(2020).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 한국웰니스학회지, 5(1), 173-183.
20 오숙영(2017).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교육방법연구, 29(2), 313-345.   DOI
21 오헌석.성은모(2013). 융합인재역량 분석-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4), 201-228.   DOI
22 유지원(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3 이상우.박기범(2019). 대학생의 특성과 학업 중도 탈락의 상관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1185-1210.
24 이숙정(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25 이슬이.김은정(2021). 대학생의 학사경고에 관한 원인 탐색-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115-135.
26 이윤정.장현정(2019). 대학신입생들의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양가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703-714.
27 이은철(2021). 원격 PBL 수업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몰입의 관계 탐색: 흥미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2), 395-405.
28 이지현.김수영(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35(2), 327-353.
29 원주연(2022).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89-104.
30 정연재.주소영(2020).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271-1296.
31 주영주.정애경.최혜리(2012).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전자공학회논문지, 49(1), 30~38.
32 최규환.여호근.정호균(2014).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학업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이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6(8), 451-469.
33 최미순.조혜영(2021). 대학생의 교육자율성 지지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295-305.
34 최은이(2017).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조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35 홍성연(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71-295.
36 홍성연.김인수(2022).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2001년에서 2020년까지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4(3), 169-190.
37 홍효정(2020). 프로젝트학습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789-816.
38 홍효정 외(2020). KMOU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화 및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 한국해양대학교.
3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40 Bandura, A.(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
41 Bandura, A.(1995). Exercise of pers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15, 334.
42 Bakker, A., Ljubin Golub, T., & Rijavec, M.(2017). Validation of the study-related flow inventory (WOLF-S). Croatian Journal of Education, 19(1), 147-173.
43 Berlyne, D. E.(1965). Motivational problems raised by exploratory and epistemic behavior. In S. Koch (Ed.), Psychology: Astudy ofa science (Vol. 5). New York: McGraw-Hill.
44 Csikszentmihalyi, M., & Csikzentmihaly,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Vol. 1990). New York: Harper & Row.
45 Csikszentmihalyi, M., & Rathunde, K.(1993).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46 Csikszentmihalyi, M.(1997).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Perennial, New York, 39.
47 Denovan, A., & Macaskill, A.(2017).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irst year UK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8(2), 505-525.   DOI
48 Fornell, C., & Larc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DOI
49 Finch, J. F., West, S. G., & MacKinnon, D. P. (1997). Effects of sample size and nonnormality on the estimation of mediated effects in latent variabl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4(2), 87-107.   DOI
50 Hair, J. F. et al.(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51 Handelsman, M. M. et al.(2005). A measure of college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19.
52 Hu, L. T., & Bentler, P. M.(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DOI
53 Hussey, T., & Smith, P.(2010). Transitions in higher educa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7(2), 155-164.   DOI
54 Little, T. D. et al.(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DOI
55 Linnenbrink, E. A., & Pintrich, P. R.(2004). Role of affect in change processing in academic contexts. In D. Y. Dai & R. J. Sternberg (Ed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Integrative perspectives o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pp. 57- 8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6 Litman, J. A., & Spielberger, C. D.(2003). Measuring epistemic curiosity and its diversive and specific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1), 75-86.   DOI
57 Matsunaga, M.(2008).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primer.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2(4), 260-293.   DOI
58 Seymour, E. & Hewitt, N. M.(1997). Talking about leaving: Why undergraduates leave the sciences. Boulder, CO: Westvicw Press.
59 Shernoff, D. J. et al.(2014).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 of flow theory. In Applications of flow in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pp. 475-494). Springer, Dordrecht.
60 Steiger, J. H.(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DOI
61 Rogers, W. M., & Schmitt, N.(2004). Parameter recovery and model fit using multidimensional composites: A comparison of four empirical parceling algorithm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3), 379-41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