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and Welfare Policy in Korea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 교육 및 복지정책의 개선방안

  • Received : 2019.06.10
  • Accepted : 2019.08.05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educational sites such as kindergartens. Since the multicultural attitudes and consciousness of young children are unconsciously acquired through parents' words and school education, they emphasized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home and kindergarten.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only b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also in the homes of children.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r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are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their actual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이 유치원과 같은 교육현장에만 국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유아의 다문화적 태도와 의식은 무의식적으로 부모의 언행과 어린 시기 학교교육을 통해서 습득되기 때문에 가정과 유치원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즉, 다문화 교육은 단순히 교육현장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유아들의 가정내의 교육도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는 점무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과 양육실제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 관한 부모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또한 부모를 위한 다문화 교육 및 복지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표 1> 다문화가정의 구성

SOJHB6_2019_v4n2_29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영옥(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143-164.
  2. 박영은(1995), "세계화의 지형변화와 문화적 갈등", 정신문화연구 60(1995.10), 97-118.
  3. 손정미.구경선(2008), "다문화 교육에 대한 보육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보육정책연구, 제4권 2호 (2008년 12월), 39-62.
  4. 양옥승(1997),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3: 다문화주의의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 5(1997.12), 49-66.
  5. 윤경선.김영옥(2006), "유아 교수.학습 유형이 친사회적 행동, 또래 인기도, 사회인지 및 언어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151-174.
  6.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수미(1999), "미술을 통한 유아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형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영석(2007), "다문화시대 현장유아교육의 나아갈 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7년 2월), 55-75.
  9. 장영희(1997),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교수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35(1997.2), 295-314.
  10. 정선희(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연희(2008), "우리나라 다문화 이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정남(2001), "일본의 단일민족 정책", 민족연구. 제7호, 2001. 9, 44-74.
  13. 채정란(1999),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나라 생활주제 분석",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경자(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적응", 전주교육대학원 석사학워논문.
  15. 김성화(2008), "다문화가정 지원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현미(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경제화 사회 통권 제70호, 한국산업사회학회.
  17. 문순영(2007), "현행법(안)을 통해 본 국제결혼 여성이주민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에 대한탐색적 연구", 여성연구 통권 제72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8. 민경자(2003), "충남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착지원 방안 연구",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19. 박정희(2008), "한국사회 내 다문화 가정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의 현황", 청주대학교 국제협력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