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egislative Study on Cultural HeritageBetween 1945 and 1960 - Focused 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Legislated in 1962 -

1945~1960년 문화재 관련 입법 과정 고찰 -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전사(前史) 관련 -

  • Kim, Jongsoo (Dept. of Education Pla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stitute of Traditional)
  • 김종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기획과)
  • Received : 2019.09.18
  • Accepted : 2019.11.06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Conservation Decree of the Chosun Treasures Historic and Natural Monu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servation Decree), which was ena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preserv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No. 100 of the constitutional law. However, legislative attempts were made to replace the Conservation Decree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early Korean Government. The first attempt was about the National Treasures Historic and Natural Monuments which were brought in by the Legislative Assembly of South Chosun (1947)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The second was a bill by the government for preservation of historical interests (1950), which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15, 1950 (the so-called Preservation Act (1950)). These two bills were amend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contents of the Conservation Decree. Afterwards, from 1952 to 1960, the legisl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1959) and the Cultural Heritage Bill (1960) were subsequently introduced and enacted. The government's attempt to enact such a cultural property bill was aimed at the legislature to replace the preservation order system that had been in effec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due to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these laws did not reach final legislation. In October 1960, the government enacted the Regula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which was an administrative edict that was promulgated and enacted in November. This was the first official cultural property decree introduced by the Korean government. With the enactment and promulg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January 1962, Korea's judicial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Korean government's unremitting efforts and experience in legisla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at contex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a historical produc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hich was enacted in 1962, is known to emulate or transplant Japan'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1950). It was not fully recognized that it was an extens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legislative process of cultural property during the period of 1945-1960.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legislative process of cultural property from 1945 to 1960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enacting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62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ultural Property Law.

일제강점기에 제정 시행된 문화재 보존 법제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은 제헌헌법 제100조 규정에 의해 광복 후에도 법적 효력이 지속되었다. 그런데 미군정기와 정부 수립 후에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을 대체하기 위한 입법 시도가 있었다. 그 첫 번째 시도는 1947년 9월 미군정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상정되었던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안」(일명 「보존법안(1947년)」)이고, 두 번째는 1950년 3월 15일 정부 발의 법안으로 국회에 제출된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안」(일명 「보존법안(1950년)」)이다. 이 두 법안은 기존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내용을 기초로 수정·보완된 것이었다. 그 후 1952년부터 1960년까지 「문화재보호법안(1959년)」과 「문화재법안(1960년)」이 잇달아 입법 추진되었다. 정부의 이러한 문화재 법안 제정 시도는 일제강점기부터 시행되어 오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체제를 입법을 통해 대체하려고 한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복잡한 정치 상황으로 인해 이 법안들은 최종 입법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1960년 10월 행정 입법인 「문화재보존위원회규정」을 제정하였고 11월 공포·시행하였다. 이는 한국 정부가 만든 최초의 공식적인 문화재 법령이었다. 1962년 1월 「문화재보호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한국의 주체적인 문화재 법제가 성립되었다. 이는 그간 한국 정부의 부단한 문화재 관계 입법 노력과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재보호법」은 법제사적으로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은 일본의 「문화재보호법(1950년)」을 모방 내지 이식한 것으로 알려졌을 뿐 그것이 광복 후 1945~1960년 기간에 있었던 한국 정부의 문화재 입법 과정의 연장선상에서 제정되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1945~1960년의 문화재 관계 입법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과정과 한국 문화재 법제 성립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필자의 2019년 박사학위논문 「한국 문화재 제도 형성 연구」 중 일부 내용(제3장)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References

  1.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안(1950년 정부안)(BA0135047)
  2. 문화재보존위원회규정 제56회 국무회의록, 1960년 11월 6일
  3. 문화재보존위원회규정 대한민국 관보 제2709호, 1960년 11월 10일
  4. 사찰령 중 개정, 제령 제9호 조선총독부 관보, 1929년 6월 10일
  5. 문교부, 1952,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위원회 임시위원 위촉에 관한 건(국가기록원 보관)
  6. 문교부,1955a,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부의안 작성의 건(국가기록원 보관)
  7. 문교부, 1955b,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위원 위촉의 건(국가기록원 보관)
  8. 문교부, 1955c,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제1차 총회 결의록(국가기록원 보관)
  9. 문교부, 1955d, 문화재 애호기간 실시요강(국가기록원 보관)
  10. 문교부, 1957, 제14회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부의사항(DA0122553)(국가기록원 보관)
  11. 문교부, 1960a, 문화재관계법령기초위원회 회의록(국가기록원 보관)
  12. 문교부, 1960b, 문화재법안 일부 개정안 서면심의 회부 건 1960년 문화재위원회 관계철(2-2)(CA0024144)(국가기록원 보관)
  13. 문교부, 1960c, 문화재보존위원회 규정안 이송의 건(국가기록원 보관)
  14. 문교부, 1960d, 문화재보존위원회 규정안 제정의 건(BA0230863)(국가기록원 보관)
  15. 문교부, 1960e, 문화재보존위원회규정 입안취지서(국가기록원 보관)
  16. 문교부, 1960f, 제35차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총회 회의록(국가기록원 보관)
  17. 문교부, 1960g, 제39차 문화재보존회 회의록(국가기록원 보관)
  18. 문교부, 1961a, 문화재보존위원회(제1차 운영회) 회의록(CA0024237)(국가기록원 보관)
  19. 문교부, 1961b, 제1차 문화재보존위원회 부의안(국가기록원 보관)
  20. 문교부, 1961c, 제1차 문화재보존위원회 회의록(CA0024237)(국가기록원 보관)
  21.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947a,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38차 속기록(略記) 제142호
  22.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947b,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속기록 제129호-제130호
  23. 김종수, 2019, 한국 문화재 제도 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44-174
  24. 노현식, 2018, 한국 문화재보호법 제정 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2, 53, pp.35-37
  25. 대한민국 국회, 1950, 제6회 국회 정기회의 속기록 제55호
  26. 문교부, 1988, 문교 40년사
  27. 문화재관리국, 1992a,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52년 12월 19일-1959년 10월 21일)
  28. 문화재관리국, 1992b, 조선총독부 및 문교부 발행 문화재 관계 자료집
  29. 오세탁, 2005, 문화재보호법원론, 주류성, pp.110-111
  30. 이홍직, 1950, 國寶古蹟攷 신천지 제5권 6호, 서울신문사, p.117
  31. 조부근, 2004, 잃어버린 우리 문화재를 찾아, 민속원, p.330
  32. 한국법제연구회, 1971, 미군정법령총람(국문판)
  33. 경향신문 1947.11.28/1948.3.28/1948.4.20/1949.5.13/1949.5.22/1950.3.18/1955.1.31
  34. 동아일보 1945.12.27/1946.4.12/1946.4.21/1946.6.23/1947.3.5/1948.3.28/1949.5.14/1949.7.14/1950.3.19/1950.3.31/1950.4.19/1958.3.27/1960.9.7
  35. 대구시보 1946.7.18
  36. 대중일보 1950.4.4
  37. 부인신문 1950.4.16
  38. 신조선보 1946.1.9
  39. 예술통신 1946.11.9/1946.11.28
  40. 연합신문 1950.5.29
  41. 조선일보 1958.7.26
  42. 중앙신문 1946.1.9/1946.4.13
  43. 한성일보 1946.4.26/1947.7.12
  44. 일본 정부, 문화재보호법 일본 관보 제7012호, 소화 25년 5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