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날씨와 우리 생활'과 연계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요소 분석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Elements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Connection with 'The Weather and Our Daily Life'

  • 투고 : 2021.07.30
  • 심사 : 2021.08.18
  • 발행 : 2021.08.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날씨와 우리 생활'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A교육대학의 2학년 학생 29명으로 1학기 초등과학 교재연구1 강의에 참여하였다. 교육과정 '날씨와 우리 생활'에 추가하고 싶은 학습주제 두 가지와 학습 지도내용을 진술하게 한 후 기상 또는 기후 관련 과학 용어 등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에 추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습주제의 유형은 대기 중의 물, 미세먼지·황사, 빛·전기 등 기상과 관련된 유형 세 가지와 이상기후, 지구온난화 등 기후 관련 유형 두 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 중의 미세먼지·황사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능이나 태도영역의 학습보다는 지식 영역의 학습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나 기후 위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arning elements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Connection with 'The weather and our daily life'.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of 29 students in 2nd grade who are attending the first semester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1'. Participants described the learning topics and contents they would like to add to curriculum 'The weather and our daily life'. Each response was analyzed and classified based on scientific terms related to weather or climat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ree learning topics related to weather, such as water phenomena in the atmosphere, fine dust and yellow dust phenomena, and light or electricity phenomena, and two topics related to climate such as abnormal climate and global warming. Second, interest in the problem of fine dust and yellow dust in the atmosphere was relatively high. Third, the interest in learning in the knowledge area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the learning in the function or attitude area.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limate change or climate crisis education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우석(2021). 기후 위기 더 늦기 전에 더 멀어지기 전에. 서울: 이다북스.
  2. 길지현, 송신철, 소금현, 여성희(2012). 초등학생들의 온실 효과에 대한 개념 이해 조사 연구. 생물교육, 40(4), 412-420.
  3. 김춘희(2019).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5. 김해옥(2013).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해진, 배진호, 심규철, 소금현(2013). 초등학생의 곤충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 연구. 생물교육, 41(1), 61-74.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1.61
  7. 박새임(2017). 초등학생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선영, 이주영, 남영숙(2013). 우리나라 초등학교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연구 실태. 환경교육, 26(3), 285-297.
  9. 소금현, 하나윤(2016). 동아리 활동을 위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환경적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 변화교육, 692, 139-147.
  10. 오소라(2010). 탄소발자국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임성만(2020a).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2. 임성만(2020b). 포토 내러티브 방법을 이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34-146.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2.134
  13. 장보라, 소금현, 심규철, 여성희(2009). 초등학생의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8(2), 142-153.
  14. 정대균, 이혜정, 정선희, 오창호, 박국태(2007). 기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및 대안 개념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59-371.
  15. 정민이, 소금현, 심규철, 여성희(2007). 중학생들의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 20(3), 63-75.
  16. 정진우, 김윤지(2008).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초등과학교육, 27(4), 319-327.
  17. 차주영, 이희찬(2017).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기후변화대응 수요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5(4), 63-77.
  18. 최영은(2014).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기상청.
  19. 최행숙, 김은경, 백성혜, 이길재, 정환호(2001). 초등학생들의 열과 온도에 대한 대안개념 조사. 한국초등교육, 201(1), 123-137.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9).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변화 및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 영향. 보건복지포럼, 269, 20-31.
  21. 환경부(2008). 초등학교 교육자료 기후변화의 이해. 환경부.
  22. 환경부(2015).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2016-2020). 환경부.
  23. 황수정(2009).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독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Abello, D., Alonso, T. J., & Panadero, E. (2021). Classroom motivational climate in higher education: Validation of a model for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4(2), 685-702. https://doi.org/10.29333/iji.2021.14238a
  25. Ancheta, A. J., Bruzzese, J. M., & Hughes, T. L. (2021). The impact of positive school climate on suicidality and mental health among LGBTQ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chool Nursing, 37(2), 75-86. https://doi.org/10.1177/1059840520970847
  26. Carman, J., Zint, M., Burkett, E., & Ibanez, I. (2021). The role of interest in climate chang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105(2), 309-352. https://doi.org/10.1002/sce.21610
  27. Duan, H., & Fortner, R. W. (2005). Chi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versus local environmental issu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23-32. https://doi.org/10.3200/JOEE.36.4.23-58
  28. Hicks, D. (2007). Lessons for the Future: A geographical contribution. Geography, 92(3), 179-188. https://doi.org/10.1080/00167487.2007.12094198
  29. Huertas, C. A., Palacios, F. J., & Gomez, M. E. (2021). Peer assessment as a tool to enhance pre-service primary bilingual teachers' training. Revista Iberoamericana de Educacion a Distancia, 24(2), 149-168. https://doi.org/10.5944/ried.24.2.28788
  30. Hyseni, D. Z., & Hoxha, L. (2021). Effects of school climate and parent support on academic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chool re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form, 30(3), 222-236. https://doi.org/10.1177/10567879211015946
  31. Jacob, D. J., & Darrel, A. W. (2009).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i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43(1), 51-63.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8.09.051
  32. Levrini, O., Tasquier, G., Barelli, E., Laherto, A., & Palmgren, E. (2021). Recogni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future-scaffolding skills": Results from an empirical study of a teaching-learning module on climate change and futures thinking. Science Education, 105(2), 281-308. https://doi.org/10.1002/sce.21612
  33. Skamp, K., Boyes, E., Stanisstreet, M., Rodriguez, M., & Malandrakis, G. (2021). Voting for change: An international study of students' willingness to support measures to ameliorate climate chang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1(3), 861-887. https://doi.org/10.1007/s11165-019-09864-2
  34. Steele, J. L., Steiner, E. D., & Hamilton, L. S. (2021). Priming the leadership pipeline: School performance and climate under an urban school leadership residency program.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57(2), 221-256. https://doi.org/10.1177/0013161X20914720
  35. Tai, A. P., Mickley, L. J., & Jacob, D. J. (2010). Correlations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the sensitivity of PM2.5 to climate change. Atmospheric Environment, 44, 3976-3984. https://doi.org/10.1016/j.atmosenv.2010.06.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