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적응과 입양관련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입양모를 중심으로-

An Open Adoption Family's Experience of Adapting to Adoption and Participating in Adoption-related programs: Focusing on Adoptive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투고 : 2021.06.15
  • 심사 : 2021.08.02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는 공개 입양한 모를 대상으로 입양과정과 입양 후의 적응, 입양관련 프로그램에서의 참여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공개 입양한 가족이 입양에 적응하고 행복한 입양 가족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입양가족에게 유용한 입양관련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생활에 만족해하며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초등학생 입양자녀를 둔 여섯 명의 공개 입양모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 공개입양모들은 입양 후 부모로서의 행복뿐만 아니라 내적 성장, 부부애 증가, 호의적인 사회적 시선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와 모로서의 양육 전담의 부담, 입양 사실 공개로 인한 자녀의 예상치 못한 반응 등의 어려움을 함께 경험하였다, 특히 초등학생을 둔 입양모로서 자녀의 사춘기에 대한 불안과 자신의 중년기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 학교환경에서 입양아에 대한 편견과 차별, 공공기관 복지담당자의 입양 인식과 지원 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 공개입양모들은 입양사실로 힘들어 하는 자녀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수용해주는 노력과 당당하게 입양가족임을 드러내고 어려움을 직면하는 태도와 배우자나 부모, 친자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대처해가고 있었다. 공개입양모들은 입양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입양관련 프로그램이나 지원 그리고 자발적인 자조모임에 참여하였는데 무엇보다 자조모임과 입양자녀의 또래모임에서의 참여경험이 크게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들을 바탕으로 공개입양가족을 위한 복지 서비스 강화, 학교 교사와 학생, 복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입양 이해교육 및 입양반편견교육의 실시, 입양가족을 위해 실제적으로 유용한 프로그램의 제공, 자조모임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adoptive families and obtain the basis data for adoption-related programs that are useful to adoptive famil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in the adoption process, post-adoption adaptation, and adoption programs.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mothers who publicly adop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had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adopted familie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voluntarily. The main results exhibited parents' happiness post-adoption along with positive changes, such as internal growth, marital love growth, favorable response from others, and child's unexpected responses to adoption. However, open adoption mothers have coped with efforts to sympathize with and accept their children's feelings as they suffer from adoption, and with active support from their spouses, parents, and their own children. Open adoption mothers participated in various adoption-related programs, support, and voluntary self-help groups provided by adoption agencies or public organizations, and above all, their experience in self-help groups and peer groups of adopted children was found to be very useful. Based on these main results, we suggested strengthening welfare services for open adoption families, implementing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adoption,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welfare staff, providing practical programs for adoptive families, and promoting self-help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지성.안재진(2005). 국내 공개입양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아동과권리, 9(3), 393-412.
  2. 권지성(2004).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아동복지학, 17, 7-48.
  3.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16). 국내 입양부모의 입양 후 적응을 위한 사후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2), 345-366.
  4.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18). 입양부모의 입양 관련 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입양가족캠프, 자조모임,입양합창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연구, 15(2), 57-81.
  5. 권지성.정정호.김진숙(2018).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맥락과 패턴. 한국아동복지학, 64, 174-203.
  6. 김가득.유정숙(2010). 장애아동 입양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입양 후 장애가 드러난 경우. 한국사회복지학, 62(1), 83-107.
  7. 김향은(2006). 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관한 종단연구를 위한 기초연구-공개입양 가정의 입양현황과 자조집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3(1), 61-80.
  8. 남연희.김의남(2006). 공개입양부모의 공개입양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4(4), 123-139.
  9. 류현(2009). 공개입양부모의 입양동기와 입양공개에 대한 태도가 자녀와의 입양관련대화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정(2008). 공개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입양모의 양육행동과 입양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미정(2009). 국내 공개입양의 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 입양모의 양육행동과 입양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3), 69-98.
  12. 박미정(2013). 공개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입양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0(2), 1-22.
  13. 배윤진.김아름.송신영.권지성(2016).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II).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14. 배지연.이선형(2021). 입양가족의 시각에서 살펴본,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논문.
  15. 백경숙.변미희(2001). 공개입양부모를 위한 사전.사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기초조사연구. 아동과 권리, 5(2), 81-95.
  16. 변미희.권지성.안재진.최운선(2015). 입양아동의 적응을 위한 입양부모의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52, 105-138.
  17. 보건복지부(2020a). 2019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2001, 2013, 2020b). 국내외입양현황. 세종: 보건복지부.
  19.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1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15.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1
  20. 신정훈(2016). 입양에 관한 편견과 차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입양모의 관점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안재진(2008). 국내 입양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2(1), 71-87.
  22. 안재진.권지성.변미희.최운선(2010).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관련 의사소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43-172.
  23.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24. 이지연.임춘희.김수정 공역(2016). 발달심리학, Santrock, J.(2015), Essentials of life-span development, 4th ed., 경기 파주 : 교육과학사.
  25. 장창수.배지연(2016). 대전시 입양가족 실태조사 및 가족 지원서비스 개발연구. 대전 : 대전발전연구원.
  26.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77-197.
  27. 최운선.안재진.변미희.권지성(2019). 국내 입양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동과권리, 23(3), 553-578.
  28.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조회(보건복지부, 「보호대상아동현황보고」).
  29. 현태옥(2004). 공개입양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박혜준.이승연 공역(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Seidman, I.(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ed., 서울: 학지사.
  31. Barcons, N., Abrines, N., Brun, C., Sartini, C., Fumado, V. & Marre, D.(2012). Social relationships in children from intercountry adoptio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5), 955-961.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2.01.028
  32. Baran, A. & Pannor, R.(1993). Perspectives on open adoption. Future of Children, 3(1), 119-124. https://doi.org/10.2307/1602406
  33. Berry, M.(1993). Adoptive parents' perceptions of, and comfort with, open adoption. Child Welfare, 72(3), 231-253.
  34. Brodzinsky, D. M, Smith, W. D. & Brodzinsky, B. A.(1998). Children's Adjustment to Adoption: Developmental and Clinical Issues, CA: SAGE Pub.
  35. Chapman, C., Dorner, P., Silber, K. & Winterberg, T. S. (1987). Meeting the needs of the adoption triangle through open adoption: The adoptive parent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4, 3-12.
  36. Germain, C.(1979).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s.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Harper, J.(1984). Who am I? A crisis of identity for the adopted adolescent. Mental Health in Australia, 1(13), 16-18.
  38. Markova, S. V. & Emelyanova, I. D.(2016). Personal maturity of adopting parents as a condition for preventing social orphanag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11(17), 10045-10055.
  39. Nikolaeva, E. I. & Yapararova, O. G.(2007). Featur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parents in the effective and ineffective host families. Psychological Questions, 6, 37-43.
  40. Rusalov, V. M.(2006). Psychological maturity: single or multiple characteristic. Psychological Journal, 27(5), 8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