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Non-Tariff Barriers on FTAs: Regarding Import Control Measures of the Target Country on Korea's FTA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비관세장벽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의 자유무역협정과 체결 대상국의 수입규제조치에 대하여

  • Received : 2021.05.30
  • Accepted : 2021.06.2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tariff barriers on the Free Trade Agreement. Currently, it has achieved significant export effects by signing free trade agreements with many countries in Korea. However, most countries have implemented non-tariff barriers to protect their industrie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non-tariff barriers in counterpart countries that have signed a free trade agre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analysis, first, prior studies were summarized, and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free trade agreements and non-tariff barriers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tariff barriers and export volume was analyzed. The targets of analysis are the United States, China, and Vietnam, which are Korea's three largest exporters. As for non-tariff barriers, anti-dumping tariffs, countervailing tariffs, and emergency import restrictions were analyzed as import regulatory measures. Findings -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can be seen that the decline in textiles, steel and electronics sectors is even greater. In the case of China, it can be seen that exports declined after imposing non-tariff barriers in the steel sector. Finally, it can be seen that exports declined after Vietnam implemented a non-tariff barrier on the steel sector. It was found that non-tariff barriers offset the effects of the Free Trade Agree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Currently, Korea has free trade agreements with numerous countries. However, after the free trade agreement entered into force, the number of annual average import regulation investigations for Korean products is on the rise. In the end, the implementation of non-tariff barriers is offsetting the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s. Therefore, when signing a free trade agreement,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prepare for import regulatory measures such as the insertion of provisions of non-tariff barrier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B5A07073448)

References

  1. 공윤엽(2018), "대구 중소기업의 FTA 활용, R&D 역량 및 기업가정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연구, 17(1), 89-112. https://doi.org/10.23029/JDGS.2018.17.1.89
  2. 권선혜, 최순권(2015), "FTA관련요인과 기업특성이 국내자동차부품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무역통상학회지, 15(4), 23-49.
  3. 김범수. 이주영(2015), "한.미 FTA가 對美수출에 미치는 영향: 관세율 인하효과와 非관세장벽 감소효과를 분리하여", 한국경제학보, 22(3), 497~516.
  4. 김석오, 정재완(2016), "미국 기업의 한-미 FTA 활용인식과 활용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관세학회지, 17(4). 121-145.
  5. 김용태.정재완(2013), "한국중소기업의 FTA 활용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관세학회지, 14(2), 45~64.
  6. 김재영.전병호.강병구(2015), "IT를 활용한 FTA/TBT 활성화 방안 연구: 한-미, 한-EU 사례를 중심으로", 전자무역연구, 13(3), 113~133. https://doi.org/10.17255/etr.13.3.201508.113
  7. 김창로.김용덕(2008), "무역상 기술장벽으로서의 표준에 대한 중소기업이 인식과 표준화 정책방향", 무역학회지, 33(5), 1-23.
  8. 김창봉, 임승택(2016), "글로벌 e비즈니스 환경에서 FTA의 경제적 효과와 아웃소싱 간의 관계가 기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7(4), 351-366.
  9. 김창봉, 정재우, 남윤미, 이주연(2018), "자원기반관점(RBV)의 원산지관리역량이 FTA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통상정보연구, 20(1), 153-176.
  10. 김홍률(2016), "중국 무역기술장벽(TBT) 규모추정과 한중FTA에의 시사점", 무역통상학회지, 16(2), 1~22.
  11. 김홍률(2017), "한.중간 사드분쟁이 중국의 비관세장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32(3), 211-230.
  12. 나도성, 윤영호(2011), "FTA환경 하의 수출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6(3), 23-51.
  13. 도언정.배정한(2012), "수출기업의 대아세안 FTA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기업 규모별 FTA 활용 성공전략 사례분석을 통해서", 통상정보연구, 14(4), 457~488. https://doi.org/10.15798/KAICI.14.4.201212.457
  14. 박근호(2017), "농업수출과 비관세장벽, 글로벌가치사슬 간 관계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75(1), 179-198.
  15. 박근호(2015), "중소수출기업의 기업가지향성과 FTA활용역량, 수출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6(1), 85-105.
  16. 박명현.오준석(2015), "비관세장벽으로의 TBT.SPS와 경영전략 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61-487.
  17. 박명현.오준석(2015),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출액에 대한 비관세장벽 영향 차이 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3-280.
  18. 박종찬.박상길(2010), "한중일 관세 및 비관세장벽과 주요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5(5), 25-54.
  19. 박주근(2010), "WTO/TBT 협정에 따른 표준의 투명성 이행조치가 한국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국제통상연구, 15(4), 25-57.
  20. 손기윤(2015), "한-중 FTA의 비관세장벽규정 분석", 국제경제법연구, 13(2), 61-76.
  21. 손수석(2012), "한-미 FTA가 대구.경북의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경제연구, 30(4), 89~113.
  22. 손수석(2015), "한-EU FTA 발효 3년의 성과와 향후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유럽연구, 33(2), 191-221. https://doi.org/10.17052/JCES.2015.33.2.191
  23. 송윤아, 강지원, 이재은(2016),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 체결 FTA 활용성과와 학습지향성이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무역학회지, 41(5), 41-62.
  24. 송희영.이영주(2008), "한.미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관세학회지, 9(2), 1~23.
  25. 왕상한, 박언경(2016), "중국 위생검역분야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한-중 FTA 이행방안", 경희법학, 51(2), 303-334.
  26. 윤성욱, 신지연(2015), "한-중 FTA 금융협정의 성과와 한계: 중국-대만 ECFA 금융협상과의 비교", 국제통상연구, 20(4), 155-184.
  27. 윤영호, 나도성(2013), "FTA활용역량과 수출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자원기반관점을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38(2), 295~319.
  28. 이길남.윤영한(2005), "WTO의 기술적 무역장벽 및 위생.검역조치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국제상학, 20(2), 203-207.
  29. 이남구, 양석준(2016), "FTA 활용이 농식품 중소기업의 수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 내 인적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식품유통연구, 33(3), 135-158.
  30. 이석동, 이춘수(2015), "한.미 FTA 협정에따른 교역성과에 관한 소고: 대미 섬유류 수출중심으로", 관세학회지, 16(1), 107-127.
  31. 이시영, 전성희(2004), "한. 일 FTA:비관세 장벽과 피해산업", 일본연구논총, 19, 157-180.
  32. 이종서(2009), "한-EU FTA 이후 신(新)비관세장벽에 관한 연구: 도시간 공동조달정책을 중심으로",국가안보와 전략, 9(2), 107-150.
  33. 이탁.윤기관(2014), "비관세장벽이 한중 농산물 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동북아경제연구, 26(1), 35-60.
  34. 장용준.남호선(2010), "최근 WTO 회원국들의 TBT 동향과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료
  35. 장용준.서정민.김민성.양주영(2011), "무역상 기술장벽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료.
  36. 정재우, 이길남(2014), "EU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이해를 통한 EU시장 개척 방안", 통상정보연구, 16(4), 187-221. https://doi.org/10.15798/KAICI.16.4.201409.187
  37. 정환우(2013), "중국의 비관세장벽과 한.중 FTA 협상시사점: 기술무역장벽(TBT)과 위생 및 식물위생(SPS)을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1(3), 89-115.
  38. 전정기.이성형.이대풍(2012), "SPS협정상 위생검역조치의 적용과 필요이상의 무역제한적 조치'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7(1), 45-67.
  39. 정인교(2009), "우리 기업의 FTA 활용도 조사 및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국제지역연구, 13(3),
  40. 정진섭.이민재(2012), "FTA를 활용한 해외직접투자 활성화 전략", 국제경영리뷰, 16(3), 203-234.
  41. 조미진, 장용준, 김한성(2013), "한.ASEAN FTA의 수출 성과 분석", 국제통상연구, 18(1), 25-55.
  42. 천주학, 한인수, 오근엽(2017), "FTA 원산지관리시스템 만족도와 성과의 관계 실증 분석", 국제통상연구, 22(3), 59-84.
  43. 최단비, 이춘수(2017), "내적.외적요인과 한.미 FTA 수출성과: 부산, 경남 중소기업 중심으로", 국제상학, 32(2), 129~145.
  44. 최보영(2016), "한.중.일의 비관세장벽이 3국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28(2), 39-67.
  45. 최영준(2016), "지역무역협정(RTA) 비관세장벽의 완화 효과: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APTA) 중심으로", 무역통상학회지, 263 ~ 281.
  46. 최의현 . 태동유(2013), "한.중 FTA 체결이 지역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기업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36(4), 57~84. https://doi.org/10.21196/aprc.36.4.201302.002
  47. 최창범(2015), "수출중소기업의 FTA 원산지관리 담당자의 실무역량과 원산지 검증성과 간의 관계", 무역학회지, 40(5), 361-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