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atisfactions in Woodworking Product Making Program Using Design Thinking

목공 제품 제작 활동에서 디자인 씽킹의 활용이 학생들의 만족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7.25
  • Accepted : 2019.09.1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technology teachers in woodworking products(birdhouse) making program using design thinking. Survey responses are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s(SPSS ver.20) such as satisfaction,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difficulties and causes of difficulti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of 33 students who conducted experience program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o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otal satisfaction about experience programs is 4.39, which is somewhat high. The highest average response is 'feelings of accomplishment' and 'advice in the surroundings'(M = 4.46).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grade. The students interest in group-based different birdhouse woodworking together with the help of the surrounding people by the process of design thinking rather than practice to follow. Therefore, I'd like to recommend to other students due to this program shows a high self-confidenc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Second, the total average response of students 'self-confidence for problem solving at the group based making experience program using design thinking is 3.80. In result of group activities, the students have self-confidence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al with difficult situations'. Later, in making programs, complementing difficulties of making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ir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confidence, between 'I have the ability to solve many problems' and 'I always have the ability to cope with new and difficult business situations'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elf-confide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teaching learning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problem solving ability. Fourth, in the new design and making process not a given product design, the most difficult step is 'the process of rework and modifying idea product'. The main reason tha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the production process is 'lack of knowledge and ability to produce'. To make various woodworking products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it can be helpful to make works if you have enough training on woodworking and design thinking before product mak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eam-based learning using design thinking that helps improv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s high. Therefo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other making activity program that design thinking is applied and analyzed can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목공 제품(새집, Birdhouse) 제작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디자인 씽킹 활용이 예비기술교사인 대학생들의 만족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 대상자는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체험활동을 실시한 33명 대학생들이며, 설문 문항은 만족도, 문제해결 자신감, 어려웠던 점 및 어려움 원인 등이며,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 활동에 대한 전체 만족도 평균은 4.39로 다소 높은 편이다. 응답 평균이 가장 높은 것은 '제작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주위의 조언이 도움 됨'(M=4.46)이었다. 남녀별,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학생들은 주어진 작품이 아닌 조별로 디자인 씽킹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새집을 제작하여 흥미로웠고 만족하였다. 따라서 문제해결 자신감, 성취감과 만족도가 높아 다른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하므로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제작 체험 활동 프로그램은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조별 체험활동 후 문제해결 자신감 응답 평균은 3.80 정도이다. 학생들은 조별로 새집 제작 체험 활동을 통해서 문제해결능력과 어려운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등 문제 해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추후 체험활동에서는 어려웠던 점을 분석하여 보완하면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설문 문항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나에겐 여러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다'와 '나는 언제나 새롭고 어려운 상활을 대처할 능력이 있다'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문제해결능력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주어진 설계도가 아닌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작품 아이디어의 수정·발전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어려움을 느낀 가장 큰 원인은 '해결 지식 부족과 제작 능력 부족'이다. 따라서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목공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 전에 목공 및 디자인 씽킹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는다면 작품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종합한 결과,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팀별 학습은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다른 체험활동에서 디자인 씽킹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0], 3-44.
  2. 김지혜, 이건남, 최지연(2017). 초등학교 교사의 목공교육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4), 241-269.
  3. 문성환, 이훈욱(2011). JIGSAW III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4), 45-60.
  4. 박헌미(2010). 중학교 기술 교육에서 목공 실습과 좌우뇌 활용과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5(1), 175-195.
  5. 변현정(2015).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3), 149-167.
  6. 서응교, 전은화, 정효정(2016).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693-718.
  7. 심연현, 이춘식(2008). 실과'목공수업'에서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4(4), 49-68.
  8. 이명화, 이정민(2018). 대학교육에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25-41.
  9. 이민경, 강호양(2008). 목공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찰. 한국가구학회, 19(5), 403-410.
  10. 이춘식(2016). 실과 목공 활동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 분석과 미래 지향적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3), 133-147.
  11. 이춘식(2006). 실과 목공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교육논총, 26(2), 95-209.
  12. 송은진 역(2014). 스탠퍼드 대학의 디자인 씽킹 강의 노트. 인서트:서울.
  13. 조경덕 역(2003). 창조력 사전. 매일경제신문사.
  14. 한상석(2011). 개인차를 고려한 목제품 구상과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7(3), 59-82.
  15. 디자인 씽킹 워크시트(2019). https://dschool.stanford.edu에서 검색함(2019.7.25.)
  16. 디자인 씽킹(2019). https://ko.wikipedia.org/wiki/디자인_씽킹에서 검색함(2019.7.25.)
  17. 디자인 씽킹 사례(2019).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20942581에서 검색함 (2019. 7. 25).
  18. 스탠포드대 디자인스쿨(2019). https://dschool.stanford.edu 에서 검색함(2019.7.20.)
  19. IDEO(2013).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oolkit from https://designthinkingforeducators.com/toolkit/ 에서 검색함(2019.7.25.).
  20. Heppner, P. P., & Peterso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21. Kelley, T., & Kelley, D. (2013). Creative confidence: Unleashing the creative potential within us all. New York: Drown Business.
  22. Wrigley, C., & Straker, K. (2017). Design thinking pedagogy: The educational design ladder.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54(4), 374-385. https://doi.org/10.1080/14703297.2015.1108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