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Area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ose Who Have Visited the Tourist Sites in Underdeveloped Areas and Those Who Haven't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낙후지역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낙후지역 개발관광지 방문경험 여부에 따른 관광객의 인식 차이 분석

  • 김옥희 (신라대학교 부산학센터) ;
  • 민웅기 (목원대학교 창의교양학부) ;
  • 김세현 (한양대학교 SSK다문화연구센터)
  • Received : 2021.02.28
  • Accepted : 2021.03.16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at an exploratory level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eveloping underdeveloped area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have visited underdeveloped areas developed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hose who haven't,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urban regen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pondents' motivation to visit, perception of what needs to be done for the tourism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areas, perception of the expected effects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consumption behaviors.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visited the tourist sites where had been underdeveloped areas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visit motivations, needs for tourist site development, expected effects of local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and consumption behaviors than those who haven't. It means that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induce as many people as possible into tourist sites in underdeveloped areas. This exploratory study is expected to offer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underdeveloped areas as tourist sites, a form of urban regeneration.

본 연구는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낙후지역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탐색적 수준에서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자원을 이용하여 개발된 낙후지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과 방문한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 간 심리적, 행동적 차이를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도시재생 과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분석 결과, 낙후지역 개발관광지 방문경험 여부에 따라 응답자의 방문동기, 낙후지역 관광지 개발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인식, 낙후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개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소비행동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즉 과거 낙후지역이었지만 현재는 개발된 관광지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방문경험이 없는 사람들보다 방문동기, 관광지 개발 시 필요사항,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기대효과, 소비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개발이 이루어진 낙후지역에 사람들을 유입시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탐색적 연구의 분석결과는 낙후지역이 도시재생의 한 형태인 관광지로 개발되는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8031018).

References

  1. 고동완(1998), 지역주민의 지각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 김경아.문태훈 (2019), 도시관광을 이용한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지역별 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3), 21-41.
  3. 김영준(2017), 국내 문화복지정책의 전개과정 연구, 지역과 문화 4(2), 45-62.
  4. 김옥희 (2020), 빈곤관광에 의한 관광지 슬럼화의 관광윤리학적 쟁점 분석 및 도시재생모델의 재구성, 문화와융합 42(11), 373-401.
  5. 김옥희.박보영 (2019), 슬럼지역 관광자원을 이용한 도시재생의 윤리경영적 쟁점: 효율성과 형평성이 연계된 융합적 개발 가치의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1(4), 309-334.
  6. 김준혁(2016),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을 활용한 수원의 정체성 정립과 도시재생, 지방사와 지방 문화 19(2), 39-70.
  7. 김흥렬.이태희.윤설민 (2010),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테마파크방문에 대한 행동의도 연구: 즐거움(playfulness)의 역할 탐색, 관광연구저널 24(2), 5-23.
  8. 나혜영(2017), 문화산업의 불균등 성장과 지리적 특성 분석, 지역과 문화 4(4), 143-167.
  9. 박민아(2014), 도시유형별 문화요인분석을 통한 도시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석미정.박종구.강태호(2019), 경주 도심 고분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가치체계 비교연구: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7(2), 88-99.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88
  11. 송상섭(2010), 지역사회 애착, 관광영향인식과 내발적 지역관광개발 참여의사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심영선(2014),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 연구: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길승(2015),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의 관광동기, 관광지선택속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1(3), 171-190.
  14. 양성수.허향진.서용건 (2009), 제주지역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4), 199-210.
  15. 오정학, 윤유식(2009),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관광연구 24(5), 275-295.
  16. 이경찬.민응기.김옥희 (2018), 국내 대규모 관광개발사업의 문제점과 지역관광개발의 대안적 패러다임: 지역문화의 협력적 가치 실현을 위한 탐색적 논의, 지역과 문화 5(2), 27-55.
  17. 이태숙.김철원(2015), TPB를 적용한 공정관광(Fair Tourism) 행동 모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9(6), 95-112.
  18. 이후석 (2004),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과 관광개발 태도의 관계분석: 미니시리즈 '올인' 촬영지 섭지코지를 사례로, 관광학연구 28(3), 221-238.
  19. 임경환(2017), 관광지유형별 재생사업 지표활용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임근욱.최성환(2013), 농촌주민의 관광개발 지지도 분석, 관광레저연구 25(3), 21-36.
  21. 장호찬(2015), 관광행동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2. 정영수(2014), 역사문화자원 현황분석을 통한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중구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재영(2013), 교회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 운동으로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신학과 실천 34, 519-544.
  24. 정희진, 이계희(2010), 신한류가 일본과 중국관광객들의 한국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행동모형을 근거한 관여의 조절 역할에 대한 탐색, 관광학연구 34(6), 249-270.
  25. 허유순.이진희(2019), 추자도 관광객의 관광동기 유형별 만족 및 재방문 연구, 관광연구저널 33(1), 144-155.
  26. Andereck, K. L., & Vogt, C. A.(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p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9(Aug), 27-36. https://doi.org/10.1177/004728750003900104
  27. Baloglu, S., & McCleary, K. W.(1999),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6), 868-897.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030-4
  28. Beard, J. G., & Ragheb, M. G.(1983),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219-228. https://doi.org/10.1080/00222216.1983.11969557
  29. Choi, H.-S. C., & Sirakaya, E.(2005), Measuring residents' attitude toward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of sustainable tourism attitude scale, Journal of Travel Research 43(May), 380-394. https://doi.org/10.1177/0047287505274651
  30. Crompton, J. L.(1979), Motivation for pleasure vac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6(4), 408-424. https://doi.org/10.1016/0160-7383(79)90004-5
  31. Dann, G. M. S.(1977), Anomie, ego-enhancement and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4(4), 184-194. https://doi.org/10.1016/0160-7383(77)90037-8
  32. Dann, G. M. S.(1981), Tourist motivation: An appraisal, Annals of Tourism Research 8(2), 187-219. https://doi.org/10.1016/0160-7383(81)90082-7
  33. Goeldner, C. R., & Brent Ritchie, J. R.(2009), Tourism: Principles, Practices, Philosophie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34. Han, H., & Kim, Y.(2010), An investigation of green hotel customers' decision formation: Developing an extended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9(4), 659-668. https://doi.org/10.1016/j.ijhm.2010.01.001
  35. Han, H., Hsu, L.-T., & Sheu, C.(2010),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green hotel choice: Test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activities, Tourism Management 31(3), 325-334. https://doi.org/10.1016/j.tourman.2009.03.013
  36. Healey, P.(1997), Collaborative Planning: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Vancouver, CA: UBC Press.
  37. Hsu, C. H. C., & Huang, S.(2012),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for tourist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6(3), 390-417. https://doi.org/10.1177/1096348010390817
  38. Hu, Y., & Brent Ritchie, J. R.(1993), Measuring destination attractiveness: A contextual approach, Journal of Travel Research 32, 25-34. https://doi.org/10.1177/004728759303200204
  39. Iso-Ahola, S. E.(1982),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 rejoinder, Annals of Tourism Research 9(2), 256-262. https://doi.org/10.1016/0160-7383(82)90049-4
  40. Ko, D.-W., & Stewart, W. P.(2002),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residents' attitudes for tourism development, Tourism Management 23, 521-530. https://doi.org/10.1016/S0261-5177(02)00006-7
  41. Lam, T., & Hsu, C. H. C.(2006),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choosing a travel destination, Tourism Management 27(4), 589-599. https://doi.org/10.1016/j.tourman.2005.02.003
  42. Moutinho, L.(1987), Consumer behavior in tourism,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1(10), 1-44.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4718
  43. Prentice, R.(1993), Motivations of the heritage consumer in the leisure market: An application of the Manning-Hass demand hierarchy, Leisure Sciences 15(4), 273-290. https://doi.org/10.1080/01490409309513207
  44. Ribeiro, M. A., Valle, P. O., & Silva, J. A.(2013), Residents' attitudes towards tourism development in Cape Verde Islands, Tourism Geographies 15(4), 654-679. https://doi.org/10.1080/14616688.2013.769022
  45. Scheyvens, R.(2001), Poverty tourism, Development Bulletin 55, 18-21.
  46. Sheldon, P. J., & Abenoja, T.(2001), Resident attitudes in a mature destination: The case of Waikiki, Tourism Management 22(5), 435-443.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09-7
  47. Sirakaya, E.(1992), Modeling vacation destination choice decision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asters thesis, South Carolina, Clemson University.
  48. Smith, M., & Duffy, R.(2003), The Ethics of Tourism Development, Abingdon, UK: Routledge.
  49. Stabler, M. J.(1995), The image of destination regions: Theoretical and empirical aspects, in B. Goodall, G. Ashworth(Eds.), Marketing in Tourism Industry: The Promotion of Destination Regions(pp. 133-159), London, UK: Routledge.
  50. Stylidis, D., Biran, A., Sit, J., & Szivas, E. M.(2014),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he role of residents' place image and perceived tourism impacts, Tourism Management 45(Dec), 260-274. https://doi.org/10.1016/j.tourman.2014.05.006
  51. Uysal, M., & Hagan, L. A. R.(1993), Motivation of pleasure travel and tourism,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21, 798-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