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211130.02

Mediation Effects of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Ryu, Jeong Lim (Kunsan College of Nursing)
Back, Su-Mi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2, no.4, 2021 , pp. 1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42 in middle school gir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measuring tools for body imag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23.0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with a parallel structure. Results: Body imag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self-efficacy (r=.28, p=.001), activity confidence (r=.45,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37, p<.001). Health self-efficacy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tivity confidence (r=.51,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63, p<.001). Activity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health promoting behavior (r=.67, p<.001). Furthermore, health self-efficacy (B=.35, p<.001) and activity confidence (B=.38, p<.001) showe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e impact of body imag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girls was mediated by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Result suggest that strategies for improving health self-efficacy and activity confidence in middle school girl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
Keywords
Activity confidence; Body image;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eier EP, Gray J. (2014). Facebook photo activity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urbance in adolescent girl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7(4), 199-206.   DOI
2 Ghasem V, Simbar M. Fakari FR, Ghare Naz MS & Kiani Z. (2019). The effect of peer education on health promotion of Irania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s, 7(3), 9139-9157. https://doi.org/10.22038/ijp.2018.36143.3153   DOI
3 송인한, 박장호. (2011). 청소년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간 유대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8(6), 75-98.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5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DOI
6 이상경. (2010). 청소년수련관 활동프로그램의 역량중심 분류화 분석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7 윤현정. (2020). 고등학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硏究, 28(2), 98-105.
8 Pender N.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II. Appleton and Lange, 115-144.
9 남수정, 이은희, 황혜선. (2009). 청소년 소비자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의복구매행동모델: 대중매체몰입과 신체조건 차이지각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2(1), 123-146.
10 이나현. (2010). 고등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창원: 창원대학교대학원.
11 임희진, 백혜정, 김동식. (2019).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85.
12 조현주. (2020).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활동연구, 6(1), 25-46.   DOI
13 Hayes, A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14 최수전. (1998).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5 Brown TA, Cash TF, Mikulka PJ. (1990). Attitudinal body-image assessment: Factor analysis of the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1-2), 135-144.   DOI
16 Carlson JD. (2004). Body image among adolescent girls and boys: a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40(5), 823.   DOI
17 Jackson TCH. (2014). Risk Factors for Disordered Eating During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A Two Year Longitudinal Study of Mainland Chinese Boys and Girl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42(5), 791.   DOI
18 Kantanista A, Krol-Zielinska M, Borowiec J & Osinski. (2017). Is Underweight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Body Image? Results of a Cross-Sectional Study in Adolescent Girls and Boys.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20, E8. doi:10.1017/sjp.2017.4   DOI
19 Lewer M, Bauer A, Hartmannn AS & Vocks S. (2017). Body Image Disturbance in Binge Eating Disorder: A Review. Nutrients, 9(12), 1294. https://doi.org/10.3390/nu9121294   DOI
20 오정우. (2017). 한국 청소년의 행동습관 패턴과 건강의 연관성[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1 Prabhu S, D'Cunha D. (2018). Comparison of body image perception and the actual BMI and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adolescents. Int. J. Health Allied Sci, 7, 145-149. doi:10.4103/ijhas.IJHAS_65_16
22 신수경, 최낙천. (2017).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81-207.
23 Diedrichs PC, Atkinson MJ, Garbett KM & Leckie G. (2021). Evaluating the "Dove Confident Me" Five-Session Body Image Intervention Delivered by Teachers in School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Effectiveness Trial.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68(2), 331.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20.10.001   DOI
24 권일남, 김태균. (2009).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영역구성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6(3), 67-89.
2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청소년활동 개념 재정립에 관한 연구: 역량계발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김경미, 권일남. (2016).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활동연구, 2(2), 67-90.
27 김경희, 한창현, 권진희, 이성국. (2001). 대구지역일부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2), 65-82.
28 김수린, 유조안. (2014).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21(6), 135-159.
29 김재숙,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957-968.
30 김해숙. (2006). 중학생들의 신체상에 대한 인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31 심미경. (2005).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사회적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8(1), 64-74.
32 반기완. (2015).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 :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33 서희진, 김기운. (2017). 스포츠활동이 청소년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6(4), 23-45.
34 송경자, 이미숙. (200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지각적. 태도적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7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2), 97-110.
35 안숙자, 박주원. (2001). 서울지역 주민의 연령, 성별에 따른 식사행동 및 식품인식도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7(5), 441-455.
36 유수정, 이경숙, 김주현, 임경춘, 박진숙. (2014). 간호학과 여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체중지각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기초간호학회, 16(1), 60-68.
37 윤병준. (2019).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건강관련 행위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5(1), 11-22.   DOI
38 김정숙, 강숙.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421-430.
39 강혜경. (2007). 표준체중 아동과 비만 아동의 자기효능감 비교[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40 김경미. (2013).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 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41 박윤주. (2014).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건강증진학교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42 김진선, 심미정, 권인숙. (2018).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기술의 융합, 4(4), 57-65.   DOI
43 정계선. (2021). 동영상을 활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활력, 건강 자기효능감, 신체 자기 효능감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9), 277-290.
44 유미진. (2010). 초등학생의 비만도, 신체상,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45 Jessor R. (1991).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12(8), 597-605.   DOI
46 윤진. (1993). 청소년심리학. 서울: 도서출판서원.
47 전경숙. (2001). 여자 중ㆍ고교생의 신체만족도와 의복 만족도의 관계연구. 한국복식학회, 51(5), 5-16.
48 Burnette CB, Kwitowski MA, Mazzeo SE. (2017). "I don't need people to tell me I'm pretty on social media:"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media and body image in early adolescent girls. Body Image, 23, 114-125. doi:https://doi.org/10.1016/j.bodyim.2017.09.00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