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ooden joinery technique of building members excavated at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동궁과 월지 출토 건축 목부재의 현황과 결구 제작기술의 수준

  • 서효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 손은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 이선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20.10.14
  • Accepted : 2020.11.17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wood joinery technique in the ancient era. Joinery is one of the core techniques in constructing timber frame archite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ese techniques can be revealed by examining wooden members of ancient buildings. The members were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the historic site in Gyeongju.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284 members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nd analyzes the details such as length, thickness, width, joint types, joint shapes.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indicate the level of wood joinery techniques in ancient buildings.

Keywords

References

  1. 경주 동궁과 월지 서편 건물지 복원고증연구 및 실시 설계- 수종고증,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2. 황룡사연구총서18 황룡사 건축도구 고증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8
  3.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78
  4.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5. 전통목조건축 결구법,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6. 김동현, 雁鴨池出土 木造建築部材에 對한 考察, 美術史學硏究, No.153, 1982
  7. 서동일, 신라 동궁 월지 출토 목조건축부재에 관한 연구, 2010,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효원, 손은미, 이선아, 권흥순, 동궁과 월지 출토건축 목부재의 결구특성, 고대건축 해석과 재현 공동 학술세미나,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9. 장기인, 한국건축대계V 목조, 보성각, 1911
  10. 정연상,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박사학위논문, 2006
  11. 정연상, 한국 전통 목조건축의 결구법 맞춤과 이음, 고려, 2010
  12. 정연상, 목조건축 결구와 기술의 현황과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