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s of the Textbooks due to the shift of Pythagorean Theorem

피타고라스 정리의 이동으로 인한 제곱근과 실수 단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08.07
  • Accepted : 2020.09.2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shift of the Pythagorean theorem influenced the representation of irrational numbers in the 3rd grade textbook of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y textbook analysis. Specifically, the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irrational numbers were examined in two aspects based on the nature of irrational number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irst, we analyzed the lear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rrational numbers that were potentially provided by treating irrational numbers as geometric representations in textbooks, and confirmed that Pythagorean theorem was used. Next, we analyzed opportunitie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irrational numbers provided by numerical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related to the existence and necessity of irrational numbers that were potentially provided by changes in irrational number representation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본 연구에서는 피타고라스 정리의 이동으로 인해 2015 개정 중학교 3학년 교과서의 제곱근과 실수 단원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무리수의 표현 양식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을 기초로 두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교과서에서 무리수를 기하 표현으로 다룸으로써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무리수의 존재성과 관련된 학습 기회를 분석하였으며 기하 표현이 사용될 경우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무리수의 비분수, 소수 표현이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유리수가 아닌 수로서 무리수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무리수를 도입할 때 2015 개정 교과서에서 기하 표현을 사용한 빈도가 크게 높아지고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양한 무리수를 나타내는 기하 표현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한편, 유리수가 아닌 수로서 무리수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비분수 표현으로 무리수를 정의한 빈도는 낮아졌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과서에서 무리수 표현의 변화로 인한 무리수의 존재성 및 필요성과 관련된 학습 기회를 확인하고, 그 가능성과 제한점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 권언근, 이형주, 우희정, 윤상혁, 김태희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두산동아.
  2. 강옥기, 권언근, 황혜정, 전대열, 노지화, 우희정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동아출판.
  3. 강정기. (2016). 표기 관점에서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과 대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63-82.
  4. 강향임, 최은아. (2017).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학교수학, 19(2), 319-343.
  5. 고호경, 김응환, 양순열, 권세화, 권순학, 정낙영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교학사.
  6. 고호경, 김응환, 김인수, 이봉주, 한준철, 정낙연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교학사.
  7. 김민혁. (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8. 김서령, 이정례, 선우하식, 이진호, 김원, 김양수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9.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김수미, 배수경, 오혜정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비상교육.
  10. 김원경, 조민석, 방금성,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비상교육.
  11. 김유경, 김판수. (2012). 초등수학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재구성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71-489.
  12. 김화경, 나귀수, 이미라, 이애경, 권영기.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좋은책 신사고.
  13. 류희찬, 류성림, 이경화, 신보미, 강순모, 윤옥교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14. 류희찬, 선우하식, 신보미, 정동승, 장영훈, 설정수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15.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박만구, 변희현, 강은주 등. (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16. 박경미,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등.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BD15120005.
  17. 박교식, 강현영, 권석일, 남진영, 박선용, 이동환 등. (2013).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8.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동아출판.
  19. 변희현, 박선용. (2002). 무리수의 개념적 측면을 강조한 교육방안: 통약불가능성을 통한 무리수 고찰. 학교수학, 4(4), 643-655.
  20. 변희현. (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서보억. (2018). 학교수학에서 '피타고라스 정리'관련 내용의 재구조화 연구. A-수학교육, 57(2), 93-110.
  22. 신보미. (2008).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을 위한 유리수의 재해석에 대하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85-298.
  23. 신준국, 권오남, 윤갑진, 박종률, 김인수, 김부윤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두배의 느낌.
  24. 신항균, 황혜정, 이광연, 김화영, 조준모, 최화정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지학사.
  25. 오국환, 박정숙, 권오남. (2017).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A-수학교육, 56(2), 131-145.
  26. 우정호, 박교식, 이종희, 박경미, 김남희, 임재훈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두산동아.
  27. 이강섭, 최상기, 왕규채, 이강희, 송교식, 안인숙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미래엔.
  28. 이경화, 이은정, 박미미, 송창근. (2017).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학연구, 27(3), 469-489.
  29. 이영란, 이경화. (2006). Freudenthal 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30.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송영준, 윤상호, 황선미.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31.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김상미, 원유미, 강해기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32. 이지현. (2015).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263-279.
  33. 장경윤, 강현영, 김동원, 안재만, 이동환, 홍은지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지학사.
  34. 정상권, 이재학, 박혜숙, 홍진곤, 박부성, 강은주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금성출판사.
  35. 주미경, 강은주, 강소영, 강석주, 김호경, 오화평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금성출판사.
  36. 최은아, 강향임. (2016). 예비교사의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이해. 학교수학, 18(3), 647-666.
  37. 허민, 김선희, 도종훈, 조혜정, 조숙영, 이경은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대교.
  38. 황선욱, 강병개, 한길준, 한철형, 권혁천, 김의석 등.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좋은책 신사고.
  39. 황선욱, 강병개, 윤갑진, 이광연, 장홍월, 정종식 등. (2020). 중학교 수학 3. 서울: 미래엔.
  40. Courant, R. & Robbins, H. (1996). What is mathema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 Eves, H. (1999). 수학사 (이우영, 신항균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53년 출판)
  42. Gonzalez-Martin, A. S., Giraldo, V., & Souto, A. M. (2013). The introduction of real numbers in secondary education: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3), 230-248. https://doi.org/10.1080/14794802.2013.803778
  43. Gray, E. M., & Tall, D. O. (1994). Duality, ambiguity, and flexibility: A" proceptual" view of simple arithmetic.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6-140.
  44. Moreno-Armella, L. E. & Waldeg, G. C. (2000). An Epistemological history of number and variation. In V. J. Katz (Ed.), Using history to teach mathematic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Washington: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45. Peled, I., & Hershkovitz, S. (1999). Difficulties in knowledge integration: Revisiting Zeno's paradox with irrational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0(1), 39-46. https://doi.org/10.1080/002073999288094
  46. Sirotic, N., & Zazkis, R. (2007). Irrational numbers on the number line-where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8(4), 477-488. https://doi.org/10.1080/00207390601151828
  47. Zazkis, R. and Sirotic, N. (2004). Making sense of irrational numbers: focusing on representation, in Proceedings of 28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Bergen, Norway, Vol. 4, pp. 497-505.
  48. Zazkis, R. (2005). Representing numbers: Prime and irrational.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6(2-3), 207-217. https://doi.org/10.1080/00207390412331316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