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ing's Status Reflected in The Joseon Dynasty's Document transmission System

조선 문서행이체제에 반영된 국왕의 위상

  • Received : 2020.09.29
  • Accepted : 2020.10.26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king in the Joseon dynasty's document transmission system, focusing on some exceptional cases. According to the Joseon's law,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depended on rank differences between receiver and sender. However, there were cases of not following the general principles such as Byungjo(兵曹), Seungjeongwon(承政院) and Kyujanggak(奎章閣). Byungjo was a ministry in charge of military administration. Seungjeongwon was a royal secretary institution which assisted the king and delivered king's orders that existed from the early Joseon. Kyujanggak was a royal library and an assistant institution of the king that was established in the JeongJo(正祖) era. Byungjo was regarded as a relatively high-ranking institution when it sent and received military-related documents. Seungjeongwon and Kyujanggak could use Kwanmoon(關文) to upper rank institution. Kwanmoon was the document form used for institutions of the same or lower rank than itself. Conversely, higher rank institutions used Cheobjeong(牒呈) which was stipulated as a document form to using upper rank institution in law to send them. The reason that they could have privileges in transmission document system was that Joseon had an administrative system centered on the king. Byungjo was an institution entrusted with military power from King. Seungjeonwon and Kyujanggak took charge of the assistance and the delivery of King's order. so they could have a different system of receiving and sending document than the others. In conclusion, the Joseon Dynasty operated exceptions in document administration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king, it means Joseon's transmission document system was basically operated under the Confucian bureaucracy with the king as its peak.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서행이체제의 일반적인 원칙을 따르지 않았던 일부 예외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 문서행이체제상에서 국왕이라는 존재가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의 문서행정체계에서는 관청 간 지위 고하에 따라 발신기관이 사용할 수 있는 문서식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원칙이 통용되지 않은 사례들이 확인되는데, 병조(兵曹)와 승정원 및 규장각의 문서행이체제 등이 그러하다. 병조는 군정(軍政)을 담당하는 정2품의 실무기관이며, 승정원은 조선 건국 초기부터 존재한 국왕의 비서조직으로서 국왕의 보좌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한 정3품의 아문이다. 규장각은 정조대에 일종의 왕실 도서관이자 국왕의 보좌기구로서의 역할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종2품의 아문이다. 병조는 군사(軍事)와 관계된 사안에 한해서는 직품이 동일한 서울과 지방 군사기구에 대해서도 문서행정체계상의 상급 기관으로서 간주되었다. 또한 승정원과 규장각은 상급기관을 대상으로 동등 이하에 보내는 문서식인 관문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상급기관이 오히려 이들에게 동등 이상에 보내야 하는 첩정식을 사용해야 했다. 이들 기관이 문서행이체제상에서 이와 같은 특수성을 누릴 수 있었던 이유는 조선이 국왕을 중심으로 한 행정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병조는 국왕이 직접 행사하는 군권을 위임받아 시행하는 기구였으며 승정원과 규장각은 국왕의 보좌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는 기관이기에, 일반적인 관청과 달리 품계에 따른 문서식에 구애받지 않았던 것이다. 즉 조선은 관청 간 문서행이체제의 원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이라는 존재에 근거한 예외사항을 운영하였으며, 이는 조선 문서행이체제가 기본적으로 국왕을 정점으로 한 유교관료체제하에서 운영된 것이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국대전
  2. 고려사
  3. 규장각지
  4. 대전통편
  5. 대전회통
  6. 비변사등록
  7. 속대전
  8. 송사
  9. 승정원일기
  10. (조선왕조)실록
  11. 용재수필
  12. 주자어류
  13. 홍무예제
  14. 민현구. 1983.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서울: 한국연구원.
  15. 최승희. 1989. (증보판)한국고문서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16. 박준호. 2003. 홍무예제와 조선 초기 공문서 제도. 고문서연구, 22.
  17. 박준호. 2006. 경국대전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고문서연구, 28.
  18. 김건우. 2007. 조선후기 경상우병영의 문서행정에 관한 일고찰: 영총을 중심으로. 규장각, 31.
  19. 박재우. 2008. 고려시대의 관문서와 전달체계. 고문서연구, 33. https://doi.org/10.21027/MANUSC.2008.33..013
  20. 박준호. 2009. 예(禮)의 패턴: 조선시대 문서 행정의 역사. 서울: 소와당.
  21. 심영환. 2009. 조선초기 관문서의 홍무예제 정장식 수용 사례. 장서각, 21.
  22. 문보미. 2010. 조선시대 관문서 관의 기원과 수용: 행이체계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37. https://doi.org/10.21027/MANUSC.2010.37..004
  23. 김건우. 2012.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영남학, 21.
  24. 조계영. 2012. 오경백편의 선사와 규장각의 문서 행정. 한국문화, 60.
  25. 강은경. 2014. 고려초 문서행정의 구조와 부서간 문서전달. 한국중세사연구, 39.
  26. 김웅호. 2017.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