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in Online Science Classes

  • 투고 : 2021.07.30
  • 심사 : 2021.08.18
  • 발행 : 2021.08.30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이다. 온라인 과학수업에 대해 초등예비교사 88명의 반응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해석하였다.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독립변인은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인은 학습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온라인 과학수업은 대학교의 LMS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의 사전-사후 반응에서 t검정, 요인들간에는 상관관계, 다중공선성 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으로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요인들의 전-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요인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수준 .01에서 공동체감과 상호지원 및 집중에서 .306이고, 학습몰입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354로 나타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각 요인들의 사전-사후 검정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보아 특별하게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고는 해석할 수 없지만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에서 학습몰입을 하게 되었다고 해석된다.

This study is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immersion in online science classes.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responses of 88 pre-primary teachers to online science classes were interpreted. In online science clas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ease, usefulness, and social presence,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learning immersion. Online science clas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university's LMS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rpreted by regression analysis for t-test,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nd multicollinearity test in pre-post-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ease, usefulness, and social pres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before-and-after tests of factors in the online science class. Seco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actors in online science class is .306 for sense of community and mutual support and concentration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and .354 for learning immersion and open communic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a correlation. Third, considering the effective results of the pre-post test of each factor in the online science class, it cannot be interpreted that a particular factor had an effect, but it is interpreted that learning was immersed in ease, usefulness, and a sense of social presence.

키워드

과제정보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21.

참고문헌

  1. 권현지, 임수경(2021).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방식을 적용한 시 창작 교육 수업의 실제: zoom을 활용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7(1), 195-226.
  2. 김동일, 임정은, 우예영, 한다솜, 이진우, 연준모(2021).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노총, 42(2), 35-60.
  3. 나상세(2021).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구축조형 수업 방안 연구-초등예비교사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2(1), 109-124.
  4. 박민정(2021). 온라인 수업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수업의 질, 학습몰입의 예측력 탐색. 교육연구논총, 42(1), 135-162. https://doi.org/10.18612/CNUJES.2021.42.1.135
  5. 송연숙(2020). 플립러닝 기반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9(2), 147-172.
  6. 윤혜림(2021). 비대면 시대의 온라인 수업을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수역량. 인문사회 21, 12(2), 2625-2638.
  7. 이미선, 이여진, 송태임(2021). 블렌디드 러닝 수업환경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65, 175-184.
  8. 이수희(2020). 대학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위한교수 실재감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9(5), 227-246.
  9. 이수희(2021).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호텔리조트연구, 20(2), 221-240.
  10. 이정오(2021).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수업평가 학습요인 비교 사례연구. 인문사회 21, 12(1), 143-155.
  11. 이지수(2014).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프로그램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정은주(2021). 학습몰입이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관련학과 학습자 대상으로. 관광경영학회지, 103, 485-503.
  13. 조수선, 주라헬(2020).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26(4), 909-934.
  14. 주영주, 김지현, 이정원(2012).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6(2), 151-164.
  15. 홍수민, 이정민(2021).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연구, 35(2), 53-70. https://doi.org/10.16933/SFLE.2021.35.2.53
  16. 황선희, 박매란(2021). 대학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화상강의에서 학습 몰입 및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지, 130-153.
  17. Bettez, S. C. (2020). Creating community commitments in the higher education classroom. About Campus, 25(1), 14-18. https://doi.org/10.1177/1086482220906151
  18. Che, N. C. A., Shaharim, S. A., & Mohd, N. L. A. (2017). Teacher-student interactions, learning commit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 learning comfort. Journal of Turkish Science Education, 14(1), 57-72.
  19.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2001). Critical thinking and computer conferencing: A model and tool to access cognitive presenc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1), 7-23. https://doi.org/10.1080/08923640109527071
  20. Ghani, U., Zhai, X., Spector, J. M., Chen, N. S. (2020). Knowledge hiding in higher education: Role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professional commit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79(2), 325-344.
  21. Malik, M. S., & Kanwal, M. (2018). Impacts of organizational knowledge sharing practice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Mediating roles of learning commitment and interpersonal adaptabil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30(1), 2-17. https://doi.org/10.1108/JWL-05-2016-0044
  22. Royaei, N., Ghapanchi, Z., & Ghanizadeh, A. (2020). Probing EFL teachers' perceptions of learners' success factors and its contribution to their goal-orienta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Quarterly Review of Education, 51(4), 483-497.
  23. San, M. S., Jimenez, N., Rodriguez, T. P., & Pineiro, I. I. (2020). The determinants of teachers' continuance commitment to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5(4), 3205-3225. https://doi.org/10.1007/s10639-020-10117-3
  24. Shrand, B., & Ronnie, L. (2021). Commitment and Identification in the Ivory Tower: Academics' perceptions of organisational support and reput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46(2), 285-299. https://doi.org/10.1080/03075079.2019.1630810
  25. Zheng, X., Yin, H., & Liu, Y. (2021). A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eneficial for teachers? A multilevel analysis of teacher self-efficacy and commitment in China.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32(2), 197-217. https://doi.org/10.1080/09243453.2020.1808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