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학습(PBL) 적용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PBL) Applie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 송명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 김미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 Song, Myunghyu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Kim, Mi Hwa (Department of HRD,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투고 : 2022.09.28
  • 심사 : 2022.11.03
  • 발행 : 2022.11.30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extra-curricular program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21 to December 2021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Surveys,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ject-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University A and the requirements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Second, project tasks related to education of universities were proposed. Third, the programs were designed as three common courses and four consulting courses. Fourth,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32 students for two months. Fifth, the post-test results of problem-solving skills rose to 0.9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post-test results of communication skills were 0.5 points lower than befor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 was high with a rating of 4.59. Last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희.김세영.강주현(2015). 구글플러스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취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 -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2), 275-302.
  2. 강소연 외(2018). 융합 프로젝트 기반 교수방법. 서울: 한국공학교육인증원.
  3. 구정호.양지연(2017). 프로젝트 중심 학습(PBL)에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회계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21(4), 119-140. https://doi.org/10.17287/kbr.2017.21.4.119
  4. 권성혜(2010). PBL을 활용한 주제학습이 실과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나영.이다경.김한나(2018).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이 중학생의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8(3), 101-118.
  6. 김민성(2019).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대학원생들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239-262.
  7. 김성태.이동엽(2021).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역량함양을 위한 PBL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3), 1037-1067.
  8. 김소진(2021).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e-PBL의 적용과 효과. 인문사회 21, 12(5), 1045-1060.
  9. 김용석.김소형.한선영(2019).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예비수학교사의 태도 변화. 수학교육 논문집, 33(3), 231-254.
  10. 김은진(2018). 교육대학원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증진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1), 53-78.
  11. 김지숙.최희정(2021).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통합의학회지, 9(1), 141-150. https://doi.org/10.15268/KSIM.2021.9.1.141
  12. 김혜경(2011). 프로젝트중심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원체제설계모형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3. 김지효(2021), e-PBL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E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137-156.
  14. 남선우(2020). Flipped-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교육논총, 64, 357-368.
  15. 남혜원(2021). 교양 교과목에 온라인 PBL을 적용한 사례 연구. 교양문화연구, 27(5), 365-384.
  16.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1011
  17. 박정아(2022). 비대면 e-PBL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 수업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7(1), 196-206.
  18. 박정은.한혜숙(2019).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627-651.
  19. 박지윤.우애자(2017).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69-93.
  20. 박현미.이혜정.장지영(2020). One-Day, One-Problem(ODOP)형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대학신입직원 직무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23(2), 139-167.
  21. 배윤희.(2019). 산업연계 교육 자문 위원을 활용한 IC-PBL 비교과 프로그램 사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77-189.
  22. 백수원.이경(2020).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온라인 학문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32(4), 95-137. https://doi.org/10.18209/IAKLE.2021.32.4.95
  23. 신문승(2019). 능동적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초등프로젝트기반학습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813-830.
  24. 안성미(2020).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10), 315-323. https://doi.org/10.14400/JDC.2020.18.10.315
  25. 유해준(2016). PBL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토론 수업 연구. 사고와 표현, 9(3), 207-230.
  26. 윤상식.김보경(2020). 산학협력기반 교과연계형 프로젝트중심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D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3), 149-174. https://doi.org/10.21024/PNUEDI.30.3.202009.149
  27. 이명화.이정민(2018). 대학교육에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25-41.
  28. 이명희(2018). 문헌정보학의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3), 89-10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89
  29.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이소영(2015). 공과대학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1. 이송희 외(2021). 대학 산림교육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e-pbl)적용 사례와 학습성과. 한국산림과학회지, 110(2), 266-279.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2.266
  32. 이수연.정도성(2015).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학습 중심으로. 산업디자인학연구, 9(3), 133-142.
  33. 이승은.김영미(2018). PBL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8(2), 73-89. https://doi.org/10.21024/PNUEDI.28.2.201806.73
  34. 이은혜(2018). 수요자 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사례 연구: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35. 이정표(2018).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할의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39-58.
  36. 이준희.류관희(2010). 정보통신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e-pbl 개발 및 평가. 정보교육학회논문집, 14(3), 437-447.
  37. 이현주 외(2021). 초등 저학년을 위한 스토리텔링 및 프로젝트 학습 기반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32(2), 327-344. https://doi.org/10.20972/KJEE.32.2.202106.327
  38. 임규연.박효선.김주연(2015).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및 팀 성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8), 1-25.
  39. 임병우(2020). 온라인 PBL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실습 비대면 수업사례와 학습효과. 상품문화디자인학회, 63, 217-228.
  40. 임수경(2021).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실제. 교양교육연구, 15(6), 191-204.
  41. 임유진.김보경.김세영(2019). 창의 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학 재학생 인식분석. 교양교육연구, 13(2), 287-312.
  42. 장경원(200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 특성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33-63.
  43. 장미정 외(2021). 외국인 유학생 대상 e-PBL 대학 글쓰기 수업사례 연구. 한국어교육, 32(3), 189-227. https://doi.org/10.18209/IAKLE.2021.32.3.189
  44. 조서연.임명재.임다미(2019).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3(1), 213-219. https://doi.org/10.14702/JPEE.2021.213
  45. 조재윤(2016).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국어평가방법론 수업사례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9(0), 313-350.
  46. 주현재.강인애(2011).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419-448.
  47. 홍지명(2018).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9(6), 1-12.
  48. Blumenfeld P.C. et al.(1991).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369-39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603&4_8
  49. Hargis J.(2005). Collaboration, community and project-based learning-Does it still work on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32(2), 157-161.
  50. Hartono S.(2018),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PBL) design to expand mathematics students' understanding: A case study in statistics problem. Global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1(1), 98-104. https://doi.org/10.22158/grhe.v1n1p98
  51. Kolmos. A. & Graaff, E.D.(2007). Process of changing to PBL. In: Graaff, E.D. and Kolmos, A. eds. Management of change: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and project-based learning in engineering. (pp. 31-44). Rotterdam: SENSE Publisher.
  52. Yeh, C.H., & Tsay, M.H.(2014). Integration of Flipped Classroom Approach and P roject-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Engineering Course. The Asian Conference on Society, Education and Technology, Osaka,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