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야외지질답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Geological Fieldwork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Last 21 Years(2000-2020)

  • 투고 : 2021.07.30
  • 심사 : 2021.08.26
  • 발행 : 2021.08.30

초록

본 연구는 야외지질답사에 관하여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선행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가 중점을 둔 과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야외지질답사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자료 수집은 야외지질답사와 관련하여 ScienceON과 RISS에서 검색되는 학위논문, KCI 등재 학술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제목에 대하여 언어 네트워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전처리를 마친 자료를 언어 네트워크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나타내어 시각화하고 빈도수와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은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전체 연구 기간과 2000년-20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2020년으로 4개의 기간을 나누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야외지질답사에 관한 연구는 야외지질학습장 개발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특히 제주도가 학습장으로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 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중 고등학생이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야외지질답사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와 융합인재교육, 자유학기제 등과 같은 프로그램과 연계하거나 웹, 플래시 파노라마, 3D와 같이 간접적인 지질 답사 방안도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야외지질답사에 관한 연구를 되돌아봄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vious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from 2000 to 2020, examine the tasks that have been focused on, and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geological fieldwork research. The data was conducted for the thesis searched on ScienceON and RISS in relation to geological fieldwork and journal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nd the study title was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the data that had been pre-processed was visualized as a network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d centrality were analyzed. The centrality analysis was based on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and all analyzes were per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study period into four periods: 2000-2005, 2006-2010, 2011-2015, and 2016-2020. As a result,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focused more o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in particular, jeju island was actively discussed as a learning site.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and among them,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geological fieldwork were discussed, either in connection with programs such as STEAM, free-semester program, or indirect geological fieldwork methods such as web, flash panorama, and 3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looking back on the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that has been done so far.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1년 상반기 아카루트 논문 투고 지원사업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강성경, 유환, 이영재(2016).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1), 141-155. https://doi.org/10.14329/isr.2016.18.1.141
  2. 강지현(2002). 야외학습 모델을 이용한 제주도 송악산 일대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충훈(2018). 텍스트 마이닝와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 내용분석. 교육혁신연구, 28(3), 1-25. https://doi.org/10.21024/PNUEDI.28.3.201809.1
  4. 권현범, 천세영(2013).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논총, 34(2), 103-125.
  5. 길영우, 최돈원, Cong Nguyen The, 정우철, 조윤수, 정려진(2018). 야외지질학습장으로써 사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64-177. https://doi.org/10.5467/JKESS.2018.39.2.164
  6. 김건우, 이기영(2011).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 가상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2), 212-224. https://doi.org/10.5467/JKESS.2011.32.2.212
  7. 김덕호, 홍승호(2014). 지질 관련 야외 학습과 STEAM 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과학교육, 33(2), 364-379.
  8. 김방희, 김진수(2014).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연구 논문. 초등과학교육, 33(4), 674-682.
  9. 김석갑(2004). 제주도 우도 일대 모듈 학습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순식, 이상균(20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26-237.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26
  11. 김주아, 이경숙, 이제원(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교육과학연구, 50(4), 275-299.
  12. 김지윤(2018). 경상남도 고성군 상족암 일대의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경, 김창식(2019).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정보보호 연구동향 분석.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4(2), 19-24.
  14. 김해경(2016). 고흥군 북서 해안의 지질학습장으로서의 활용가능성.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63-172.
  15.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74
  16. 김환철(2011). 초등학교 현장체험학습 자료로서 해남우항리 공룡화석지 활용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69-882. https://doi.org/10.5467/JKESS.2009.30.7.869
  18. 도윤호, 고의정, 김영민, 김호겸, 주기재, 김지윤, 김현우(2015).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기법을 이용한 국내 담수외래종 연구동향 파악. 생태와 환경, 48(3), 195-202.
  19. 류춘렬(2009).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분석: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0(1), 81-95. https://doi.org/10.5467/JKESS.2009.30.1.081
  20. 맹승호, 위수민(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9-29.
  21. 박경진, 정덕호, 조규성(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73
  22. 박보영, 오관영, 이정호, 윤정호, 이승국, 이명진(2017).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환경 분야의 ICT 활용연구 동향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2), 189-199. https://doi.org/10.7780/kjrs.2017.33.2.7
  23.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747
  24.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 김승범(2009). 전북 부안군 봉화봉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83-896. https://doi.org/10.5467/JKESS.2009.30.7.883
  25.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13-21.
  26. 박한우, Leydesdorff, L.(2004). 한국어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지, 6(5), 1377-1387.
  27.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암석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서석근(2002). 경남 고성군 덕명리 상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35
  30. 유리나, 황수철(2017).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국내 농식품유통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10), 215-226.
  31. 윤마병(2019).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만들기를 통한 학성리 맨삽지 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339-35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39
  32. 윤마병, 남기수, 백제은, 이종학, 봉필훈, 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33.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3.
  34. 윤소희(20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교장 지도성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8(1), 141-168.
  35. 이기영(2013).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의 활용이 중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62-172.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62
  36. 이상균(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65-87.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65
  37. 이상균, 김순식(2018). 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영재상담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145-157.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2.145
  38. 이상균, 김순식, 채동현(20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90-307.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
  39. 이인아, 김혜진(2019).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외 장소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0(2), 189-20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2.189
  40. 이재호, 장준형(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 연구 동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43-550.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6.543
  41. 이지선, 임소진, 최유리, 김은정, 이소영, 박미정(2018).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3), 111-127.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9.30.3.111
  42. 이창진, 정상원(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41-57.
  43. 이창진, 홍석의(2003).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가상지질조사 웹 컨텐츠 개발-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72-180.
  44. 임시영, 임용민, 이재용(2014).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3), 87-97.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3.087
  45. 장지현(2014). 신문사설에 나타난 교육감 선출제도의 문제점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8(1), 75-93.
  46. 정다혜, 최유현(20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발명교육 연구 동향. 교과교육학연구, 24(1), 116-126. https://doi.org/10.24231/RICI.2020.24.1.116
  47. 정덕호, 조규성, 유대영(2013).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 영재들의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48-181.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48
  48. 정동권, 연유상(2021). 일식과 월식에 대한 교과서와 상위.하위집단 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현장과학교육, 15(1), 52-66. https://doi.org/10.15737/SSJ.15.1.202102.52
  49. 정수임, 신동희(2015).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내러티브 특성: 내러티브적 사고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35-750.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35
  50. 정수임, 신동희(2016).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63-579.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563
  51. 정찬미, 신동희(2017).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답사 교육 문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65-48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65
  52. 조규성, 변홍룡, 김정빈(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53. 조규성, 양우헌,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https://doi.org/10.5467/JKESS.2012.33.7.658
  54.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2003).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28-134.
  55. 조형성, 김종선, 강희철, 박정웅, 신승원, 채용운, 하수진, 김형수, 임현수(2021). 화성 지질공원 우음도 지질명소의 지질학적 가치와 지질교육에의 활용. 지질학회지, 57(3), 257-273.
  56. 진미르, 고호경(2019).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한 수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5(4), 489-508. https://doi.org/10.7858/eamj.2019.039
  57. 진연자, 위수민, 임성만(2016).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포천 아트밸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23-148.
  58. 차혜경, 기영화(2014).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고령자 간 공유된 의미 구조 분석: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1(4), 325-349. https://doi.org/10.15855/SWP.2014.41.4.325
  59. 천종배, 김희수(2018). 실제 야외지질답사와 가상 야외지질답사의 수업효과 비교. 현장과학교육, 12(3), 331-340. https://doi.org/10.15737/SSJ.12.3.201810.331
  60. 최윤성, 김찬종(2020).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활용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의 야외지질학습 적용. 현장과학교육, 14(2), 175-192. https://doi.org/10.15737/SSJ.14.2.202005.175
  61. 최윤성, 김찬종, 최승언(2018a).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78-192. https://doi.org/10.5467/JKESS.2018.39.2.178
  62. 최윤성, 김찬종, 최승언(2018b).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9(3), 291-302. https://doi.org/10.5467/JKESS.2018.39.3.291
  63. 하수진, 채용운, 강희철, 김종선, 박정웅, 신승원, 임현수, 조형성(2021). 화성 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한국지구과학회지, 42(3), 311-324.
  64. 함호식(2013). 화성암 분포 지역의 지형 및 지질학습을 위한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강원도 고성지역의 서낭바위와 두백산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허균(2020). 해양 정책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및 초록네트워크 분석-최근 11년(2009-2019년)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32(2), 594-606.
  66. 허준혁, 이기영(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45-355. https://doi.org/10.5467/JKESS.2013.34.4.345
  67. Elkins, J. T., & Elkins, M. L. (2007). Teaching geology in the field: significant geoscience concept gains in entirely field-based introductory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5(2), 126-132. https://doi.org/10.5408/1089-9995-55.2.126
  68. Helena, E., Paulo, F., Clara, V., & Isabel, F. (2013). Geological field work: A study carried out with portugu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1(3), 315-325.
  69.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https://doi.org/10.5408/0022-1368-37.1.13
  70.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