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정책

Search Result 6,05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Europe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 Lee, Jong-Ho;Jang, Hoo-E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246-257
    • /
    • 2019
  • This paper aims to consider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advanced European countrie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implementing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for regions facing industrial and employment crises due to deindustrialization, the decline of main industries,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In Europe, the paradigm and focus of support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have varied from time to time and from country to country. In particular, since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it has again become a major issue of regional policy. Europe's recent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are characterized by a new model of development, with its focu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and in the form of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regional policies through policy mix that combines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dustrial policies and employment policies.

Reviewing the Paradigm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Korea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s: The case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지역산업정책의 패러다임에 대한 재검토와 대안적 정책방안 모색: 대구광역시 지역산업정책을 사례로)

  • Lee, Chul-Woo;Park, Kyung-So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264-279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of Daegu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Korea. Because of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Korea, the industrial policies of Daegu are more government-led in planning and promoting industrial development. In addition,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executed not as regional policies but as part of sectional policies, and are not properly connected to othe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What is more, the step-by-step objectives of industrial policies are not defined clearly and, as a result, the means of the policies are not specific.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re should be a paradigmatic transition in making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which reflects not only economic factors but also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region. Moreover, place-based policies should be planned and promoted that categorize areas subject to the policies through comprehended analysis of regional industrial environment and combine means by section.

  • PDF

EU Enlargement: Regional Policy and Regional Disparity (EU 확대에 따른 지역정책 및 지역격차 변화)

  • Moon, Nam-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442-456
    • /
    • 2010
  • The european union used the regional policy for a compensation for a economic loss of the underdeveloped member countries and for a conciliation of the new member countries with a geographical enlargement. As a result, the objet of regional policy and the support eligible regions of structural fund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untries entry into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union modified the regional policy: the integration of the dispersed objects of regional policy into the 3 objects, the reduction of the support eligible region of structural funds and the promotion of the interregional cohesion policy. The development disparities of the between the member countries converged. But the inter-local development disparities of a intra-member country dispersed. This tendency means that the regional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contributed for the reduction of development disparities between the member countries but produced no effect on the diminution of the inter-local disparities of a intra-member country be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locational conditions.

  • PDF

Study on Policy of Forest Fire Management during Chosun Dynasty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 고찰)

  • Kim, Dong-Hyun;Kang, Young-Ho;Kim, K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8-1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을 분석하였다.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은 크게 예방분야와 민생안정에 관한 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불예방분야에서는 산불발생가능지역과 산불보호대상지역으로 구분하여 예방정책을 시행하였다. 산불발생가능지역으로는 화전경작 산림지역, 강무장 등 사냥터, 봉수대 주변 산림지역, 병해충 구제를 위한 입화 가능지역이며 왕실묘 주변, 사고(史庫), 소나무 육림을 위한 산림인 금산 또는 봉산, 도성 숲은 산불보호대상지역에 포함되어 산불방지정책을 시행하였다. 민생안정에 관한 정책에서는 산불피해지역 백성을 위로하고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해 어사를 파견하여 구휼토록 정책을 펼쳤다. 특히, 산불예방정책 시행을 위반하여 산불을 발생시킨 죄에 대해서는 엄하게 책임을 물어 귀양에서부터 사형에 이르는 처벌을 내렸다. 결론적으로 조선왕조시대에도 산불의 심각성으로 인해 조정 및 지방관서 등에서 여러 방지정책들이 시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Review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리뷰)

  • Wichin Song;Jieun Seo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0 no.4
    • /
    • pp.29-56
    • /
    • 2022
  • This study is a review paper on the contents and policy direction of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is a policy that develops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risis, aging, and polarization with a vision of system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theor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Next, studies related to major elements of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types of system transformation, and industrial formation are reviewed.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from existing policies are summarized and issues to be addressed in order to develop future discussions are drawn.

The End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owards a New Post-Cluster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 Nahm, Kee-Bom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764-781
    • /
    • 2016
  •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ndustrial cluster policies for promoting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have been flourishing all over the world. Even though cluster policies have partly contributed to regional industrial growth and innovation capabilities, they have long been blamed for regional industrial lock-ins and declining regional industrial resilience because of applying homeogenous cluster policies and regional specialized strategic industrial promotion policies for various localities, which are based on so-called 'selection and concentration' principle. This paper suggests postcluster policy focused on placed-based smart specialization and regional business platform strategies.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Yu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Paradigm Shifts in the Regional Policy of the UK National Govern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ntext (영국 지역정책 변화 동향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Byun, Pill-Sung;Lee, Dong-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
    • /
    • pp.111-129
    • /
    • 2008
  • This study discusses the paradigm shifts in the regional policies of national governments which many countries have witnessed since the 1990s. Particularly, the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which the regional policy of the UK national government has experienced until the 2000s since 1928 when the regional policy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focusing on the recent trends after the mid-1990s. In the recent decade, the UK national government has shifted the focus of its regional policy towards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devolved approach to regional development, from the interventionist top-down transform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usinesses and population via regulations and incentives for reducing regional disparities. Even in the midst of such a shift, the government has constantly sought to lessen the regional disparities in UK. Additionally, our work presen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gional policy which the national government of Korea should set in the face of the changing context.

  • PDF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Lorraine Region in France (프랑스 로렌지역 지역혁신정책상의 거버넌스 구조: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 Bae, Jun-G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
    • /
    • pp.81-96
    • /
    • 2006
  • The Lorraine region of France is one of the regions in the core of Europe that suffered most from the decline of its traditional industries. Since the 1970s, various levels of government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riginating from de-industrialization with policies of regional innovation, e.g., establishing technopole, the creation of the technology transfer network, the launch of the RTP project, and business incubators to promote start-ups, technology transfers, and networks between governments, businesses,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ublic.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Lorraine region,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by a groups of researchers, i.e.. Bae et at (2006).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roles of governments are important in creating and implementing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Lorraine region; the policies heavily rely on the R&D capacity of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various levels of governments have different roles to pl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