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Analysis of Regional Policies and Local Government Head's Vision for Regional Development: A Case of 6th Local Election of Hwasun-gun in Jeonnam Province

지자체장의 지역발전 비전과 지역정책 성과분석: 전남 화순군 민선 6기를 사례로

  • Received : 2021.09.24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local government objectives due to the change of local government heads in Hwasun-gun of Jeonnam province, and to analyze performances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regional development vision, and local government objectives setting by the 6th local election. The local government objective and slogan of hwasun-gun continued to change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local government heads from 1st to 6th local election. The slogan of the 6th local election was set as 'Luxury Hwasun, Happy Citizens' and addition, six local government objectives were set: trusted administration, shared welfare, attractive culture, vibrant rural areas, dream-planting education, and vibrant economies.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 objectives of the 6th local election showed a 90% achievement rate compared to the planned goal.

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 화순군을 사례로 지자체장 교체에 따른 군정목표의 변화를 살펴보고, 민선 6기 지자체장이 설정한 지역발전 비전과 군정목표와 지역발전정책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민선 1기부터 6기까지 화순군정의 슬로건과 목표는 지자체장의 잦은 교체로 계속 변경되었다. 한편 민선 6기 화순군정의 슬로건은 '명품화순 행복한 군민'으로 설정하였고, 군정 목표는 신뢰받는 행정, 함께하는 복지, 매력있는 문화, 활력있는 농촌, 꿈을 심는 교육, 생동하는 경제 등 6개로 설정하였다. 민선 6기의 군정 성과는 계획목표 대비 90% 달성률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훈, 2009,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및 행정발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보고서.
  2. 고경훈, 2010, "지방자치단체 정책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K시의 공무원의 인식 및 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0(1), pp.73-96.
  3. 권경환, 2005, "기초단체장 재선이 자치단체 세출예산 지출패턴에 미친 영향분석," 지방정부연구 9(3), pp.291-308.
  4. 김이수, 2011,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유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의 삼려(麗)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보 25(3), pp.265-284.
  5. 노재인.곽민지.서진완, 2018,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인천광역시장 취임사와 역점시책의 연관성 고찰", 인천학연구 28, pp.131-163.
  6. 박병식.전용태, 2008, "자치단체장 공약의 달성도 평가: 경북 경주, 영천, 포항 자치단체장 공약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55-85.
  7. 신동호, 2020, "세계적 테크노폴: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지역혁신 성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0), pp.110-123.
  8. 양덕순.강창민, 2006, "자치단체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소고: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역할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6(2), pp.126-150.
  9. 오수길.염일열, 2015, "지방자치단체장 공약으로 본 생활정치의 가능성: 민선 4기와 5기 지방자치단체장 당선자 공약의 비교," 한국비교정부학보 19(4), pp.275-293.
  10. 이광희, 2003,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지역발전과 리더십 기술의 연계," 한국행정논집 15(3), pp.643-665.
  11. 이정록, 2016, "순천시 창조도시 관련정책의 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60-676.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60
  12. 이정록, 2016, "지역사회가 화순군수를 주목하는 이유"(광주매일신문 시론, 2016년 5월 25일자).
  13. 이정록, 2018, 글로컬 시대의 지역정책, 서울: 푸른길, pp.221-223.
  14. 이정록.안영진, 2019,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역 비전과 지역발전정책 전개 간 연관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4), pp.512-525.
  15. 이홍택, 2019,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제도적 동형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52-69.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52
  16. 전봉경, 2020, "기업가적 정신이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4), pp. 395-407.
  17. 정수희.허동숙, 2020, "지역의창조적 커뮤니티로서 코워킹 스페이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3), pp.292-311.
  18. 최창수, 2000,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쉽과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보고서.
  19. 최호택.류상일.정석환.이민규, 2012, "지방자치단체장의 주요정책 경향분석(I): 민선 5기 선거공약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pp.661-671.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61
  20. 한동효.민병익.김영기.오재동, 2008, "지방정부 정책과정의 단계별 성과의 영향분석: 진주시 25개 주요 사업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2(4), pp. 133-158.
  21. 홍철.류형철, 2006, 리더십과 도시혁신: 도시를 바꾼 10인의 지도자, 서울: 북랜드, p.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