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etic Capa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nd Behavior Problem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연구

  • 채경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 Received : 2020.11.03
  • Accepted : 2020.11.23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behavior problem, and empathetic capabilit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hose the study participants among the North-Korean defect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high school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from April 4 to June 10, 2020. A total of 2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attachment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delinquency. Second, the parental attachment of the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empathetic capabilities. Third, the empathetic capabilities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delinquenc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linquency, the empathetic capabil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or psycho-therap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enhance the empathetic capabilities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while helping them form a healthy attachment to their parents in order to reduce their delinquency.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애착, 문제행동,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으로 탈북학생 중에서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으로 정하여 2020년 4월 4일부터 6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7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애착은 문제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애착은 공감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청소년의 공감능력은 문제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또는 상담심리 차원에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부모와 올바른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북하나재단, "북한이탈주민의 '착한(着韓)통계' 시리즈 : 북한이탈주민 가족 편, 2016년 12월 제15호," 남북하나재단 홈페이지: www.koreahana.or.kr 2020년 09월 08일 검색, 2016.
  2. 김유연, 손명아, 김석호, "가족과 사회적 관계가 탈북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41권, 제2호, pp.179-205, 2018.
  3. 원미순, 유영림, 방진희, "학교 밖 탈북청소년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 삶에 대한 이해(생애사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1호, pp.257-294, 2015. https://doi.org/10.22867/KAQSW.2015.9.1.257
  4. 김희경, 신현균,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비교: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20권, 제3호, pp.347-367, 2015. https://doi.org/10.18205/KPA.2015.20.3.006
  5. 조영아, 김연희, 김현아,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7호, pp.33-57, 2011.
  6. 이겨레,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호, pp.157-180, 2011.
  7. 한나, 이승연, 이지영,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적 차별감, 남/북 공동체 지지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31권, 제2호, pp.77-100, 2017. https://doi.org/10.21193/KJSPP.2017.31.2.005
  8. 모지환, 김연화, 유제민, "청소년의 애착과 자기통제가 심리적인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제20권, 제2호, pp.37-62, 2010.
  9. F. T. Melges and J. Bowlby, "Types of hopelessness in psychopathological proces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20, No.6, pp.690-699, 1969. https://doi.org/10.1001/archpsyc.1969.01740180074007
  10. 조민규, 김춘경, 송현정,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54-79, 2014.
  11. 한영주, 하창순,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육군병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805-81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805
  12. 송미옥, 이승희,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스트레스가 여중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제15호, pp.1-20, 2011.
  13. 채진영,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1호, pp.71-87, 2012.
  14. 박지언, 이은희,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문제행동: 공감능력의 조절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369-389, 2008.
  15. 심숙영,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애착유형과 영유아의 사회정서유능성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제25권, 제1호, pp.21-47, 2016.
  16. 박영숙,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44-154, 2012.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2.144
  17. 정명실, 아동의 공감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8. 최인화, 김현미,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부모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서정신과학, 제17권, 제1호, pp.113-126, 2014.
  19. 이하원, 채경희,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9호, pp.395-402, 2017.
  20. J. Bowlby, A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Basic books, 1988.
  21. F. Musgrove, Youth and social order,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4.
  22.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ce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3. 이지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애착, 자아방어기제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4. 김신동, 이주화, 박성혁, "북한 이탈 청소년의 법의식연구: 제 3 국 체류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57-80, 2013. https://doi.org/10.29175/KLREA.8.1.201304.57
  25. 김윤나,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교육적 함의," 통일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90-106, 2010.
  26. 오경자,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 K-YSR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001.
  27. 이찬주, 부모의 부부갈등과 아동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이혜수, 정옥분,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공격성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7-62, 2004.
  29. 이수국,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부부갈등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0. 목혜연,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심리적지지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1. 정슬기,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음주행위: 사회적 지지와 음주기대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2. 양계민, 황순택, "입국초기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9권, 제2호, pp.333-358, 2008.
  33. 정병호, 양계민, 이향규, 임후남, 황순택, 새터민 청소년 사회적응력 제고를 위한 교육방안 마련 연구, 교육정책연구 결과보고서, 경기도 교육청, 2006.
  34.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5. 고아라, 사이버 불링을 목격한 중학생 주변인의 실태 및 영향 변인 연구: 공감능력 및 사이버공간 특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6. S. Leiberg and S. Anders, "The multiple facets of empathy: a survey of theory and evidence," Progress in Brain Research, Vol.156, pp.419-440, 2006. https://doi.org/10.1016/S0079-6123(06)56023-6
  37. 윤선아, 통합 상화에서의 소집단 공감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 표현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8. S. Baron-Cohen, Zero Degrees of Empathy (홍승효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3.
  39. 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 연구(III)(연구보고 RR 2012-08), 2012.
  40. 맹영임, 길은배, 최현보, 탈북 청소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
  41. 이정숙, 백지은, "아동의 애착과 자아지각 및 행동문제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149-168, 2004.
  42. K. J. Simons, C. E. Paternite, and C. Shore, "Quality of parent/adolescent attachment and aggression in you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1, No.2, pp.182-203, 2001. https://doi.org/10.1177/0272431601021002003
  43. 문은식,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할 적응행동의 관계," 교육학연구, 제41권, pp.349-369, 2003.
  44. J. P. Allen, C. Moore, G. Kuperminc, and K. Bell, "Attachment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Vol.65, No.5, pp.1406-1419, 1998.
  45. T. M. Panfile and D. J. Laible, "Attachment security and child's empath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No.1982, pp.1-21, 2012.
  46. 김아영, 초등학생의 부모.또래 애착과 따돌림과의 관계: 공감과 갈등해결전략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7. 박상희, 이남옥,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가족과 상담, 제4권, pp.1-18, 2014.
  48. 김민주, 부모애착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9. 김정은, 도현심, 김민정, 김재희, "부모에 대한 애착이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적 역할," 아동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29-150,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3.129
  50. 차주환, 청소년의 신경증과 부모와의 애착안정성이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주의조절과 공감의 매개역할,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1. 윤세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또래관계에서 아동 공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2. 김지현, 부모와의 애착안정성 및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3. N. Eisenberg and P. A. Miller,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1, No.1, pp.91-119, 1987. https://doi.org/10.1037/0033-2909.101.1.91
  54. 김경아, 시간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5. E. Gullone and K. Robinson,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IPPAR) for children: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 Practice, Vol.12, No.1, pp.67-79, 2005. https://doi.org/10.1002/cpp.433
  56. X. Liu, Parenting practices and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in rural Chin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Harvard University, 2003.
  57. T. M. Achenbach,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Vermont, 1991.
  58.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in Psychology, Vol.10, pp.85-104, 1980.
  59. 김성은, 학생의 감정공명과 학업성적, 학급내 사회성, 학교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1. 김형민, 이은경,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과정 연구: 기독교인 재혼가정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2호, pp.243-26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