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 of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rom 1983 to 2020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1983~2020년)

  • Received : 2021.08.19
  • Accepted : 2021.11.17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by the perio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A total of 1047 papers were analyzed from Volume 1 No. 1 in 1983 to Volume 39 No. 4 in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io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s was divided into infancy, settlement, development, and retainment peri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pers. Second, the ratio of research by more than three scholars, pure or funded research was decreasing. Third, the study subjects had a high rate of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research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mixed analysis studies were increasing as data analysis methods. Fifth, the occupation of the first author was professor (45.6%), teacher (39.8%), graduate student (10.6%), and researcher (1.7%) in that order. Sixth, the regions of the corresponding author we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in, the metropolitan areas. Finally, in order for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to continue to play a pivotal role in lead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journal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cademic executives, memb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3년 1권 1호부터 2020년 39권 4호까지 총 1,04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은 논문 편수에 급격한 변화가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태동기, 정착기, 발전기, 유지기로 구분하였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3인 이상의 연구와 순수·연구비 지원 연구가 감소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에 관한 연구 비율이 높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이었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분석과 혼합 분석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1 저자의 직업은 교수(45.6%), 교사(39.8%), 대학원생(10.6%), 연구원(1.7%) 순이었다. 여섯째, 교신저자의 지역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인에 집중되었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 학술지가 미래의 초등과학교육을 선도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술지 전반에 대한 개선 노력과 국내외 연구자, 학회 임원과 회원, 교육 기관의 지속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1.054
  2. 강은희, 이영미, 김남일(2018). 한국생물교육학회의 역사와 국내 생물교육 연구의 동향. 생물교육, 46(4), 543-555.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4.543
  3.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4. 권난주, 안재홍, 정철(2012). 국내 초등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환경교육, 25(1), 1-14.
  5. 김기융(1983). 초등과학교육 창간사. 초등과학교육, 1(1), 1.
  6. 김영민, 오종실, 한용술(1987). 한국의 과학교육 관련 학회들의 연구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15-20.
  7. 박승재, 조희형(2001). 과학교육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지영, 김희백(2007). 국내의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와 한국생물교육학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34(5), 551-565.
  9. 송판섭, 기수연, 김석중, 김정길, 김해경, 남철우, 홍행화(1999).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기간: 1992년-1996년). 초등과학교육, 18(1), 19-28.
  10. 신동희(2000).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4), 479-487.
  11. 신지원, 최애란(2014).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07-122.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07
  12. 안혜란, 유미현(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3), 401-420. https://doi.org/10.9722/JGTE.2015.25.3.401
  13. 윤진아, 서혜애(2016). 2010 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0(3), 267-286. https://doi.org/10.21796/jse.2016.40.3.267
  14. 이성용, 김진호(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지적장애연구, 19(1), 1-19.
  15. 이성용, 박소영(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특수교육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 특수교육연구, 26(1), 24-40.
  16. 이아람, 홍영식(2013). 한국초등과학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32(3), 260-268.
  17. 장병기(2003). 초등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초등과학교육, 22(2), 192-199.
  18. 장서연, 신동훈(2013). 우리나라 에너지 기후변화 교육연구의 실태 및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3(2), 115-125.
  19. 정경환, 원영신, 구송광(2015). 특수체육 연구동향 분석: 2011-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3(1), 79-90.
  20. 조혜숙, 남정희(2017).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539-5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539
  21. 최병순(1985). 과학교육의 연구동향 비교. 교원교육, 1(1), 37-50.
  22.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1991). 초등과학교육, 10(1), 서울: 거목문화사.
  23.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1998a). 초등과학교육 총서 I. 발행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1998b). 초등과학교육 총서 II. 발행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Bird, J. E. (1997). Authorship patterns in marine mammal science. Scientometrics, 39(1), 99-105. https://doi.org/10.1007/BF02457432
  26. Blaxter, L., Hughes, C., & Tight, M. (2010). How to research. McGraw-Hill Education (UK).
  27. Cronin, B. (1996). Rates of return of citation. Journal of Documentation, 52(2), 188-197. https://doi.org/10.1108/eb026967
  28. De Haan, J. (1997). Authorship patterns in dutch sociology. Scientometrics, 39(2), 197-208. https://doi.org/10.1007/BF02457448
  29. Hudson, J. (1996). Trends in multi-authored papers in economic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0(3), 153-158. https://doi.org/10.1257/jep.10.3.153
  30. Norris, R. P. (1993). Authorship patterns in CJNR: 1970-1991. Scientometrics, 28, 151-158. https://doi.org/10.1007/BF02016897
  31. Piette, M. J., & K. L. Ross. (1992).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co-authorship in economics.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23(3), 277-283. https://doi.org/10.1080/00220485.1992.10844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