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f the suitable Area and Module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of Northern Province of Gyeonggi-do -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필요 면적과 모듈에 관한 연구 - 경기북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윤희철 (대진대학교 스마트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21.08.02
  • Accepted : 2021.09.15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Before long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 class will be 20 in Korea, but the current Area and Module of Elementary School are planned for 30 students. Therefore, necessary Area and Module for less than 20 students should be prepar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necessary Area and Module for less than 20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 researched 60 Classrooms of 10 Elementary Schools before 2 researches of mine, and researched the sizes of every path in the classrooms. With the Plans for 20 students, I foun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one-wa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5.4m×8.1m (43.74m2), a maximum of 5.4m×8.7m (48.6m2). Second, the 3-row alignment class requires a minimum of 7.2m×7.2m (51.84m2), a maximum of 7.5m×7.5m (56.25m2). Third, the group stud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6.0m×8.7m (52.2m2), a maximum of 6.3m×9.3m (58.59m2). Fourth, the group study class requires a minimum of 2.34m2, a maximum of 14.85m2 more than the one-way class. Fifth, the suitable module which fits both 2-row alignment class and group study class except the 3-row alignment class is 6.0m×8.7m (52.2m2).

우리나라는 OECD 국가 평균수준과 2025년에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 실시와 관련하여 학급당 학생수를 20명 이하를 준비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급당 학생수 20명 이하에 적합한 학급교실의 크기와 모듈에 대하여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본인이 앞서 연구한 경기북부의 초등학교 10개교에서 조사하였던 학급교실의 통로폭을 바탕으로 20명 규모의 학급교실에 필요한 모듈과 면적을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식 수업에서 2열 배치는 최소 5.4m × 8.1m(43.74m2), 최대 5.4m × 8.7m(48.6m2)의 면적이 필요하다. 둘째, 일제식 수업에서 3열 배치는 정방형의 모듈이 필요하며 최소 7.2m × 7.2m(51.84m2), 최대 7.5m × 7.5m(56.25m2)가 필요하다. 셋째, 모둠 수업은 4인 1조와 5인 1조로 구분할 수 있으나 필요 면적에는 큰 차이가 없다. 최소 6.0m × 8.7m(52.2m2), 최대 6.3m × 9.3m(58.59m2)가 필요하다. 넷째, 모둠 수업이 일제식 수업(2열 배치)보다 최소 2.34m2에서 최대 14.85m2가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 다섯째, 3열 배치를 제외한 2열 배치와 모둠 수업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모듈은 6.0m × 8.7m(52.2m2)이다. 여섯째, 현재의 교실과 비교하면 최소 10.3m2에서 최대 23.76m2를 줄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저서, 발표)은 2020학년도 대진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윤희철(2020). 남양주시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9(4).
  2. 윤희철(2018).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7(3), 26-34. https://doi.org/10.7743/kisee.2018.17.3.026
  3. 윤희철(2018).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감소에 따른 일반교실의 적정 모듈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7(1), 33-39. https://doi.org/10.7743/kisee.2018.17.1.033
  4. 김학래(2005).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실 단위공간의 규모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5. 한상원(2006). 한국 초등학생 인체 및 교육행태 특성을 고려한 단위교실공간의 치수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실내건축학과 실내건축전공 석사학위논문.
  6. 이상대 외(2004).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우리교육.
  7. 한국표준협회(2001), KS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규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