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기반 자녀돌봄 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Childcare: A Case Study of a School-age Childcare Community of Participants

  • 전지원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Chun, JeeWon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1.06.09
  • 심사 : 2021.08.02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형성된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돌봄공동체 참여 및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5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지역기반 초등자녀 돌봄공동체의 구성원 중 직업활동을 하는 기혼여성 10인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주요 영역인 자녀돌봄에 대한 다양한 욕구 충족 및 가족친화 지역사회 구축을 통한 상생의 돌봄문화 조성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기반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가 지역사회의 복지역량 증진에 유용한 복지자원으로 연계하기 위한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Despite efforts to expand public care services as social demands increas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remains. Thus,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based childcare to solve the issue of school-age childca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childcare of participants who had school-aged children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arried working mothers among clients of a community-based childcare provider that has been operating for more than five yea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clear that community-based childcare is a useful welfare resour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for school-age childcare or the after-school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may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 related to community-based childcar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19S1A5B5A07090530)이며, 2021 가정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포스터 발표한 논문임.

참고문헌

  1. 김경아.박미석.강복정.이영호.최새은.전지원.김미영(2020). 공적 가족사업역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79-102. DOI : 10.22626/jkfrma.2020.24.3.005.
  2. 김기영(2016). 마을공동체 운동에서 공동육아의 실천사례. 교육비평(37), 208-229.
  3.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김희연.유영성.고재경(2014). 복지공동체, 공공복지의 한계를 넘는다. 이슈 & 진단(경기연구원), 157, 1-26.
  5. 박병춘(2012).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지역 사회연구, 20(4), 1-26.
  6. 유해미.김문정(2013).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포럼, 37, 20-31.
  7. 이아승.심미승(2020). 육아공동체에서 대안적 돌봄 가치 연구 :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행정학보, 54(3), 197-224. DOI : 10.18333/KPAR.54.3.197.
  8. 이재희.김근진.엄지원(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9. 장명림.이희현.조진일.최형주.임봉조.강지원.김선미(2018). 학생.학부모 요구에 부응하는 초등돌봄서비스 내실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0. 장수정(2020).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분석 - 돌봄 민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67(1), 125-152. DOI : 10.16975/kjfsw.67.1.5.
  11. 장수정.송다영.백경흔(2019). 초등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공동육아 방과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2, 251-287. DOI : 10.47042/ACSW.2019.02.62.251.
  12.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DOI : 10.13049/kfwa.2018.23.2.9.
  13. 진미정.노신애.김아영(2018). 지역기반 돌봄공동체 모델 비교와 가족정책적 시사점.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11-212.
  14. 조막래.김한별(20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 가능성 방안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조수빈.김현아(2020). 코로나 뉴노멀시대, 마을공동체의 변화와 지원방향 : 뉴노멀은 마을에서부터 온다. 마을활동가 400인이 기록한 변화의 증거들.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16. 조유성.한창근(2019). 육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공동육아 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67), 61-90. DOI : 10.24300/jkscw.2019.09.67.61.
  17. 차성란(2020). 돌봄공동체 리더들이 인식하는 가족친화마을환경 개념에 대한 사례연구 - 제주지역 이주민 돌봄공동체 리더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55-77. DOI : 10.22626/jkfrma.2020.24.3.004.
  18. 차성란(2019). 대안적 돌봄으로서 공동체 돌봄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09-132. DOI : 10.22626/jkfrma.2019.23.3.006.
  19. 최현임.손가현(2021). 아동권리적 초등돌봄서비스 발전 방안 탐색 - 다함께돌봄정책 공공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761-770. DOI : 10.5392/JKCA.2021.21.03.761.
  20. 하현상.이기태(2017).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1(2), 421-259. DOI : 10.18333/KPAR.51.2.421.
  21. 한그루.하현상(2019). 마을공동체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리질리언스 시각을 통한 체계적 접근의 시도. 지방정부연구, 23(1), 209-240. DOI : 10.20484/klog.23.1.9.
  22. 황선영(2020). 돌봄 공동체를 통한 좋은 돌봄(good-care) 서비스 생산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 - . 한국가족복지학회지, 67(4), 5-46. DOI : 10.16975/kjfsw.67.4.1.
  23. Barber, B. R.(1984). Strong Democra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25. Pestoff, V.(2009). Towards a paradigm of democratic participation: Citizen participation and co-production of personal.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80(2), 197-224. https://doi.org/10.1111/j.1467-8292.2009.00384.x
  26. Swisher, R., Sweet, S. & Moen, P.(2004).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nd its life course fit for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281-29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4.00020.x
  27.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2021). https://gongdong.or.kr
  28. 국가법령정보센터(2021). http://www.law.go.kr
  29.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2021). http://www.seoulmaeul.org
  30. 우리동네돌봄공동체(2021). https://dolbomnetwork.kr
  31. 대한민국정책브리핑(2019.04.11). 지역 중심 돌봄생태계 구축을 위한 범정부 공동추진협의회 개최.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26016에서 2020.03. 인출
  32. 한국개발연구원 보도자료(2021.04.22). [KDI 현안분석]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격차와 시사점. https://kdi.re.kr/news/coverage_view.jsp?idx=10967&media=poplink에서 2021.04. 인출
  33. OECD Family Database(2021). Typology of Childcare systems : PF4.3 Out-of-school-hours care. Retrieved from https://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