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research on Sixth-century Wooden Buddha Images from Funan

6세기 푸난 목조불상에 대한 시론(試論)

  • Noh, Namhee (World Arts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노남희 (국립중앙박물관 세계문화부)
  • Received : 2021.03.20
  • Accepted : 2021.05.20
  • Published : 2021.06.20

Abstract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wooden Buddha images excavated in the Mekong Delta in present-day southern Vietnam. Approximately thirty examples of wooden Buddha images have been recovered in the Mekong Delta. As they were found among the major historic sites of Funan (the first kingdom in Southeast Asia), including Oc Eo, and likely date to the sixth century, they can be regarded as the works of Funan. Similarly to stone Buddha images, these wooden examples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their demonstration of aspects of early Buddhist sculpture in Southeast Asia. Most of these Funan wooden Buddha image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sixth century based on radiocarbon dating and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analyzed the iconography and style of eight examples whose forms are relatively recognizable. The eight image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postures, dress styles, and hand gestures. They all share features of the Sarnath style of the Gupta period in India as seen in their slender bodies and the outer robe that clings to the body. However, some display a South Indian style of Buddha images in their upright posture, style of wearing a monastic robe with the right shoulder exposed, and making the vitarka mudra (preaching gesture) that is often seen in Sri Lankan Buddha images. This suggests that Buddhist sculptors in Funan devised a new style by incorporating the principal styles of Indian Buddhist sculpture. Another notable feature of these Funan images is their material, namely, wood. While none of the contemporaneous Hindu sculptures discovered from the same historic sites are made of wood, numerous Buddhist sculptures are. This paper postulates that the use of wood in Buddhist sculptures was promoted for reasons beyond ease of carving. According to the Buddhist literature, the first-ever Buddha image was the so-called 'Udayana image' made out of sandalwood. This image and its story was well-known in the Southern Dynasty of China around the sixth century. Interestingly, some auspicious sandalwood images of the Buddha was believed to have been brought into the Southern Dynasty from Funa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legend of the Udayana image might have been known in Funan as well and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wooden sculptures there.

본 논문은 지금의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서 출토된 목조불상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서는 약 서른여 점의 목조불상이 출토되었다. 이들은 옥 에오(Oc Eo) 등 동남아 최초의 국가였던 푸난(Funan)의 주요 유적지에서 발견되었고, 대개 6세기 무렵으로 추측되므로 푸난의 불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불상들은 석조불상과 함께 동남아 초기 불상의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푸난 목조불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과 양식적 특징을 종합하면 대부분 6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공개된 푸난 목조불상 가운데 형상을 비교적 확실히 알아볼 수 있는 8점에 대해 도상과 양식을 분석하였는데, 이들은 자세와 착의법, 수인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세장한 신체와 몸에 달라붙는 대의의 표현은 기본적으로 인도 굽타시대 사르나트 불상 양식을 공통적으로 따르고 있었으나, 유형에 따라서는 직립한 자세와 편단우견형의 착의법, 스리랑카 불상에서 주로 보이는 설법인(vitarka mudra)을 보이는 등, 남인도 불상 양식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푸난의 불교조각가들이 인도의 주요 불상 양식을 적절히 섞어 새로운 불상 양식을 창안했음을 알려준다. 이와 함께 주목되는 것은 푸난 목조불상의 출토 현황이다. 같은 유적에서 발견된 비슷한 시기의 힌두신상은 나무로 만들어진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데 반해, 불상만은 유독 나무로 많이 만들어진 현상에 대하여 불상과 나무라는 재질 사이에는 단순한 제작상의 이유가 아닌 보다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상정해 보았다. 불교 문헌상 전해지는 최초의 불상은 바로 전단목이라는 나무로 만들어진 '우전왕상'이다. 우전왕상은 비슷한 시기인 6세기 무렵 중국 남조에도 알려져 있었는데, 흥미롭게도 남조에는 푸난에서 가져왔다는 '전단서상'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는 우전왕상에 대한 이야기가 푸난에도 공유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나아가 푸난에서 나무로 불상을 다수 제작하게 된 주요 동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南齊書」
  2. 「梁書」
  3. 「高僧傳」 T2059
  4. 「高僧法顯傳」 T2085
  5. 「廣弘明集」 T2103
  6. 「大方便佛報恩經」 T156
  7. 「道宣律師感通錄」 T2107
  8. 「佛祖統紀」 T2035
  9. 「增一阿含經」 T125
  10. 「集神州三寶感通錄」 T2059
  11. 奈良國立博物館 編, 「(特別展)檀像: 自檀佛カら日本の木彫佛へ」, 奈良: 奈良國立博物館, 1991.
  12. Coedes, George.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trans. Susan Brown Cowing, Honolulu: East West Center Press, 1968.
  13. Hall, Kenneth. Maritime trade and state development in early Southeast Asi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5.
  14. Jessup, Helen Ibbitson. Art and Architecture of Cambodia, New York: Thames&Hudson, 2004.
  15. Kieschnick, John. The Impact of Buddhism on Chinese Material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16. Khoo, James C.M.. Art and Archaeology of Funan, Bangkok: Orchid Press, 2003.
  17. Malleret, Louis Malleret. L'Archeologie du Delta du Mekong, Paris: Ecole francaise d'Extreme-Orient, 1959.
  18. Sen, Tansen.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India-China Relations, 600-1400,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
  19. Soper, Alexander. Literary Evidence of Early Buddhist Art in China, Ascona: Artibus Asiae, 1959.
  20. Tingley, Nancy et el.. Arts of Ancient Vietnam: From River Plain to Open Sea, Houston : Asia Society and The Museum of Fine Arts, 2009.
  21. Wang, Gungwu. The Nanhai Trade, Singapore: Times Academic Press, 1998.
  22. 강희정, 「푸난(扶南) 불교조각의 연원과 전개」, 「미술사와 시각문화」 8, 2009.
  23. 강희정, 「6세기 扶南과 山東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남방해로를 통한 인도 불교미술의 東傳-」, 「中國史硏究」 第67輯, 2010.
  24. 강희정, 「해상 실크로드와 불교물질문화의 교류」, 「동아연구」 제37권 1호(통권 74집), 2018.
  25. 공광성, 「고전식물명 자단紫檀과 백단白檀에 관한 고찰」, 「국학연구」 32, 2017.
  26. 소현숙,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서상(瑞像)" 숭배와 그 지역성」, 「중국사연구」 55, 2008.
  27. 소현숙, 「위진남북조시대 아육왕상 전승과 숭배」, 「불교미술사학」 11, 2011.
  28. 소현숙, 「政治와 瑞像, 그리고 復古: 南朝 阿育王像의 形式과 性格」, 「美術史學硏究」 271.272, 2012.
  29. 이귀정, 「초당기 의좌형 우전왕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주경미, 「양 무제의 아육왕 전승 구현과 고대 동남아시아」, 「인문논총」 제67집, 2012.
  31. 최선아, 「하나의 원류, 다양한 수용: 중국 당대(唐代) 보리서상(菩提瑞像)과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 「미술사와 시각문화」 12, 2013.
  32. 최선아, 「역사적 맥락에서 본 중국 불교 서상(瑞像) - 전설, 외형, 문헌」, 「불교미술사학」 vol. 25, 2018.
  33. 탄센 센, 「중국-인도 간 해상 교류: 인도 해안지대와 인도양에서 중국 해상 세력의 부상」, 「실크로드의 교역과 상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중앙유라시아연구소. 2009.
  34. 허진아, 「옥 에오(Oc Eo)의 구슬 생산과 교역, 동아시아 교류네트워크」, 「베트남 옥 에오 문화: 바닷길로 연결된 부남과 백제」, 한성백제박물관, 2019.
  35. 후지오카 유타카, 「중국 남조(南朝) 조상(造像)의 제작과 전파」, 「미술자료」 89, 2016.
  36. 稻本泰生, 「優塡王像傳來考 -中國初唐期を中心に-」, 「東方學報」 69, 1997.
  37. 肥塚隆, 「プレ.アンコ-ル期の彫刻」, 「世界美術大全集」 第12卷 東南アジア, 東京: 小學館. 2001.
  38. 肥田路美, 「初唐時代におけゐ優塡王像 -玄裝の釋迦像請來とその受容の一相-」. 「美術史」 35-2, 1986.
  39. Carter, Martha M, "The Mystery of the Udayana Buddha," Annali vol. 50, 1990.
  40. Howard, Angela F, "Pluralism of Styles in Sixth-Century China: A Reaffirmation of Indian Models," Ars Orientalis. Vol. 35, 2008.
  41. Le, Hien, "Indian Values in Oc Eo Culture Case Study - Go Thap. Dong Thap Province," ASRJETS vol.25. no. 1, 2016.
  42. Le, Thi Lien, "Excavations at Minh Su Mound, Go Thap Site, Dong Thap Province, South Vietnam, 2000-2003," In Uncovering Southeast Asia's Past: Selected Papers from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Archaeologists, edited by Elisabeth A. Bacus, Ian Glover, and vincent Pigott, Singapore: NUS Press, 2006.
  43. Le, Thi Lien, "Hindu-Buddhist Sculpture in Southern Vietnam: Evolution of Icons and Styles to the Eighth Century," In Lost Kingdoms: Hindu-Buddhist Sculpture of Early Southeast Asia,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4.
  44. Le, Thi Lien, "Lung Khe and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Vietnam,"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5, 2017.
  45. Pelliot, Paul, "Le Founan," Bulletin de l'Ecole francaise d'Extreme-Orient vol.3 no. 1, 1903.
  46. Soper, Alexander, "South Chinese Influence on the Buddhist art of the Six Dynasties period," Bulletin of Museum of Far East Antiquity, 1960.
  47. Vickery, Michael, "Funan Reviewed: Deconstructing the Ancients," Bulletin de l'Ecole francaise D'extreme-Orient. tome 90-91, 2003-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