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tial Factors on Dental Hygien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치위생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지역 일부 학생을 중심으로

  • Kang, Hyun-S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
  • So, Mi-H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 강현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 소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21.10.26
  • Accepted : 2021.11.17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Objectives: Reportedly,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fe were social support, stress, adaptation resilienc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ctual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find an intervention plan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eventing their dropout. Method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with 270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June 21 to July 2,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Program Version 22.0. Results: Firstly, students living together with their family, those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ose doing a club activity related to their major scored high points in terms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the adaptation points were high in those whose school entrance motivation was arbitrary, and in those who enter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Secondly, college life stress was high in those whose entrance motivation was in other persons' will, those who entered in the department due to their school record and occupation, rather than aptitude, those who were also doing a part-time job, and those whose economic level was low. Thirdly, adaptatio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high in those who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ose who entered in the department in consideration of aptitude, and those whose economic level was high. Fourthly,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llege life stress, followed by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aptation resilience in order. Conclusion: Given all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dental hygiene students' levels of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resili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ntrance, and to operate a school life adaptation program in line with school years. If any customized support and training are given to these students to deal with a variety of stress situations resiliently and wisely and achieve their jobs successfully,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adaptation resilience, and thereby increase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도 수원여자대학교 순수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김진희, 도재우. (2012).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플래너 활용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18(1), 111-131.
  2. 김혜미, 문혜진, 장혜림. (2015). 성인기 자아존중 감 변화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7(1), 83-107.
  3. 김설환, 손정락. (2018).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8), 331-339. https://doi.org/10.14400/JDC.2018.16.8.331
  4. 김예정. (2017).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5. 김재희, 정숙랑, 지현진, 정경주, 서유진, 김진현. (2015). 간호대학생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6(9), 6027-6035.
  6. 고수현, 이지영. (2013). 대학생의 동아리활동이 학교생활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1), 35-51.
  7. 노소영. (2017).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 25(2), 203-209.
  8. 대학알리미. 2021.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9.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0. 서기자. (201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적 적용. 문학치료연구, 25, 75-101.
  11. 이재명. (2009).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상담평가학회, 2(1), 1-18.
  12.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201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4(2), 15-27.
  13. 이영미, 민하영, 이윤주. (2004). 부모간의 갈등 및 성인애착에 따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63-72.
  14. 이경아, 손희원.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5), 239-254. https://doi.org/10.15207/JKCS.2021.12.5.239
  15. 이은희, 박상준. (2012).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성과 활용. 교육종합연구, 10(2), 69-93.
  16.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17. 이정희, 정경연. (2007).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 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407-429.
  18. 이윤정. (2000).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임순선. (2013).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박사학위논문]. 대구: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20. 오지연, (2016).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자기 효능감, 소진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서산: 한서대학교 대학원.
  21. 양영옥, 이선옥. (201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2(2B), 979-989.
  22. 유자혜, 김정희. (2016).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병원실습 만족도와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6(1), 62-69.
  23. 정은이, 박용한. (2009).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1(2), 69-92.
  24. 전소연. (2010).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11(1), 93-115.
  25. 전미경, 김민숙. (2013). 일 간호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및 생활 스트레스. 디지털융복합연구, 11(4), 293-302. https://doi.org/10.14400/JDPM.2013.11.4.293
  26. 전겸구.김교헌.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27.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 (2015).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5(3), 219-228.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19
  28. 정효주, 정향인.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 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29. 정지은. (2013).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30. 정인희. (2012).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한국위기관리논집, 8(6), 231-247.
  31. 정효주, 정향인.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32. 조영아. (2021).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13), 247-262.
  33. 최바울. (2006).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이 대학생활의 적응과 스트레스 조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34. 학령인구추이. 교육통계서비스, 2021. https://kess.kedi.re.kr
  35. 한상철. (2014). 청소년 위험행동의 기능과 지도. 청소년행동연구, 19, 5-33.
  36. 한상철, 김판희. (2012). 유해환경에 대한 청소년의 자정능력 향상방안-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1, 121-145.
  37. 한미현.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2(1), 36-43.
  38. Baker RW, Siryk B. (1979).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9. Block, J., Letzring, T. D., & Funder, D. C. (2004). Ego-control and eg-resiliency: Generalization of self-report scales based on personality descriptions from acquaintances, clinicians, and the self. Journalof Research in Personality. Department of Psychology, of California, Riverside, CA 92521,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40.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1), 127-36.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41.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42. R. W. Baker, B. Siryk.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43.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44. Rak, C. F., Patterson, L. E. (1996). Promoting resilience in at-risk children. Jourm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 368-373.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6.tb01881.x
  45. T. M. Stephens. (2013). Nursing student resilience: a concept clarification. Nursing forum, 48(2), 125-133. https://doi.org/10.1111/nuf.1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