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happy Start but Happy Ending?: Three 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the Era of Polarization

제21대 국회 개원 평가와 전망: 양극화 시대 국회 운영의 성공조건

  • 유성진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 Received : 2020.10.28
  • Accepted : 2020.12.1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article purposes to investigate opening proces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the middle of severe conflicts between two major-parties, and predict the changes it will bring to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 incumbent party's taking all leadership positions of standing committees, it broke the practice since 13th National Assembly, that is, distribution of the standing committees based on the seat-ratio. It means that our National Assembly has entered a new phas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ile the incumbent party, with overwhelming victory in general election, emphasizes that it should dominate legislative process to support the government, the out-party claims that they should take leverage to check over government. Two opposing trends are characteristically observed i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First of all, due to the experience under authoritarian regimes,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institutionalizing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he direction of enforcing cooperation between parties.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ation in political parties has been stronger, making it difficult to reach consensus between parties. This article claims strongly that the 21st National Assembly need to find a balance amid such two-conflicting trends. To do so, three necessary conditions are proposed: observing decision-making procedures, securing diversity within party and National Assembly, and deliberative legislative activities.

이 글은 제21대 국회의 출범과정에서 나타난 여야의 첨예한 대립이 우리 정치의 현실에 비추어 어떻게 평가될 수 있으며, 그것이 향후 국회 운영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전망하려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제21대 국회의 원구성 결과는 민주화 이후 지속되어 온 정당의 의석비율에 따른 상임위원장 배분 관행을 전면적으로 깨뜨렸으며, 이는 우리의 국회가 적어도 상당기간 동안 의사결정과정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선거에서의 압승을 통해 국회 운영에 있어서 압도적인 주도권을 갖게 된 더불어민주당은 '일하는 국회'를 기치로 내걸고 국회가 정파적인 다툼과 갈등을 넘어서 정부의 정책을 뒷받침해야 할 것을 역설하고 있는 반면, 지역구선거에서의 참패로 이전의 영향력을 크게 상실한 미래통합당은 국회의 행정부 견제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국회의 운영에 있어서는 두 가지 상반된 경향이 특징적으로 목격된다. 오랜 권위주의의 경험은 민주화에 따른 국회 기능의 정상화와 함께 집권여당의 독주를 견제하고 협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회의 의사결정과정을 변모시켰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강화되고 있는 정파적 양극화와 이에 따른 양당제의 고착은 정파적인 합의에 기반한 협치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인 동인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 글은 제21대 국회가 정파적 양극화와 협치의 제도화 속에서 균형점을 찾고, 유권자들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국회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절차적인 준수, 국회 내의 다양성 확보, 그리고 숙의의 과정을 통한 입법활동은 제21대 국회가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뒤로 하고 대의민주주의의 핵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