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V Audition Show's Distortion of Reality with Sartre's Existentialism which shows Media Subjectivity and Ethicality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왜곡이 보여주는 미디어의 주관성과 윤리성

  • Tu, Lingyao (Dept. of Film, TV & Multimedia, Sungkyunkwan University)
  • 도릉요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1.06.29
  • Accepted : 2021.07.22
  • Published : 2021.07.29

Abstract

This study looks to explore situations in which the authenticity of reality audition programs is inherently distorted by subjective intervention through a theoretical model of existentialism and case study of how it was practiced in an actual program. In detail, we examine the impact on the essence of human subjective intervention and the behavior by free will and use Sartre's existentialism a theoretical model and a Korean audition program series as the case for the study. We believe that the producers intended to narrow the audiences choices by creating a favorable environments for certain participants (trainees as they were called) to be recognized and liked by the voting audiences. We look to "subjectivity," the first principle of existentialism, people determine their essence through free will, and all ac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are aimed at achieving that goal, which keeps the position balance of final debut group by creating the character image and personality through character making, storytelling and increasing or decrease the assigned air-time of each individuals.

본 연구는 각 미디어의 리얼리티와 오디션 프로그램의 상품성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실존주의를 이론 모델로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가 왜곡되는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실존주의의 제1원리 '주관성'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만든 이론적 관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제작 과정에서 캐릭터 메이킹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물의 이미지를 만들고, 방송 분량 증감을 통해 마지막으로 결성된 단체 인물의 포지션 균형을 이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작진의 주관적인 개입으로 인해 비본질적인 모습을 대외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본질적인 왜곡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품화 사회에서 무조건 이익만 추구하면 커뮤니케이션의 윤리성과 괴리가 생기고, 리얼리티와 이익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수 있느냐가 여전히 현재 오디션 프로그램의 주요 문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순철, 전규찬, 이영주, 이동후, 정윤경, 박석철, 이종임, 하수정, 은혜정,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창작론」, 국립중앙도서관, 2010.
  2. 최은경, 「사실적텔레비전과방송편성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 이영돈, 「커뮤니케이션북스」, 국립중앙도서관, 2014.
  4. 임영호, 「신문원론」, 한나래출판사, 2013.
  5. 앙드레 바쟁 저,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8.
  6. 유현석, 「다큐멘터리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차송, 2011.
  7. 기이 고티에, 김원중, 이호은 옮김, 「다큐멘터리, 또 하나의 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8. 정재형, 「영화 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2011.
  9. Ron F. Smith, 李青藜 옮김, (2000), 「Groping for Ethics in Journalism」, China : Xinhua Publishing House, 1999.
  10. Hill, Annette, 「Restyling Factual TV」, Routledge, 2007.
  11. Sartre, J. P, 陈宣良 옮김 (1997), 「존재와 무(L'Etre et le Neant)」, China: SDX Joint Publishing House, 1981.
  12. Sartre, J. P, 周旭良 汤永宽 옮김, 「Existentialism Is a Humanism」, China:Shanghai Translation Publishing House, 1946.
  13. George Lukacs, 「The Historical Novel」, London: Merlin, 1962.
  14. Szerszynski, Bronislaw, Heim, Wallace, and Waterton, Claire, eds. 「Nature Performed: Environment, Culture and Performanc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2003.
  15. Everette E. Dennis and John C. Merrill, 「Basic Issues in Mass Communication : a Debate」, New York: Mcmillan Publishing Co., 1984, pp.104-117.
  16. Forsyth Hardy, 「Grierson on Documentary」, Faber and Faber, 1966.
  17. Michael Renov, 「Theorizing Documentary」, Routledge, 1993.
  18. Rieffel and Remy, 「Que sont les medias? Pratiques」, identites, influences, Gallimard, 2005.
  19. Jean Paul Sartre, 「qupest2ce que la litterature Gallima2rd」, 1986.
  20. 萨特, 「萨特文集:第7卷 关于我自己」, Beijing: People's Literature Publishing House, 2005.
  21. 童兵, 「理论新闻传播学导论」,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00.
  22. 程曼丽, 乔云霞 主编, 「新闻传播学辞典 : 新华出版社」, 2013.
  23. 이종수, 「오디션 리얼리티쇼와 현대여성의 '통과 의례': <도전 슈퍼모델>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권, 2008, pp.51-164.
  24. 하광언, 「미디어의 사회적 현실구성 이론의 현상학적 체계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뉴스의 현실구성 기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8, pp76-78.
  25. 강세윤, 이원덕, 「다큐멘터리 리얼리즘의 사운드 미학」, 「영상기술연구」, 2018, pp115-140. https://doi.org/10.34269/MITAK.2021.1.35.007
  26. 홍지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한국방송학보」, 제23권2호,2009,p.571.
  27. 정민희 ,강승묵, 「오디션 리얼리티 쇼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 등장인물의 성격 유형과 수행 기능 연구」, 2012.
  28.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6권 1호,2004, pp.260-272.
  29. 이경숙, 조경진,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서바이버>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1호,2010, pp.89-120.
  30.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방송문화연구 23(2)」, 2011, pp.7-36. https://doi.org/10.22854/SBC.2011.23.2.7
  31. 최소망, 강승묵,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2012, pp.121-122.
  32. 이경숙,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와 경쟁 그리고 참가자의 순환적 위치 <슈퍼스타K>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문화, 제20호, 2011.
  33. George Lukacs, The Historical Novel, (London: Merlin). 1962, p.64.
  34. J. Jagodozinkin,"The Perversity of (reality) TV: A Symptom of Our Times," Journal for the Psychoanalysis of Culture & Society, Vol.8, No.2, 2003, pp.320-329. https://doi.org/10.1353/psy.2003.0035
  35. Jean Louis Baudry, "Ideological Effects of the Basic Cinematographic Apparatus", Philip Rosen (ed.), Narrative, Apparatus, Ideology: A Film Theory Reader,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pp.281-298.
  36. S. Barnet-Weiser and L. Portwood-Stacer, I Just Want to be Again!: Beauty Pageants, Reality Television and Post-feminism, Feminist Theory, Vol.7, No.2, 2006, pp.255-272. https://doi.org/10.1177/1464700106064423
  37. Caldwell, J. Prime-time Fiction Theorizes the Docu-real", in J. Friedman(ed.), Reality Squared: Televisual on the Real. Piscataway: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pp.259-292.
  38. Sparks, C. Reality TV: The Big Brother phenomenon. International Socialism, 2007, p114.
  39. 张小元, 「新闻:真实性或者客观性--一种现象学路径的分析」, 「新闻与传播评论」, 2007, pp19-22.
  40. 鲍雁林, 「谈纪录片的真实性与故事性」, 「电影传媒论文」, 2018.
  41. 何苏六, 「纪录片的责任与影响」, 「现代传播」, 2005, pp.84-85.
  42. Joris Ivens, 何钟辛 옮김, 「关于纪录影片创作的几个问题」, 「电影艺术」, 1980, pp.47-51.
  43. 彭晶晶, 「受众:"商品"的发现与"人"的忽视 --"受众商品论"的一种解读」, 「新闻世界」, 2009.
  44. Friedrich Engels, (1888), "致玛格丽特.哈克奈斯(Engels to Margaret Harkness In London)". https://www.marxists.org/chinese/engels/mia-chinese-engels-188804.htm
  45. Emma021218, (2021,01. https://baike.baidu.com/item/萨特存在主义 https://namu.wiki/w/슈퍼스타K%20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