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on, Development and Task of the Health Insurance Act

건강보험법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과제

  • 전광석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12.11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Health insurance is the main instrument to protect the people against sickness. To examine the task of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xtract and understand the components formed in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benefit related and n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insurance itself. The health insurance oriented itself to the universal coverage at a law level. Paradoxically this worked positively for the universal development of the health insurance. The task of the health insurance is on the one hand universal, positive and open. On the other hand it has to shape type of allowed method, art and content of the medical treatments into the regulation to ensure the equal benefit as well as the financial stability. That is, the health insurance should check the aberrant medical treatment,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compensated for the their necessity and effectiveness. However there are always som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both requirements. This article aims to restate and analyse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 insur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ormed hitherto show the way to reform the health insurance. The problem to enhance the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its institutional as well as financial crisis, its peculiar governance would be handled.

건강보험은 국민의 건강을 보장하는 헌법적 과제를 실현하는 주축 수단이다. 건강보험의 과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우리 건강보험의 특성, 건강보험 자체의 급여와 관련된 특성 및 규범적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리 건강보험은 낮은 수준의 보편적 평등을 지향하였다. 이는 역설적으로 건강보험을 보편화하는 데 유리한 상황이 되었다. 건강보험의 과제는 포괄적이며, 적극적·개방적이다. 그러나 건강보험은 평균적 진료와 재정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정형화된 진료의 종류와 내용 및 방법을 규범화하여야 한다. 건강보험은 한편으로는 이를 벗어나는 진료를 통제하여야 하지만, 다른 한편 진료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기준으로 이를 보충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두 요청은 일치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이 글은 위와 같은 건강보험의 특성을 기준으로 건강보험의 역사를 정리하고, 앞으로 남겨진 과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하는 목적을 갖는다. 건강보험이 처한 새로운 상황에서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부분적으로 강화하는 문제, 건강보험의 제도 및 재정위기의 구조적 문제, 건강보험에 특유한 거버넌스와 관련된 현재의 문제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철, "임의비급여 관련 진료비청구요건으로서의 의학적 필요성에 대한 검토", 저스티스, 2013. 4.
  2. 권오탁, "국민건강보험법 상 의사결정구조의 문제와 개선방안", 사회보장법학 제5권 1호, 2016.
  3. 김나경, 의료보험의 법정책-기초법 이념과 법실무, 집문당, 2012.
  4. 김종수, "임의비급여에 관한 사회보장법적 검토", 사회보장법연구 창간호, 2012.
  5. 김연명, "비정규직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 확대", 한국사회복지학 제45권, 2001.
  6. 박경숙, "공적연금과 사적 퇴직급여의 연계; 퇴직준비금 전환에 따른 과제와 대책", 사회보장연구 제9권, 1993.
  7. 박근갑, 복지국가 만들기-독일 사회민주주의의 기원, 문학과 지성사, 2009.
  8. 박지용, "빈곤과 건강보험법", 사회보장법학 제2권 1호, 2013.
  9. 박지용, "건강보험에 있어서 임의비급여 규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법학연구 제21권 3호, 경상대 법학연구소, 2013.
  10. 성은미, "비정규노동과 사회보장", 이호근(편), 비정규노동과 복지, 인간과 복지, 2011.
  11. 송호근, 의사들도 할 말 있었다, 삼성경제연구소, 2001.
  12. 신영전, "글로벌 경제위기와 의료보장의 사각지대", 한국사회정책 제17집 1호, 2010.
  13. 심창학,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보험과 연금", 이호근(편), 비정규노동과 복지, 인간과 복지, 2011.
  14. 양재모, 사회보장제도 창시에 관한 건의, 보건사회부 건강보험제도 연구원, 1961.
  15. 의료보험연합회, 의료보험의 발자취(1996년까지), 1997.
  16. 이규식, "건강보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사회보장연구 제18권 2호, 2002.
  17. 이상돈, "국민건강보험법상 상대가치점수 직권조정의 합법성에 대한 법이론적 분석", 고려법학 제65호, 고려대 법학연구원, 2012.
  18. 이종찬, "건강보험 재정위기에 대한 분석-의료정책사적 관점", 보건과 사회과학 제22집, 2007.
  19. 이종찬, 한국의료 대논쟁, 소나무, 2000.
  20. 이진석, "보건의료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김병섭 외, 우리 복지국가의 역사적 변화와 전망,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5.
  21. 전광석, 복지국가론-기원.발전.개편, 신조사, 2012.
  22.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의 역사, 집현재, 2019.
  23. 정창률.권혁창.남재욱, "한국 건강보험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0권 2호, 2014.
  24. 정창률.문용필,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평가 및 향후 과제", 사회보장연구 제33권 3호, 2017.
  25. 정철, "건강보험상 임의비급여 허용의 문제점", 법학논총 제24권 1호, 국민대, 2011.
  26. 최호영, "건강보험체계와 임의비급여", 사회보장법연구 제2호, 2012.
  27. 최천송, 한국사회보장연구사, 한국사회보장문제연구소, 1991.
  28. 하명호, "임의비급여 진료행위의 허용 여부에 관한 공법적 고찰-대법원 2012.6.18. 선고 2010두27639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평석", 의료법학 제14권 2호, 2013.
  29. 허순임, "한국 민간의료보험의 발달과 의료정책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정책 제20집 1호, 2013.
  30. Ulrich Becker,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 zwischen Markt und Regulierung; Reform des Gesundheitssystems und ihre europaischen Perspektiven", Juristen Zeitung (1997).
  31. Ulrich Becker, "Verfassungsrechtliche Vorgaben fur die Krankenversicherung der Rentner - zur Bedeutung des Gleichheitssatzes bei der Bemessung von Sozialversicherungsbeitragen", Neue Zeitschrift fur Sozialrecht (2001).
  32. Ingwer Ebsen/Astrid Wallrabenstein, "Krankenversicherungsrecht", Ruland/Becker/Axer(편), Sozialrechtshandbuch(Nomos, 2018).
  33. Hans Michael Heinig, "Huter der Wohltaten?", Neue Zeitschrift fur Verwaltungsrecht (2006).
  34. Stefan Huster, "Die Beitragsbemessung in der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Juristen Zeitung(2002).
  35. Karl Peters, "Fragen zu einer Verbreitung der Beitragsbemessungsgrundlage in der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Festschrift 50 Jahre Bundessozialgericht (C.F.Muller, 2004).
  36. Roy Lubove, The Struggle for Social Security 1900-1935(Pittsburgh University Press, 1986).
  37. Gerhard A. Ritter, Sozialversicherung in Deutschland und England(C.H.Beck, 1983).
  38. Hans F. Zacher, "Sozialstaat und Gesundheitspolitik", Hans F. Zacher, Abhandlungen zum Sozialrecht II(C.F.Mull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