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Control Method, Supervision Method, and Type of Contents on Children's Smart Device Use by Parents

영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 영향 및 결과 요인 고찰: 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통제 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사용 콘텐츠 종류에 따른 조절효과의 탐색적 분석

  • Received : 2021.07.28
  • Accepted : 2021.09.06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As the use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has become common, the time to start using smart devices is getting earlier, such as using smart devices from the age of one. Also, the use of smart devices by infants and toddl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Smart devices have become convenient means of acquiring pleasure and knowledge, but the side effects of addiction and overdependence are becoming issues as much as the benefits of smart device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focuses on the aspects of parents' perception, control, and observational behavior about smart devices, which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you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can consequently affect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tivity, emotional sensitivity, and social aspect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the results can vary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parents' control method for children's smart device use, supervision method, and type of contents mainly us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parents on how to effectively use smart devices for their young children.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1세 부터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등 사용 시작 시기가 앞당겨 지고 있으며, 영유아 및 미취학 아동의 스마트기기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즐거움과 지식 획득의 편리한 수단이 된 스마트기기는 그 혜택만큼이나 중독 및 과의존의 부작용이 이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현상에 주목하고, 어린 아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및 통제·관찰 행동 측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결과적으로 아이의 활동성, 감정적 예민성, 사회성 측면의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였고,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대한 영향요인과 그 결과가 조절변수(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 통제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이용 콘텐츠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 자녀들을 위한 부모의 효과적인 스마트기기 활용 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유의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재 (2008). 게임과몰입 유아의 행동 특성에 관한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21.
  2. 강승지, 이연선 (2017).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45-72.
  3. 강신영, 조준오 (2007). 유아에게 나타난 컴퓨터 활용의 역기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6(1), 43-61.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20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5. 김경윤, 조경선, 황은미, 강현주, 장수진 (2014).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6, 187-207.
  6. 김경철, 박성덕 (2014).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219-246.
  7. 김기숙, 김경희 (2009).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아동간호학회지, 15(1), 24-33.
  8. 김동희 (2014). 미취학 아동의 미디어 사용과 아동의 기질,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2(4), 201-209.
  9. 김수정, 정익중 (2016). 유아의 반항성 행동 발달 궤적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통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9(2), 53-63. https://doi.org/10.5723/kjcs.2018.39.2.53
  10. 김용, 손진곤 (2011).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4), 135-143.
  11. 김윤경, 김경미 (2020).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8(1), 34-43. https://doi.org/10.18064/JKASI.2020.18.1.34
  12. 김은지, 전귀연 (2020).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1), 13-29. https://doi.org/10.6115/fer.2020.002
  13.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육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보육복지연구, 17(3), 32-53.
  14. 남궁기순, 김희영 (2020).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인식, 양육 행동,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서지능, 놀이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5(5), 221-250.
  15. 류미향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16. 모아라 (2017).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 부모의 걱정 탐색.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4), 691-698.
  17. 문종미, 최진우 (2015).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DHD성향성의 매개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7(1), 263-292. https://doi.org/10.21075/KACSN.2015.17.1.263
  18. 박혜원 (2011).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방수영 (2019, 5월 20일). 스마트폰 중독 환경 아이들, WHO 첫 가이드라인 주목. 데일리메디(DailyMedi), http://www.ailymedi.com/detail.php?number=843188
  20. 설샛별, 이혜원, 이경숙, 김명식 (2017). 영유아 영상물 과다 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0(1), 45-58.
  21. 성은모, 황경아, 이재연 (2012). 중학교 2학년 청소년의 뉴미디어 활용이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2012(12), 1-200.
  22. 소혜진, 임성민, 조상연, 고민숙, 문진화 (2018).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 년과 2017 년의 연구 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6(4), 251-262. https://doi.org/10.26815/jkcns.2018.26.4.251
  23. 손희정, 현은자 (2012). 전자그림책 읽기와 종이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반응 비교. 한국HCI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2(1), 983-985.
  24. 송미영, 박수빈, 김우연, 김효원, 최유진 (2019). 인터렉티브 에듀테인먼트 기반 유아용 한글 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7(2), 55-56.
  25. 송영희, 허원무 (2011). 프리미엄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수용과 확산에 대한 연구: 사회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2(1), 53-76.
  26. 안정임 (2008).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2(6), 230-266.
  27. 엄세진 (2014). 영아의 기질 및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7, 29-49.
  28. 오주현, 박용완 (2019).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 및 부모 인식 분석. 육아정책연구, 13(3), 3-26. https://doi.org/10.5718/KCEP.2019.13.3.3
  29.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30. 유구종, 유지성, 강지은 (2017). 유아교육 현장의 ICT 매체 활용 교육활동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309-328.
  31. 윤장우 (2013).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도래 및 발전 방향. 방송과 미디어, 18(1), 10-22.
  32. 이승호, 곽기영 (2018). SNS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9(2), 21-45.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2
  33. 이어리, 이강이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2), 27-39.
  34. 이영임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35. 이정림 (2014). 영유아 스마트폰 노출 실태 및 보호대책. 이슈페이퍼 2014-14, 육아정책연구소.
  36. 이현우 (2020). 코로나19와 콘텐츠 이용: 변화와 전망: 콘텐츠 이용자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 Focus, 128.
  37. 임걸, 이동엽 (2012).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0(9), 47-57. https://doi.org/10.14400/JDPM.2012.10.9.047
  38. 임현주 (2014). 유아의 성별,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5-27.
  39. 정현희, 최경순 (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4.
  40. 조정진, 조안나 (2015).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647-657.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647
  41. 조찬희, 김교헌, 이형용 (2021). 부모수준과 가족관계가 부모 효능감과 양육불안감을 매개로 초등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2(2), 167-187. https://doi.org/10.15813/KMR.2021.22.2.009
  42. 허가영, 윤지은, 권혜인 (2020). 유아무용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교수자 인식조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6), 251-268.
  43. 홍예지, 박영아, 안수빈, 이순형, 이강이 (2017).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육아정책연구, 11(2), 87-113. https://doi.org/10.5718/KCEP.2017.11.2.87
  44. YTN 라디오 (2019, 10월 29일). [생생경제] '유라야 놀자' 최다은, 아이와 부모가 모두 사랑하는 키즈 콘텐츠를 만들다. https://www.ytn.co.kr/_ln/0102_201910291647417597
  45. Bartram, T., & Casimir, G.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 in-rol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trust in the leader.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8(1), 4-19. https://doi.org/10.1108/01437730710718218
  46. Buss, A.,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47. Cavender, R. C., & Lee, M. Y. (2018). Exploring the influence of sustainability knowledge and orientation to slow consumption on fashion leaders' drivers of fast fashion avoidance. America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Business, 4(3), 90-101. https://doi.org/10.11648/j.ajtab.20180403.12
  48. Cheung, C. H., Bedford, R., De Urabain, I. R. S., Karmiloff-Smith, A., & Smith, T. J. (2017). Daily touchscreen use in infants and toddlers is associated with reduced sleep and delayed sleep onset. Scientific Reports, 7(1), 1-7. doi:10.1038/srep46104
  49. Chin, W. W., Marcolin, B. L., & Newsted, P. R. (2003).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lectronicail emotion/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4(2), 189-217. https://doi.org/10.1287/isre.14.2.189.16018
  50. Cho, K. S., & Lee, J. M. (2017).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of young children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ing self-assessment effects of parents using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303-311. doi:10.016/j.chb.2016.09.063
  51. Calik, E., Calisir, F., & Cetinguc, B. (2017). A scale development for innovation capability measurement. Journal of Advanced Management Science, 5(2), 69-76.
  52. Clark, L. S. (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53.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54. Gefen, D., Straub, D., & Boudreau, M. C. (200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4(1), 1-77.
  55. Ghekiere, A., Cauwenberg, J. V., Vandendriessche, A., Inchley, J., De Matos, M. G., Barooaccino, A., Gobina, I., Tynjala, J., Deforche, B., & De Clercq, B. (2019). Trends in sleeping difficulties among European adolescents: Are there associated with physical inactivity and excessive screen tim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64, 487-498. doi:10.1007/ 00038-018-1188-1
  56. Hair, J. F., Sarstedt, M., Ringle, C. M., & Gudergan, S. P. (2018). Advanced issues i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LS-SEM). CA: Sage.
  57. Hess, T. J., Fuller, M., & Campbell, D. E. (2009). Designing interfaces with social presence: Using vividness and extraversion to create social recommendation agent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0(12), 889-919. https://doi.org/10.17705/1jais.00216
  58. Kabali, H. K., Irigoyen, M. M., Nunez-Davis, R., Budacki, J. G., Mohanty, S. H., Leister, K. P., & Bonner, R. L. (2015). Exposure and use of mobile media devices by young children. Pediatrics, 136(6), 1044-1050. https://doi.org/10.1542/peds.2015-2151
  59. Kim, E., & Koh, E. (2018). Avoidan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estee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4, 264-271. https://doi.org/10.1016/j.chb.2018.02.037
  60. Kim, J. K., & Kang, Y. S. (2016). The effect of young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on smartphone usage addic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al behaviors of childre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 169-180. https://doi.org/10.35873/AJMAHS.2016.6.3.017
  61. Livingstone, S., & Helper, E. J. (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4), 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62. Meltzoff, A. N. (2005). Imitation. In B. Hopkins (Ed.),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child development (p. 321).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Nathanson, A. I. (1999). In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children's aggression. Communication Research, 26(2), 124-143. doi:10.1177/009365099026002002
  64. Nikken, P., & Jansz, J. (2014). Developing scales to measure parental mediation of young children's Internet use.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39(2), 250-266. doi:10.1080/17439884.2013.782038
  65. Peacock-Chambers, E., Zuckerman, B., & Silverstein, M. (2016). Use of mobile technology to 34 calm upset children: Associations with social-emo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ediatrics, 170(4), 397-399. doi:10.1001/jamapediatrics. 015.4260
  66. Sarstedt, M., Henseler, J., & Ringle, C. M. (2011). Multi-group analysis in Partial Least Squares(PLS) path modeling: Alternative methods and empirical results. Advances in International Marketing, 22, 195-218. https://doi.org/10.1108/S1474-7979(2011)0000022012
  67. Ullah, Z., & Ahmad, N. (2020). Study of dynamics of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s: The patient perspective. Journal of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 Technology, 7(4), 3103-3121.
  68. Valkenburg, P. M., Krcmar, M., Peeters, A., & Marseille, N. (1999). Developing a scale to assess three styles of television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restrictive mediation," and "social coview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3, 52-66. https://doi.org/10.1080/08838159909364474
  69. Zimmerman, F. J., & Christakis, D. A. (2007). Associations between content types of early media exposure and subsequent attentional problems. Pediatrics, 120(5), 986-992. https://doi.org/10.1542/peds.2006-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