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totype and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the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통일신라시대 월지(月池) 입·출수 체계의 원형과 구조

  • Kim, Hyung-suk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Research Institute for Spiritual Environments)
  • 김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심우경 (세계상상환경학회)
  • Received : 2019.09.24
  • Accepted : 2019.11.03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quality issue of Wolji Pond (Anapji Pon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channel flow circulation system.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closely related to the circulation system of pond has been reviewed, rather than the exist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that has been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ater supply system, it has been learned that the water supply system on the southeastern shore of Wolji Pond, being the current water supply hole, has been connected to the east side garden facility (landscaping stone, curved waterway, storage facility of water) between the north and south fence and the waterway. This separate facility group seems to have been a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eastern side of Wolji Pond, with the landscaping stones having been identified in the 1920's survey drawings. The water supply facility on the southeastern shore, being the suspected water supply hole, seems to have some connection with the granite waterway remaining on the building site of Imhaejeon (臨海殿) on the southern side of Wolji Pond. It is inferred that it provides clean water, seeing that the slope towards the southwestern shore of Wolji Pond becomes lower, the landscaping stones have been placed in the filter area, and it is present in the 1920's survey drawings and the water supply hole survey drawing of 1975. The water drainage facility on the northern shore is composed of five stages. The functions of the wooden waterway and the rectangular stone water catchment facility seem not to be only for the water drainage of Wolji Pond. In light of the points that there are wood plugs in the wooden waterway and that there is a water catchment facility in the final stage, it is judged that the water of Balcheon Stream (撥川) may be charged in reverse according to this setup. Namely, the water could enter and exit in either direction in the water drainage facility on the northern shore It also seems that the supply to the wooden waterway could be opened and shut through the water catchment facility of rectangular stone group as well. The water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is very similar to the water drainage facility on the northern shore, so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belief that it existed during the Silla Dynasty, or it has been produced by imitating the water drainage facility on the northern shore at some future point in time. It seems to have functioned as the water drainage facility for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in Wolji Pond have been understood as a systematized distribution network that has been intertwined organically with the facility of Donggung Palac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Silla capital. Water has been supplied to each facility group, including Wolji Pond, through this structure; it includes the drainage system connecting to the Namcheon River (南川) through the Balcheon Stream, which was an important canal of the capital center.

연구는 월지(안압지)의 수질 관리 문제를 유지용수의 순환 체계와 연관지어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연못의 순환체계와 관련 깊은 입·출수 체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입·출수시설 외에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추정 입·출수시설을 분석하였다. 입수시설을 검토한 결과, 현재 입수구인 월지 동남측 호안 입수시설은 남북 담장을 사이에 두고 동편의 정원시설(경석, 곡수로, 저수시설)과 수로로 연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월지 동편 조사에서 별도의 시설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920년대 실측 도면에 경석군이 확인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추정 입수구인 남서측 호안 입수시설은 월지 서편 건물지 임해전(臨海殿) 터에 남아 있는 화강암 수로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월지 남서측 호안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고, 거름망을 꽂았던 홈, 1920년대 실측 도면과 1975년 측량 도면의 입수구에 경석이 배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깨끗한 물을 입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수시설과 관련하여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목제 수로와 장대석군 집수시설의 기능은 월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만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목제 수로에 나무 물마개가 있는 점과 마지막 단계에 집수시설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상황에 따라 발천의 물이 역으로 입수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양방향으로 물이 드나들었으며 장대석군 집수시설을 통해 개폐 가능한 목제 수로로 입수되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 출수구인 서측 호안 출수시설은 북측 호안의 출수시설과 매우 유사함을 볼 때 신라시대에 존재하였거나 후대의 어느 시점에 북측 호안 출수시설을 모방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정 외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조선시대 어느 시점까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출수시설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월지는 신라 왕경 중심부인 동궁의 시설과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체계화된 배수망에 의해서 입·출수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월지를 비롯한 각 시설군에 물이 입수되었으며 왕경 중심부의 중요한 인공 하천인 발천(撥川)을 통해 남천(南川)으로 연결되는 배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9년 5월 3일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발전시킨 것이다. 글이 나아질 수 있도록 조언과 심사를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경주시.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경주 東宮과 月池 서편 건물지 복원 고증 연구 및 실시설계 - 개요, pp.163-166
  2. 고경희, 1989, 안압지, 대원사, p.38, pp.34-36
  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4, 月城 地表調査 報告書, p.133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경주 동궁과 월지 I 발굴조사 보고서, p.15, 41, 68, 94, 117, pp.24-25, 62-64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경주 동궁과 월지 '가' 지구 기본정비계획, p.22
  6. 김동현, 1976, 경주 안압지 발굴에 관하여 건축 vol.20 no.5, p.38
  7. 김시습, 1583, 매월당집, 매월당시집, 권12, 유금오록
  8. 동궁과 월지 복원 실시설계, 동궁과 월지 현황배치도
  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a,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p.50, 56, 63, 69, 80
  10.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b,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 도판편, 별지 도면 1, 도면 2, 61, 62, 100, 도판 40, p.80
  11. 민주면.이채.김건준, 1669, 동경잡기 권2
  12. 박홍국, 2018, 신라 동궁지 石造水路의 기능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보 vol.43, pp.139-168
  13. (사)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최신 동양조경문화사, 도서출판 대가, p.75
  14. 안계복, 2015, 신라 동궁과 월지의 경관 변화 추정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p.15, pp.12-20
  15. 안서희, 2014, 통일신라시대의 궁원 월지의 입수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1
  16. 양정석, 2011,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 vol.154, p.33
  17. 오준영, 2018, 월지(月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出水施設)에 관한 고찰 문화재 vol.51 no.3, pp.72-87 https://doi.org/10.22755/kjchs.2018.51.3.72
  18. 이희준, 2012, '동궁과 월지' 동편 신라 왕경 유적의 조성 시기 및 성격 검토 한국고대사탐구 vol.11, pp.101-102
  19. 홍광표, 2016a, 경주에 조성된 신라시대의 園池 연구 신라문화 vol.48, pp.151-169
  20. 홍광표, 2016b, 월지 조성 목적의 중의성(重意性)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3, pp.67-77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3.067
  21. 原熙, 1932, 朝鮮新羅臨海殿庭園(-) 園芸学会雑誌 vol.3 no.2, p.19, 20, pp.12-22
  22. 경주시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
  23.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관리번호 CET006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