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Nara Repository's Archival Culture Program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의 기록문화프로그램 운영 사례와 발전방안

  • Received : 2019.09.30
  • Accepted : 2019.10.21
  • Published : 2019.10.30

Abstract

Since the opening of the Nara Archives in 2008, we have been operating the Archival Culture Programs. Before the Presidential Archive's relocation to Sejo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the Nara Archives jointly operated the Archival Culture Programs. The Archival Culture Programs is operated not only by the National Archives, but also by Administration Archives, History Archives, and Presidential Archives. The operation frequency, planning, and composition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Here,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Programs composition and contents operated by Seongnam Nara Archive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rchival Cultural Programs of the archive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operation status.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은 2008년 개관 이후부터 현재까지 기록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통령기록관이 세종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대통령기록관과 나라기록관이 함께 기록문화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운영하기도 하였다. 기록문화프로그램은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뿐 아니라 행정기록관, 역사기록관, 대통령기록관에서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소속기관의 실정에 따라 운영횟수 및 기획, 구성 등의 방식은 다소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성남 나라기록관에서 운영되어온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등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지향해야 할 아카이브의 기록문화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9. 아카이브와 민주주의. 서울: 선인.
  2. 곽건홍. 2011. 일상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https://doi.org/10.20923/kjas.2011.29.003
  3. 장효정, 손날, 최효영, 김용. 2015. 집단탐구(GI)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51-8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051
  4. 김연주. 2009.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 건국60년 기념 전시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03-131.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2.103
  5. 박옥남, 박희진. 2017. 국회도서관 전시.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라키비움 운영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01-22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1.201
  6.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 기획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진영. 2012.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지윤. 2018. 국가기록원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재영. 2017. 국가기록원 서울기록관의 교육서비스 확대를 위한 진로체험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분석.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용. 2003. 한국 기록관리체제 성립과정과 구조 : 정부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8, 3-56. https://doi.org/10.20923/kjas.2003.8.003
  11. 이영남. 2018. 기록학과 교육적 관점 기록향연,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57, 165-234.
  12. 송나라, 이성민, 김용, 오효정. 2017.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개발. 기록학연구, 51, 89-132. https://doi.org/10.20923/kjas.2017.51.089
  13. 조민지. 2018. 국가기록 전시의 의미화에 대한 이용자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7, 5-33.
  14. Hendry.J. 2007.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opportunities for Archives. American Archivists,70. spring/summer: 114-129. https://doi.org/10.17723/aarc.70.1.v674024627315777
  15.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8. 2018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집.
  16.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7. 국가기록원 주요업무 참고자료집.
  17.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6. 국가기록원 주요업무 참고자료집
  18.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 2019. 2019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19. 국가기록원. 각년도 국가기록백서(2008-2018).
  20. 국가기록원. 각년도 기록문화프로그램 계획(안) 및 운영 결과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