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rsonal Diaries in the Joseon Period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과 특징

  • Lee, Jong-suk (Artistic Heritage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종숙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9.09.29
  • Accepted : 2019.11.11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Joseon Dynasty (1392-1910) left behind a wealth of documentary heritage, includ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ersonal letters, and journals, as well as public documents such as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State Protocols (Uigwe). Such heritage also includes personal diaries that have been highly regarded for their frank and vivid records of people's lives in the Joseon period. There have been great diaries published and intended for reading by the Korean public, including War Diaries (Nanjung Ilgi, 1592~1598) by Yi Sun-sin and Diaries of Jehol (Yeolha Ilgi, 1780) by Park Ji-won. Unfortunately, a great majority of these personal records remain unknown to the world. Such great records have not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be documented properly, but are left outside public attention, abandoned to be damaged and destroyed. Few personal diaries of the Joseon period were written on good-quality paper. After the death of their authors, these diaries were left to be kept by their descendants; this explains why many of these records have been in poor condition, particularly when compared with the public record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 Joseon, such as Sillok and Uigwe, even when these were lucky enough to be taken care of by the authors' descendants. Even after surviving a long time, many of these personal records remain in the form of manuscripts, written in semi-cursive and cursive scripts of Chinese characters, thus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for the people of the current generation -- most of whom have not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t school -- to take care of their documentary heritage properly. Meanwhile, it is also true that, as the value of the public record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 Joseon as historical materials has grown, they are used more often as content for TV dramas such as Daejanggeum.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louder voices citing the need for the stud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ersonal diaries from Joseo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the personal diaries of Joseon as recently survey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subjects, and backgroun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ersonal diaries of Joseon.

조선시대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각종 『의궤』 등 공식 기록과 함께 각 개인이 남긴 문집이나 편지, 일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록유산이 있다. 그 가운데 독자를 염두에 두지 않은 개인 일기는 그 어떤 기록보다 솔직하고 생생한 현장감이 담겨 있기에 일찍부터 그 가치를 주목받아왔다. 그런데 이순신의 『난중일기』,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과 같은 유명한 몇몇 일기를 제외하고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세상에 쉽게 드러나지도 않고 제대로 정리되지도 못한 채 기록유산 보존·관리의 사각지대에서 훼손·유실되고 있다.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으로 작성 당시부터 좋은 품질의 종이를 사용한 경우가 드물다. 또한 작성자 사후(死後)에는 대부분 집안 후손에서 후손으로 전해지면서 보관되다보니 동시대에 제작된 실록, 의궤와 같은 기록유산보다 상태가 양호하지 못했던 역사적 환경이 있다. 또 간혹 보존 상태가 양호한 개인 일기를 접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이 정형화(整形化)된 활자본이 아니라 행·초서(行·草書)로 기록된 한문필사본(漢文筆寫本)이기 때문에 한글 전용 세대인 우리들이 정리하기에는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조선시대 관찬사료(官撰史料)의 방증사료(傍證史料)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대장금(大長今)>과 같은 사극의 콘텐츠로 활용도가 커질수록 조선시대 개인 일기에 대한 연구와 보존·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본고는 최근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한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을 분석하고 내용 분류와 시기별 특징에 대하여 개괄적인 검토를 하였다. 이들 검토 내용이 향후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연구 방향과 보존·관리에 일조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이 주관한 '조선시대 개인 일기 학술 심포지엄'에 발표했던 원고를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다.

References

  1. 심경호, 2019,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가치와 활용, 국립문화재연구소, pp.72-110
  2. 염정섭, 1997,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 역사와현실 제24집, 한국역사연구회, pp.237-263
  3. 정구복, 1996, 조선조 일기의 자료적 성격 정신문화연구 제19집, 한국학중앙연구원, pp.14-24
  4. 정하영, 1996, 조선조 '일기'류 자료의 문학사적 의의 정신문화연구 제19권 제4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25-43
  5. 최은주, 2009, 조선시대 일기자료의 실상과 가치 대동한문학 제34집, 대동한문학회, pp.5-40
  6. 한지희, 2011,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일기류의 현황과 성격 국립중앙도서관 선본 해제 13, 국립중앙도서관, pp.289-302
  7. 허경진, 2019,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의 토론문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가치와 활용, 국립문화재연구소, pp.160-165
  8. 황위주, 2007, 조선시대 일기자료의 현황과 활용방안 국역 조선시대 서원일기, 한국국학진흥원, pp.763-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