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on Effects of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여중생의 신체이미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건강자기효능감과 활동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0.28
  • Accepted : 2021.11.17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42 in middle school gir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measuring tools for body imag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23.0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with a parallel structure. Results: Body imag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self-efficacy (r=.28, p=.001), activity confidence (r=.45,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37, p<.001). Health self-efficacy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tivity confidence (r=.51,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63, p<.001). Activity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health promoting behavior (r=.67, p<.001). Furthermore, health self-efficacy (B=.35, p<.001) and activity confidence (B=.38, p<.001)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e impact of body imag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was mediated by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Result suggest that strategies for improving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in middle school girl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강혜경. (2007). 표준체중 아동과 비만 아동의 자기효능감 비교[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 권일남, 김태균. (2009).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영역구성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6(3), 67-89.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청소년활동 개념 재정립에 관한 연구: 역량계발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 김경미. (2013).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 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5. 김경미, 권일남. (2016).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활동연구, 2(2), 67-90.
  6. 김경희, 한창현, 권진희, 이성국. (2001). 대구지역일부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2), 65-82.
  7. 김정숙, 강숙.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421-430.
  8. 김수린, 유조안. (2014).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21(6), 135-159.
  9. 김재숙,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957-968.
  10. 김진선, 심미정, 권인숙. (2018).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기술의 융합, 4(4), 57-65. https://doi.org/10.17703/JCCT.2018.4.4.57
  11. 김해숙. (2006). 중학생들의 신체상에 대한 인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2. 남수정, 이은희, 황혜선. (2009). 청소년 소비자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의복구매행동모델: 대중매체몰입과 신체조건 차이지각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2(1), 123-146.
  13. 박윤주. (2014).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건강증진학교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14. 반기완. (2015).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 :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15. 서희진, 김기운. (2017). 스포츠활동이 청소년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6(4), 23-45.
  16. 송경자, 이미숙. (200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지각적. 태도적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7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2), 97-110.
  17. 송인한, 박장호. (2011). 청소년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간 유대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8(6), 75-98.
  18. 신수경, 최낙천. (2017).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81-207.
  19. 심미경. (2005).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사회적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8(1), 64-74.
  20. 정계선. (2021). 동영상을 활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활력, 건강 자기효능감, 신체 자기 효능감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9), 277-290.
  21. 안숙자, 박주원. (2001). 서울지역 주민의 연령, 성별에 따른 식사행동 및 식품인식도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7(5), 441-455.
  22. 오정우. (2017). 한국 청소년의 행동습관 패턴과 건강의 연관성[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3. 유미진. (2010). 초등학생의 비만도, 신체상,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4. 유수정, 이경숙, 김주현, 임경춘, 박진숙. (2014). 간호학과 여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체중지각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기초간호학회, 16(1), 60-68.
  25. 윤병준. (2019).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건강관련 행위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5(1), 11-22. https://doi.org/10.22900/KPHR.2019.45.1.002
  26. 윤진. (1993). 청소년심리학. 서울: 도서출판서원.
  27. 윤현정. (2020). 고등학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硏究, 28(2), 98-105.
  28. 이나현. (2010). 고등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창원: 창원대학교대학원.
  29. 이상경. (2010). 청소년수련관 활동프로그램의 역량중심 분류화 분석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30.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01
  31. 임희진, 백혜정, 김동식. (2019).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85.
  32. 전경숙. (2001). 여자 중ㆍ고교생의 신체만족도와 의복 만족도의 관계연구. 한국복식학회, 51(5), 5-16.
  33. 조현주. (2020).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활동연구, 6(1), 25-46. https://doi.org/10.36697/SKYA.2020.6.1.25
  34. 최수전. (1998).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3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36. Brown TA, Cash TF, Mikulka PJ. (1990). Attitudinal body-image assessment: Factor analysis of the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1-2), 135-14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501&2_13
  37. Burnette CB, Kwitowski MA, Mazzeo SE. (2017). "I don't need people to tell me I'm pretty on social media:"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media and body image in early adolescent girls. Body Image, 23, 114-125. doi:https://doi.org/10.1016/j.bodyim.2017.09.001
  38. Carlson JD. (2004). Body image among adolescent girls and boys: a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40(5), 823. https://doi.org/10.1037/0012-1649.40.5.823
  39. Diedrichs PC, Atkinson MJ, Garbett KM & Leckie G. (2021). Evaluating the "Dove Confident Me" Five-Session Body Image Intervention Delivered by Teachers in School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Effectiveness Trial.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68(2), 331.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20.10.001
  40. Ghasem V, Simbar M. Fakari FR, Ghare Naz MS & Kiani Z. (2019). The effect of peer education on health promotion of Irania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s, 7(3), 9139-9157. https://doi.org/10.22038/ijp.2018.36143.3153
  41. Hayes, A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42. Jackson TCH. (2014). Risk Factors for Disordered Eating During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A Two Year Longitudinal Study of Mainland Chinese Boys and Girl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42(5), 791. https://doi.org/10.1007/s10802-013-9823-z
  43. Jessor R. (1991).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12(8), 597-605. https://doi.org/10.1016/1054-139x(91)90007-k
  44. Kantanista A, Krol-Zielinska M, Borowiec J & Osinski. (2017). Is Underweight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Body Image? Results of a Cross-Sectional Study in Adolescent Girls and Boys.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20, E8. doi:10.1017/sjp.2017.4
  45. Lewer M, Bauer A, Hartmannn AS & Vocks S. (2017). Body Image Disturbance in Binge Eating Disorder: A Review. Nutrients, 9(12), 1294. https://doi.org/10.3390/nu9121294
  46. Meier EP, Gray J. (2014). Facebook photo activity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urbance in adolescent girl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7(4), 199-206. https://doi.org/10.1089/cyber.2013.0305
  47. Pender N.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II. Appleton and Lange, 115-144.
  48. Prabhu S, D'Cunha D. (2018). Comparison of body image perception and the actual BMI and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adolescents. Int. J. Health Allied Sci, 7, 145-149. doi:10.4103/ijhas.IJHAS_65_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