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성준,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11호, pp.13-2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013
- 한기규, 20대와 30대 성인의 ASMR 이용 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유튜브 ASMR 영상 이용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70291&fbclid=IwAR2FnM79lHdGWciZRCApGR6THfTcrIA1jSl40yioPtO2IhFJAPh5rXQtJog
- 김자경, 이정기, "20대 대학생들의 무자극 영상 콘텐츠 지속적 이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무자극 영상 콘텐츠 이용동기, 스트레스, 외로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2호, pp.29-52, 2018.
-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 이재찬, 김정룡, "자율감각쾌락반응(ASMR) 사운드 콘텐츠의 이완효과 분석," 전자공학회논문지, 제56권, 제3호, pp.139-145, 2019.
- 김수정, "ASMR의 감각적 친밀감과 젠더/섹슈얼리티에서의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4호, pp.171-196, 2018.
- 장세연, 박진서, 류철균,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4호, pp.269-287, 2016.
- https://ko.wikipedia.org/wiki/자율_감각_쾌락_반응
- E. L. Barratt and N. J. Davi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A flow-like mental state," PeerJ, 2015.
- 정민주, ASMR 이용 동기와 충족: 플로우 경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date=today%205-y&geo=KR&q=asmr
- E. L. Barratt, C. Spence, and N. Davis, "Sensory determinants of the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Understanding the triggers," Peer, 2017.
- B. Fredborg, J. Clark, and S. Smith,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traits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Frontiers in Psychology, 2017.
- 육주원, 권은아, 윤신웅, "디지털 돌봄과 친밀감- 한국ASMR 콘텐츠 특성과 커뮤니티 사례 연구," 인문콘텐츠, 제48권, pp.315-353, 2018.
- J. Anderson, "Now you've got the shivers: Affect, intimacy, and the ASMR whisper community," Television & New Media, Vol.16, No.8, pp.683-700, 2015. https://doi.org/10.1177/1527476414556184
- 한영주, 하주용, "미디어 이용 동기, 개인적 성향, 인지된 개혁의 특성이 1인 미디어 방송 시청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과 '개혁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여름호, pp.152-190, 2019.
- 이성준,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2호, pp.405-41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05
- 진보래, 양정애,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39-271, 2015.
- 이창훈, "개인성향과 미디어 이용 만족감, 즐거움 간에 세컨스크린 이용의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417-446, 2014.
- 염정윤, 정세훈,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한국언론학보, 제63권, 제1호, pp.7-45, 2019.
-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81
- 이은지, 박수현,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5권, 제3호, pp.501-517, 2015.
- K. Moore and J. C. McElroy,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Facebook usage, wall posting, and regr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264-274, 2012.
- 황선경, 이혜진, 박형인, "상사에 대한 표면행위가 부하직원의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 상사 및 부학직원의 신경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1권, 제2호, pp.387-408, 2018. https://doi.org/10.24230/KSIOP.31.2.201805.387
- X. Zhang, Y. Wu, and S. Liu, "Exploring short-form video application addiction: Socio-technical and attachment perspectiv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In press, Vol.42, 2019.
-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 Vol.50, pp.179-21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AIM-NM,"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5호, pp.448-479, 2011.
- 이봉규, 이성준, 서현식, 김준호, "사회문화적 요인과 플로우 경험 및 지각된 행위통제가 IPTV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05-119, 2010.
- 최진명, "스트레스 정도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효과: 무드관리이론의 시각에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216-242, 2007.
- http://www.segye.com/newsView/20190315511067?OutUrl=naver
- D. Zillmann, "Moo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Selective Exposure Theory," In M. E. Roloff (Ed), Communication Yearbook, 23, pp.103-123, Thousand Oaks, CA:Sage, 2000.
- 장재윤, Allison. L. Cool, Stephanie C. Payne, "근로자들의 하루 근무시간 동안의 정서 역동: 신경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6권, 제2호, pp.219-243, 2013.
- 김수안, 민경환,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pp.45-66, 2006.
- 오이줜, 조재희, "넷플릭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대만의 이용자에 대한 국가 간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341-375, 2017.
- N. Smith and A. M. Snider, "ASMR, Affect and Digitally-mediated Intimacy," Emotion, Space and Society, Vol.30, pp.41-48, 2019. https://doi.org/10.1016/j.emospa.2018.11.002
- R. Fidler, Mediamorphosis: Understanding new media, Pine Forge Pres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