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gal Issue in Case of Death or Injury of an International Crew While on Board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이 항공기내에서 사상(死傷)을 당한 경우 법률관계 - 국내외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6.09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Air passengers may be compensated for damages based on the above agreement when the passenger suffers an accident to the extent that they are recognized as an accident under Article 17 of the Montreal Convention in 1999. If a flight or cabin crew and passengers both undergo an accident, passengers are subjected to compensation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however flight cabin crews will be compensated by the Labor Law, which is the governing law in the labor contract with the airline. The flight or cabin crew boarding the aircraft work is on a work contract, not a passenger transport contract. Therefore, if the flight or cabin crew on the aircraft is injured due to an accident, and the air carrier is liable for default due to a labor contract, the Labor Law, workers or survivors claim damages due to illegal acts against the employer. In which case, civil law will apply. In this regard, if a Chinese cabin crew working for a Chinese airline dies due to an accident in the Republic of Korea, whether the family of the deceased claims damages against the Chinese airline or not has international court jurisdi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the place of tort. We examined whether it is the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or whether it's the Chinese law, the law applicable to the work contract, is applied. Also, Seoul District Court 1995.5.18. The sentence 94A 14144 was found that if the injured crew during the flight work was not satisfied with the insurance compensation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he could claime to damage under the civil law against an air carrier or third parties responsible for the accident. This law case shows that you can claim a civil damage as a cause. In case of death due to an existing illness while on the way to work, the Korea Workers'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did not recognize the death of the deceased as an occupational accident, and the trial was canceled by the parents of the deceased for the survivor's benefit and funeral expenses. (Seoul Administrative Court 2017.8. 31. Although the sentence was judged as an occupational disaster in 2016, the 2016 8816 Decision), it was defeated in the appeals court (Seoul High Court 2018.7.19.Sentence 2017 No. 74186) and I criticized the judgment of the appeal by analyzing the deceased's disease and related the cause of it to workload. Sometimes, a flight or cabin crew is on board not for the flight duty such as transferring to another flight or returning to the home base or lay-over place after their scheduled flight, this is called "Deadheading". If the crew who is not considered the same as a passenger, but is not on duty, is injured in an accident, does the crew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under the labor contract or whether the Montreal Convention is applied to the passenger. In conjunction with the discussion, there was a similar case, In re Mexico City Aircrash of October 31, 1979, 708 F.2d 400 (9th Cir. 1983), Demanes v. United Airlines, 348 F.Supp. 13 (C.D.Cal. 1972), Sulewski v. Federal Express Corp., 749 F.Supp. 506 (S.D.N.Y. 1990) and reviewed by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CJEU) at Wucher Helicopter GmbH and Euro-Aviation Versicherungs AG v. After examining several acts in several countries it's undeniably crucial to clearly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passenger" as stated in the Fridolin Santer case.

여객이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제17조상 사고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사상을 당하였을 때 항공운송인은 위 협약을 근거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같은 사고로 인하여 사상을 당한 경우 몬트리올협약을 배타적으로 적용받는 여객과는 달리 항공사와 체결한 근로 계약상 준거법인 노동법에 의하여 보상받게 된다. 승무원이 근로제공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은 근로계약을 근거로 한 것이지 항공여객운송계약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사고로 인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사상을 당한 경우, 사용자인 항공사에 대하여 근로계약에 기한 채무불이행 책임을 묻는 경우에는 노동법이, 근로자 또는 유족이 사용자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민법이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항공사에 근무하는 중국승무원이 대한민국에서 사고를 당하여 사망한 경우 유족이 중국 항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건에서 불법행위지인 대한민국에서 국제재판관할이 있는지 여부, 이때의 준거법은 법정지법인 대한민국법이 되는지 근로계약의 준거법인 중국법이 적용되는지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지방법원 1995.5.18. 선고 94가단14412판결은 비행근무 중 상해를 입은 승무원이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에 만족하지 않고, 사고에 관하여 책임이 있는 사용자나 제3자를 상대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근 중 기존의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사건에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망인의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하여 망인의 부모가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소송에서 1심(서울행정법원 2017.8.31. 선고 2016구합 81642 판결)에서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었지만, 항소심(서울고등법원 2018.7.19. 선고 2017누74186 판결)에서 패소하여 고인의 질병 및 업무량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항소심의 판결을 비판하였다. 승무원의 근무 형태는 타 직종과는 다르게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다른 근무지로 이동하거나 비행근무 종료 후 모기지 또는 체류지로 돌아오기 위하여 비행임무는 수행하지 않으나 비행근무시간의 50%만 인정받는 형태로 항공기에 탑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여객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는 없지만 비행임무를 하지 않는 승무원이 사고로 사상을 당한 경우 근로계약에 기인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것인지 국제항공운송에서 사고발생시 여객에게 적용되는 몬트리올협약이 배타적으로 적용될 지에 관한 논의와 함께 그와 관련된 판례인 In re Mexico City Aircrash of October 31, 1979, 708 F.2d 400 (9th Cir. 1983), Demanes v. United Airlines, 348 F.Supp. 13 (C.D.Cal. 1972), Sulewski v. Federal Express Corp., 749 F.Supp. 506 (S.D.N.Y. 1990)을 검토해 보고 유럽사법재판소(CJEU)에서 Wucher Helicopter GmbH and Euro-Aviation Versicherungs AG v. Fridolin Santer를 통하여 정의한 '여객'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 보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창영, "국제근로계약에 관한 국제재판관할", 노동법실무연구 제1권 3006. 12.
  2. 권창영, 김선아,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4권 제1호, 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9. 06.
  3. 김선아, 황호원, "객실승무원의 피로와 항공안전법상 근무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6권 제4호,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4. 김종복, "항공판례의 연구 -국제항공운송조약의 적용문제를 중심으로-",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1권 제1호, 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6. 06.
  5. 소재선, "항공기사고 손해배상청구에 있어서 준거법의 결정에 관한 소고",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5권 제3호, 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0.12.
  6. 유동현,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교대근무와 고혈압의 관련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14.
  7. 조정현.황호원, "항공기사고에서 국제근로계약과 불법행위의 국제재판관할권 판단기준",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1권 제2호, 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6. 06.
  8. 권창영, 항공법 판례해설 II - 항공노동법, 법문사, 2019.
  9. 권창영, 항공법 판례해설 III - 항공운송법, 법문사, 2020.
  10. 김연.박정기.김인유, 국제사법 제3판, 법문사, 2014.
  11. 노동법실무연구회, 근로기준법 주해 III제2판, 박영사, 2020.
  12. 석광현, 국제사법 해설, 박영사, 2013.
  13. 양승규, 국제항공운송법, 법문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