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College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성향 및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박정현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최혜정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21.08.30
  • Accepted : 2021.10.2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is to prepare measures to effectively improve college life adaptation by identifying relevance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college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375 dental hygiene students attending some local universities in Gyeonggi-do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periority-dominance tendencies were higher in first and third graders, in groups with grades above 4.0 and groups with lower subjective economic levels. And the stress of college life was high for second graders and students with lower grades than 2.0. Seco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governance-dominance, independence-responsibility, sympathy-acceptance, sociable-friendliness, and ostentation-intoxication of interpersonal tendency factors had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rebellion-distrust and college life stress had inverse relationship.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n the order of stress in college life, first grade, sociable-friendliness, second grade, rebellion-distrust.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college life adaptation, counseling and practical medi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effectively manage and control the negativity and positivity impli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김순혜, 김정원(2004). 대학생의 심리적 분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2), 83-97.
  2. 김진희(2016). 대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 자기 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7(1), 81-100.
  3. 김화선, 조경아, 노인숙(2019).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영향요인. 인문사회21, 10(3), 1067-1078.
  4. 김설환, 손정락(2018).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8), 331-339.
  5. 박진아, 이은경(201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행정학회지, 17(3), 267-2011.
  6. 성미경, 이유희, 윤정원(2020).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2), 45-51. https://doi.org/10.15207/jkcs.2020.11.2.045
  7. 송진열(2017).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2), 335-345.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335
  8. 안범희(1985).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9. 이미옥, 이지영, 정미경(2016).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성격 변인간의 관계 연구.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4(1), 41-47.
  10. 이미련, 남문희(2014).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관련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509-517. https://doi.org/10.14400/JDC.2014.12.6.509
  11. 유경희(2018).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3), 269-278.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3.269
  12. 이현주, 김혜졍(2015). 대학생의 SNS 중독 및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44-3954.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944
  13. 오윤희, 박명숙(2020).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331-341. https://doi.org/10.14400/JDC.2020.18.8.331
  14. 이윤정(1999).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5.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개발 연구. 2000 건강심리학회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70-88.
  16.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2015).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15(3), 219-228.
  17. 정혜윤(2016).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7), 259-268.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59
  18. 조보람, 이정민(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4), 1-11. https://doi.org/10.14400/JDC.2019.17.4.001
  19. 차남현(2016).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2), 124-131.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20. 허남숙, 이유희(2018).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대학생활 만족도와의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7), 141-147. https://doi.org/10.15207/JKCS.2018.9.7.141
  21. 하태희(2019). 일개 도시 대학생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생활 스트레스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5), 319-326. https://doi.org/10.14400/JDC.2019.17.5.319
  22. Baker, R. W., &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23. Krech, D., Crutchfield, R. S., & Ballachey, E. L.(1962). Individual in society: A text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Book Co., Inc.
  24. Leary, T.(1957). Interpersonal diagnosis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personality. New York: The Ronal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