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진단용 방사선 관련 업무 종사자의 피폭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Exposure of Workers and Assistants Related to Diagnostic Radiation

  • 임창선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투고 : 2021.08.31
  • 심사 : 2021.09.24
  • 발행 : 2021.09.30

초록

의료기관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하는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있다. 그리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방사선진료를 보조하거나 방사선 검사실로 환자이송 등을 하는 업무 보조자들이 있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의료법」 등에 의해 방사선 피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사선 진료업무 보조자 등은 이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는 의료법령에 의해 규율되고 있고,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검사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는「원자력안전법」의 규율을 받고 있다. 이에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를 개선하기 위하여「의료법」 상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에 관한 규정과「원자력안전법」 상 관련 규정들을 비교·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로 얻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 대상으로 방사선 관계 종사자 외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실습 학생 등을 포함시켜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둘째,「원자력안전법」에서처럼 진단용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임신이 확인된 경우에는 피폭선량 한도를 명문으로 규정해야 한다. 셋째,「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의 개인피폭선량계의 종류에 관한 규정을 현실에 맞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방사선 관계 종사자,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수시출입자에 대한 건강진단의 검사항목은 동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 진단용 방사선뿐만 아니라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을 포함한 의료용 방사선 전체를 하나의 법체계에서 통일하여 규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medical institutions, there are radiation-related workers such as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ians,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who handle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Also, there are work assistants, such as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ho assist in radiation treatment or transfer patients to the radiation examination room.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radiation-related workers is carried out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but there is no legal basis for work assistants, etc. And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for diagnosis is regulated by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by therapeutic radiation and nuclear medical examination is governed by the 「Nuclear Safety Act」. Thu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for diagnosis, the regulations on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diagnosis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ose of the 「Nuclear Safety Act」. As a result,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o include nurses, assistant nurses, and clinical practice students who are likely to be exposed to radiation besides radiationrelated workers as subjects of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diagnosis. Second, when a radiation-related worker for diagnosis is confirmed to be pregnant, the exposure dose limit should be def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gulations on the types of personal exposure dosimeters in the 「Rul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Radiation Generators for Diagnostics」. Fourth, it seems that health examination items for radiation-related workers, radiation workers, and frequent visitors should be the same. Fifth, It is necessary to unify and regulate diagnostic radiation and all medical radiation, including therapeutic radiation and nuclear medicine, in one legal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방사선 안전관리실태-」, 감사원, 2014.
  2. 강인석.안성민, "방사선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한 피폭선량 측정 및 유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11호, 한국콘텐츠학회, 2014.
  3. 김광표, 「의료방사선 이용에 따른 국민 방사선량 평가 연구」, 질병관리청, 2020.
  4. 김성수, 「일반행정법」, 홍문각, 2012.
  5.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기술학회, 「치과영상학」, 대학서림, 2017.
  6. 대한치료방사선학회, 「대한치료방사선학회30년사」,대한치료방사선학회, 2011.
  7. 방사선보건관리학 교재편찬위원회, 「방사선보건관리학」, 청구문화사, 2017.
  8. 박영선.김동윤.안성민.장혜원, 「의료방사선안전관리학」, 신광출판사, 2011.
  9. 박찬일.하성환.정준기.강위생, 「의료방사선 안전관리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2003.
  10. 방사선계측학연구회, 「방사선계측학」, 청구문화사, 2017.
  11. 백경희.안영미.김남희.김미란, "설명간호사의 현황과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의료법학」 제14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12. 성경정.공창기.동경래,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선량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산업학회지」 제14권 3호, 한국방사선산업학회, 2020.
  13. 안성민.최재호.홍용호.이광성.설광욱.이귀원.박형민, 「방사선관리학」, 대학서림, 2016.
  14. 여진동.전병규, "1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의 방사선피폭 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지」 제9권 6호, 한국방사선학회, 2015.
  15. 이왕희.김성철.안성민,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12.
  16. 이재기, 「2007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 권고-ICRP간행물 103」,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9.
  17. 이주아, "방사선관리구역내의 종사자 및 임상실습 학생의 개인피폭선량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11호, 한국콘텐츠학회, 2017.
  18. 임창선.문흥안, "진단용 방사선 안전 관련 법령의 법체계상 문제점", 「의료법학」 제14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19. 장미희, "간호사의 업무범위와 주의의무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제22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20. 조지환.진성진.박철우, "의료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기간 및 피폭선량과 혈액성분 변화에 대한 조사", 「한국방사선학회지」 제10권 7호, 한국방사선학회, 2016.
  21. 질병관리본부, 「진단방사선분야종사자를 위한 방사선 안전 가이드 라인」, 질병관리본부, 2016.
  22. 질병관리청, 「2019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질병관리청, 2020.
  23. 질병관리청, 「의료방사선안전관리 편람」, 질병관리청, 2020.
  24. 한국동위원소협회, 「원자력법 개론」, 한국동위원소협회, 2011.
  25. 한국방사선학회교육원, 「방사선생물학」, 다온출판사, 2015.
  26. 허창환, "위헌적인 행정적 유권해석의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제44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27. G. Cabral, A. Amaral, L. Campos and M. I. Guimaraes.(2002). "Investigation of maximum doses absorbed by people accompanying patients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s",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01, No. 1.
  28. ICRP.(1991). 1990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60, Annals of the ICRP Vol. 21, No. 1-3, Pergomon Press, Oxford.
  29. ICRP.(2007).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103, Annals of the ICRP, ELSEVIER. Printed bv Polestar Wheatons Ltd, Exeter, UK.
  30. 「電離放射線障害防止規則」(令和二年一二月二五日厚生労働省令第二〇八号) https://elaws..e-gov.go.jp.
  31. https://www.srsrad.com/usr/program/analysis.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