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10.112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ages of ASMR Cont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Neuroticism  

Lee, Sungjoon (청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SMR are becoming a new consumption trend with wide prevalence of personal web-casting and video-sharing platform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looked at what factors determine usage of ASMR contents. In greater details, demographic variables, sub-types of contents, usage motivations, neuroticism and subjective norm were considered as possible determinants in this study. And their influences on ASMR usage were empiricall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uroticism was also examined. The findings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as one of demographic variables, two sub-types of scratching and eating sound, three motivational factors including attention, relieving for sleep disorder and pleasure stress relief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SMR usage while motivations of curiosity trend and sexual pleasure have negative influences. The moderating effect of neuroticism was also empirically prove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since it suggests that personal traits including neuroticism as influencing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understanding usage behaviors of ASMR contents with accuracy.
Keywords
ASMR; Moderating Effect; Neuroticism; Usage Motivation; Continuous Us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성준,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11호, pp.13-29, 2018.   DOI
2 한기규, 20대와 30대 성인의 ASMR 이용 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유튜브 ASMR 영상 이용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70291&fbclid=IwAR2FnM79lHdGWciZRCApGR6THfTcrIA1jSl40yioPtO2IhFJAPh5rXQtJog
4 김자경, 이정기, "20대 대학생들의 무자극 영상 콘텐츠 지속적 이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무자극 영상 콘텐츠 이용동기, 스트레스, 외로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2호, pp.29-52, 2018.
5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DOI
6 이재찬, 김정룡, "자율감각쾌락반응(ASMR) 사운드 콘텐츠의 이완효과 분석," 전자공학회논문지, 제56권, 제3호, pp.139-145, 2019.
7 김수정, "ASMR의 감각적 친밀감과 젠더/섹슈얼리티에서의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4호, pp.171-196, 2018.
8 장세연, 박진서, 류철균,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4호, pp.269-287, 2016.
9 https://ko.wikipedia.org/wiki/자율_감각_쾌락_반응
10 E. L. Barratt and N. J. Davi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A flow-like mental state," PeerJ, 2015.
11 정민주, ASMR 이용 동기와 충족: 플로우 경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2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date=today%205-y&geo=KR&q=asmr
13 E. L. Barratt, C. Spence, and N. Davis, "Sensory determinants of the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Understanding the triggers," Peer, 2017.
14 B. Fredborg, J. Clark, and S. Smith,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traits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Frontiers in Psychology, 2017.
15 이성준,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2호, pp.405-418, 2018.   DOI
16 육주원, 권은아, 윤신웅, "디지털 돌봄과 친밀감- 한국ASMR 콘텐츠 특성과 커뮤니티 사례 연구," 인문콘텐츠, 제48권, pp.315-353, 2018.
17 J. Anderson, "Now you've got the shivers: Affect, intimacy, and the ASMR whisper community," Television & New Media, Vol.16, No.8, pp.683-700, 2015.   DOI
18 한영주, 하주용, "미디어 이용 동기, 개인적 성향, 인지된 개혁의 특성이 1인 미디어 방송 시청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과 '개혁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여름호, pp.152-190, 2019.
19 진보래, 양정애,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39-271, 2015.
20 이창훈, "개인성향과 미디어 이용 만족감, 즐거움 간에 세컨스크린 이용의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417-446, 2014.
21 염정윤, 정세훈,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한국언론학보, 제63권, 제1호, pp.7-45, 2019.
22 황선경, 이혜진, 박형인, "상사에 대한 표면행위가 부하직원의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 상사 및 부학직원의 신경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1권, 제2호, pp.387-408, 2018.   DOI
23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DOI
24 이은지, 박수현,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5권, 제3호, pp.501-517, 2015.
25 K. Moore and J. C. McElroy,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Facebook usage, wall posting, and regr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264-274, 2012.
26 X. Zhang, Y. Wu, and S. Liu, "Exploring short-form video application addiction: Socio-technical and attachment perspectiv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In press, Vol.42, 2019.
27 최진명, "스트레스 정도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효과: 무드관리이론의 시각에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6호, pp.216-242, 2007.
28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 Vol.50, pp.179-211, 1991.   DOI
29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AIM-NM,"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5호, pp.448-479, 2011.
30 이봉규, 이성준, 서현식, 김준호, "사회문화적 요인과 플로우 경험 및 지각된 행위통제가 IPTV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05-119, 2010.
31 김수안, 민경환,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pp.45-66, 2006.
32 http://www.segye.com/newsView/20190315511067?OutUrl=naver
33 D. Zillmann, "Moo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Selective Exposure Theory," In M. E. Roloff (Ed), Communication Yearbook, 23, pp.103-123, Thousand Oaks, CA:Sage, 2000.
34 장재윤, Allison. L. Cool, Stephanie C. Payne, "근로자들의 하루 근무시간 동안의 정서 역동: 신경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6권, 제2호, pp.219-243, 2013.
35 오이줜, 조재희, "넷플릭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대만의 이용자에 대한 국가 간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341-375, 2017.
36 N. Smith and A. M. Snider, "ASMR, Affect and Digitally-mediated Intimacy," Emotion, Space and Society, Vol.30, pp.41-48, 2019.   DOI
37 R. Fidler, Mediamorphosis: Understanding new media, Pine Forge Pres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