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pleen Daoyin Method(脾臟導引法)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동의보감(東醫寶鑑)』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의 임상적 활용

  • Kim, Yuna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Baik, You-sa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Jeong, Chang-hyun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Jang, Woo-cha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윤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Received : 2021.05.03
  • Accepted : 2021.05.08
  • Published : 2021.05.25

Abstract

Objectives : To discuss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Daoyin,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 Spleen Daoyin Method clinically. Methods :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Daoyin were examined in medical texts, after which the movements and effects of the Spleen Daoyin Method were analyzed. Based on relevant contents in the Donguibogam, symptoms and diseases for application of the Spleen Daoyin Method were studied to suggest further clinical application possibilities. Results & Conclusions : Daoyin manages the body by treating diseases, while keeping the Shen intact to manage the mind. In the case of the Five Zhang Daoyin Method, its therapeutic nature is clear as the target is focused on the Five Zhang. The Spleen Daoyin Method is mostly comprised of two movements that enable overal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pleen function. Therefore, it could be applied in cases of Spleen-Stomach diseases where there is functional damage.

Keywords

References

  1. 許浚 著. 東醫寶鑑國譯委員會 譯.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1999.
  2. 김공빈. 하늘기운을 닮아가는 우리 몸. 서울. 도서출판 현동. 2012.
  3. 김공빈. 玄同醫鑑 雜病篇. 서울. 도서출판 현동. 2017.
  4. 박찬국 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上.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8.
  5. 홍원식 역. 校勘直譯 黃帝內經靈樞.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95.
  6. 퇴계 이황 편저. 이윤희 역해. 활인심방. 서울. 예문서원. 2008.
  7.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4판. 서울. 군자출판사. 2015.
  8.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東醫生理學. 파주. 集文堂. 2010.
  9. 高鶴亭. 中國醫用氣功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9.
  10. 高濂. 遵生八箋. 四川. 巴蜀書社. 1988.
  11. 정희원. 운동학총설. 서울. 목과토. 2002.
  12. 民衆書林 編輯局. 漢韓大字典. 파주. 民衆書林. 2011.
  13.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저. 한의학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1.
  14. 한국고전용어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서울.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15. 레슬리 카미노프, 에이미 매튜스. Yoga Anatomy. 서울. 푸른솔. 2020.
  16. 김경환, 윤종화. 氣功의 導引法과 十二正經의 聯關性에 관한 考察. 대한기공의학회지. 1996. 13(1).
  17. 허금범 외3인. 導引法이 十二經筋의 主治, 效能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0. 4(1).
  18. 김경환. 陳希夷二十四氣導引坐功圖에 나타난 經絡氣功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9. 양동원, 송태원. 導引과 運動治療의 有關性에 대한 比較硏究. 한방재활의학회지. 1997. 7(1).
  20. 황의형 외5인. 한의학적 운동치료로서 기공과 도인의 효과에 따른 차이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 27(5).
  21. 김태윤, 김순중. 「諸病源候論.虛勞病諸候」에서 제시된 양생방도인법과 현대운동치료의 비교연구:슬관절과 경부/상지부 중심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6. 26(1). http://dx.doi.org/10.18325/jkmr.2016.26.1.63
  22. 김대식. ≪靈劍子≫ 導引勢와 ≪東醫寶鑑≫ 五臟導引法에 관한 比較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3. 김경태. 「동의보감」의 안마도인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4. 유이란 외5인. 「동의보감」에서 제시된 胎息法 및 肺臟導引法의 한방호흡재활운동으로의 활용. 대한한의학회지. 2018. 39(3). http://dx.doi.org/10.13048/jkm.18023
  25. 이화진 외6인. 馬王堆 「導引圖」 중 醫療導引法에 대한 考察.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9. 26(1).
  26. 김태우. 동아시아 의서와 의료실천: 동의보감학파들을 통해 읽는 텍스트와 실천 그리고 동아시아의학 지식. 의사학. 2019. 28(2).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91
  27. Taehyung Lee. The State-Centred Nosology. Asian Medicine. 2016. 11(1,2). https://doi.org/10.1163/15734218-12341371
  28. 백유상. 內傷雜病 개념 형성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5. 28(4). http://dx.doi.org/10.14369/skmc.2015.28.4.179
  29. 만성위장질환의 운동 식이 요법. 成人病. 1994. 164.
  30. 지삼룡 외6인.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료에 관 한 임상진료지침. 대한소화기학회지. 2011. 57(2). 10.4166/kjg.2011.57.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