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Investigation on 『Dongmuyugo(東武遺稿)』 「Jinjung(陳情)」 and the Revision of the Abstruse Phrase of "洋醜之漁獵頻泊汊港, 峩人之耕牧恒據沿䐉"

『동무유고(東武遺稿)』 「진정(陳情)」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통한 난해어구의 교감 - "양추지어렵빈박차항(洋醜之漁獵頻泊汊港), 아인지경목항거연자(峩人之耕牧恒據沿䐉)"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1.05.04
  • Accepted : 2021.05.11
  • Published : 2021.05.25

Abstract

Objectives : First,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writing Jinjeong(陳情), was identified with consideration of current affairs at the time in Hamgyeongdo. Second, the relevance between agricultural policies and military/defense policies were identified. Thir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hrase "洋醜之漁獵頻泊汊 港, 峩人之耕牧恒據沿䐉" was throughly examined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Methods : First,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writing Jinjeong(陳情), was identified with consideration of current affairs at the time in Hamgyeongdo. Second, the relevance between agricultural policies and military/defense policies were identified. Thir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hrase "洋醜之漁獵頻泊汊 港, 峩人之耕牧恒據沿䐉" was throughly examined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Results & Conclusions : 1. The Jinjeong(陳情) of the Dongmuyugo(東武遺稿) is a writing on crossing borders into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which was written between the end of September and December of 1870. 2. The phrase "洋醜之漁獵頻泊汊港" is related to the incident when a handover line was at anchor in the Unggi harbor three times in 1869. 3. "我人之耕牧恒據沿海" refers to the rumor spread in 1870 about Russia being an ideal country that practiced ideal politics, to the extent of cattle and horse being gifted to immigrants into the country.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화.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환폐(還弊)와 민의 동요. 역사학보. 2016. 232(0). pp.261-281.
  2. 고성훈. 조선 후기 민중사상과 鄭鑑錄의 기능. 역사민속학. 2015. 47(0). pp.113-146.
  3. 고승희. 19세기 함경도 상업도회의 성장. 조선시대사학보. 2002. 21(0). pp.137-170.
  4. 국립고궁박물관. 慶興邑誌(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제74책).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cited 2021 March 28]; Available from: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13&bizDiv=1
  5.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실록. 조선왕조실록 DB. [cited 2021 March 10];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6. 국사편찬위원회. 국역 備邊司謄錄.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April 10]; Available from: http://db.history.go.kr/
  7. 국사편찬위원회. 선조실록.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April 10];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8. 국사편찬위원회. 성종실록.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March 10];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9. 국사편찬위원회. 순조실록.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March 23];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10. 국사편찬위원회. 태종실록.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March 23];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11.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한국사데이터베이스. [cited 2021 April 8]; Available from: http://sjw.history.go.kr/
  1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慶興府邑誌(규장각 청구기호 ; 奎10993).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cited 2021 March 20]; Available from: https://kyudb.snu.ac.kr/
  1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경흥부지도(慶興府地圖)(규장각 청구기호 : 奎10695)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cited 2021 March 22]; Available from: https://kyudb.snu.ac.kr/
  1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大東輿地圖. (청구기호: 奎10333-v.1-22).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cited 2021 Mayl 11]; Available from: https://kyudb.snu.ac.kr/index.jsp
  1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日省錄.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cited 2021 March 20]; Available from: https://kyudb.snu.ac.kr/
  16. 기정진. 蘆沙集. 한국고전종합 DB. Available from: https://db.itkc.or.kr/dir/item?itemId=GO#/dir/node?dataId=ITKC_MP_0628A&solrQ=query%E2%80%A0%E8%98%86%E6%B2%99%E9%9B%86$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 %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GO_AA$solr_toalCount%E2%80%A016$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SJ_ITKC_MP_0628A
  17. 김신회. 정감록, 기억의 형성과 예언서 출현: 1739년 李濱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018. 84(0). pp.215-253.
  18. 김언순. 18세기 종법사회 형성과 사대부의 가정교화: 가훈서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2009. 83(0). pp.117-156.
  19. 김옐레나. 1864~1937년간 연해주 한인의 인구 변동과 경제활동.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0. 김탁. 조선의 예언사상(하). 성남. 북코리아. 2016.
  21. 두산백과. 두피디아. [cited 2020 April 1]; Available from: https://www.doopedia.co.kr/
  22. 뒤바보. 俄領實記. 獨立新聞. 1920년 3월 1일자 8면.
  23. 劉寅 直解. 成百曉.李鍾德 譯註. 文韜 六守第六. 역주 육도직해 삼략직해.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3.
  24. 박상현. 18세기 '海島眞人說'의 변화 양상과 의미.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5. 박학래. 蘆沙 奇正鎭의 現實認識과 社會改革論 - 衛正斥邪論을 中心으로. 동양철학연구. 2004. 36(0). pp.125-147.
  26. 반병률. 러시아원동지역 초기 한인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 역사문화연구. 2011. 40(0). pp.281-340.
  27. 배우성 외 4인 옮김. 國譯 同文彙考 犯越史料4.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2.
  28. 백기인. 병인양요 전후 해방론(海防論)의 전개. 이순신연구논총. 2011. 16(0). pp.1-16.
  29. 변주승. 조선후기 유민의 북방 변경 유입과 그 실태. 국학연구. 2008. 13(0). pp.195-223.
  30. 보리쓰 박. 러시아제국의 한인들(극동기). 청주. 청주대학교출판부. 2002.
  31. 세와키 히사토(瀨脇壽人). 구양근 역. 블라디보스토크 견문잡기(烏剌細窊斯杜屈見聞雜誌). 한일관계사연구. 1998. 9(0). pp.212-283.
  32. 安春根 編. 枇雞鄭鑑錄眞本. 鄭鑑錄集成. 서울. 亞細亞文化社. 1973.
  33. 여상진. 18세기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巡歷) 노정과 주요 업무.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 18(9). pp.84-91. https://doi.org/10.5762/KAIS.2017.18.9.84
  34. 이당규. 關北日記. 1冊(규장각 청구기호: 한은 218).
  35. 이동진. 1872년 '江北'의 조선인 사회 - 「江北日記」에 나타나는 민족, 국가, 지역. 동북아 역사논총. 2005. 8(0). pp.285-332.
  36. 이민수 역주. 정감록. 서울. 홍신문화사. 1985.
  37. 이상익. 衛正斥邪派의 外勢에 대한 인식과 대응. 태동고전연구. 2003. 20(0). pp.1-45.
  38. 이윤. 俄國輿地圖의 地圖와 註記 分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9. 이제마. 이창일 역주. 東武遺稿. 청계. 성남. 1999.
  40. 이흥권. 19세기~20세기초 조선의 滿洲 이주민정책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1. 전제훈. 조선시대 이양선과 해난구조사상 연구. 한국도서연구. 2018. 30(4). pp.1-24.
  42. 정약용. 다산시문집. 한국고전종합 DB. [cited 2021 April 10]; Available from: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60A&solrQ=query%E2%80%A0%E8%8C%B6%E5%B1%B1%E8%A9%A9%E6%96%87%E9%9B%86$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 %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26$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SJ_ITKC_BT_1260A
  43. 정원용. 北行隨錄. 北略擬議上. 北關總錄.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cited 2021 March 2]; Available from: https://kyudb.snu.ac.kr/
  44. 정형지. 19세기 전반 유민에 관한 연구. 國史館論叢. 1996. 72(0). pp.185-225.
  45. 최성운. 조선 말 조선인들의 연해주 이주를 유인하는 소문과 월경에서 드러나는 조선인들의 사회적 연대 연구: 1864~1877년까지를 중심으로. 장서각. 2021. 45(0). pp.384- 433.
  46. 최성운.황지혜.김남일. 「東武遺稿.知風兆」를 통해 본 이제마의 군사학적 배경이 그의 의학사상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지. 2019. 32(2). pp.29-41. https://doi.org/10.15521/jkmh.2019.32.2.029
  47. 최성운. 황지혜. 하동림. 진해현감 이제마와 그에 대한 당대의 평가에 관한 연구: 官側 사료 「各司謄錄」 「統制營啓錄」과 「外案」 및 「鎭海郡邑誌」 「官蹟邑先生案」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20. 33(1). pp.79-97. https://doi.org/10.15521/JKMH.2020.33.1.079
  48. 최영화. ≪北行隨錄≫을 통해 본 鄭元容의 북방 인식. 동아인문학. 2015. 31(0). pp.245-275.
  49. 최종범. 최강현 역주. 간도개척비사 - 강북일기(江北日記). 고양. 신성출판사. 2004.
  50. 최진욱. 19세기 海防論 전개과정 연구: 申櫶의 海防論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江北日記.江左輿地記.俄國輿地圖.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52. 한국학중앙연구원. 知彀官廳日記. 디지털장서각. [cited 2019 November 24]; Available from: http://jsg.aks.ac.kr/
  53. 한승훈. 조선후기 변란의 종교사 연구: 추국자료로 본 반란과 혁세 종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54. 황성우. 러시아 소볼 호 사건의 의미. 슬라브 학보. 2013. 28(1). pp.219-247.
  55. 玄圭煥. 韓國流移民史 上. 서울. 語文閣. 1967.
  56. H. 쥐베르.CH. 마르탱. 유소연 옮김. (프랑스 군인 쥐베르가 기록한)병인양요. 파주. 살림출판사. 2010.
  57. 에쓰·베·시리게비치. 沿黑龍地方에 있어서의 農業과 植民問題. 콘닷치 총동 主宰 勅令 黑龍踏査隊의 報吿書 第5編. 페트로그라드. 1911.
  58. V. 바긴. 아무르의 한인들, 시베리아와 이곳에 인접한 국가들에 관한 역사-통계 정보집 제1권. 쌍뜨-뻬쩨르부르크. 1875-1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