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parametric design methodology for 3D modeling parameters of biomorphic clothing sculpture

파라메트릭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바이오모픽 의상조각 모델링 프로세스와 구성요소 분석

  • Yoo, Young-Su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
  • Cho, Min-J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19.04.08
  • Accepted : 2019.06.19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othing component information and attributes as the control parameters for the 3D modeling process of the biomorphic clothing sculpture using a parametric methodology. The 3D modeling parameters of biomorphic clothing sculpture were identified as exaggerated silhouette, surface texture, and digital color. The types of exaggerated silhouettes were shoulder and hip exaggeration, shoulder exaggeration, hip exaggeration, vertical exaggeration, and horizontal exaggeration. The types of surface texture were embossed, lacy, furry, and complex textures. The types of digital color were chrome, blur, blend, and acid colors.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due to the attributes of these control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morphological variation, organic morphology, organizational morphology, and realistic morpholog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arameter attributes were applied to the biomorphic clothing sculpture parametric design process and developed into various shapes.

Keywords

References

  1. 강가애, 윤재은. (2008). 디지털 공간에서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7(3), 156-164.
  2. 고흥권. (2009). 디지털 공간에서 자연모사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8. 5-12.
  3. 권수환, 박승화, 전한종. (2013). 논문: 개방형BIM 적용 한옥 부재의 특징형상기반 형상모델링 자동구축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12(2), 199-214.
  4. 권수환, 전한종. (2014).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반 한옥 부재의 지식 표현과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0(7), 101-110.
  5. 김석태. (2003). 논문 : 디지털 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비유클리드 기하학적 성향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4(1), 187-195.
  6. 김용일, 양관목. (2015). 파라메트릭 모델링과 BIM을 이용한 SPC 적용 실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7(5), 51-57.
  7. 김원갑. (2011). 생물학적 자기조직화와 현대건축 디자인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7(4), 181-190.
  8. 김정혜(1998). 예술의상에 관한 연구 (1). 복식, 38, 159-178.
  9. 김현주, 이재규. (2014).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을 적용한 브랜드 쇼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30, 199-211.
  10. 김호수, 오주영,박영신. (2012). 생물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정형구조물의 패턴생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8(8), 53-60.
  11. 남상원. (2010). 파라메트릭 디자인 이론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이너 전문가 교육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3(2), 70-90.
  12. 바이오모픽 아트. 월간미술. 자료검색일 2016. 10. 29. 자료출처 http://monthlyart.com/encyclopedia/
  13. 박수연. (2017). 파라메트릭 방법론을 적용한 바이오모픽 의상 조각(Biomorphic Clothing Sculpture) 지식 기반 모델링 구성 요소와 프로세스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정대. (2012). 디지털 형태생성 방법론에 관한 연구: 파라메트릭 알고리즘이 적용 된 비정형 건축물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1), 577-586.
  15. 서혁준. (2014).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파라메트릭 모델링 효용성에 관한 연구-자동차 패턴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49, 6-15.
  16. 엄소희. (2010). 프랙탈 기하학의 원리를 통한 현대 복식의 다의적 표현성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8(4), 703-716.
  17. 윤명철, 고성룡. (2011). 디지털 공간에서 BIM기반 비정형 파라메트릭 형태 생성에 관한 연구-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파라메트릭 공간정의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3), 79-86.
  18. 윤민희. (2012).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조형 예술의 표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300-311.
  19. 이경수, 김영인. (2018).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과 3D프린팅을 활용한 패션상품 프로토타입 프로세스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411-423.
  20. 이명식. (2009). 건축디자인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5), 165-172.
  21. 이성수. (2009). 비정형 건축 구조 설계에서의 파라메트릭 디자인에 대한 이해. 전산구조공학, 22(5), 8-14.
  22. 이성종, 안성모. (2018). 테셀레이션을 통한 패러메트릭 패턴의 생성적 특성 연구. 기초조형학 연구, 19(5), 529-544.
  23. 이종석, 황선정. (2017). 3D 프린팅 테스트를 통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입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3), 148-160.
  24. 이종우. (2008). 수학적사고의 아름다운 산물. 경문사.
  25. 이진욱. (2011). 생성적 디자인을 이용한 가구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프랙탈 기하학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적용한 가구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 89-97.
  26. Alec. (2015. 5. 26). Melinda Looi & Materialise showcase gorgeous Gems of the Ocean 3D printed gown.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www.3ders.org
  27. Amandine Richardot. (2018. 1. 24). 3D printed fashion: Why is additive manufacturing interesting for fashion?.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www.sculpteo.com
  28. Dan Howarth. (2013. 3. 7). 3D-printed dress for Dita Von Teese by Michael and Francis Bitonti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www.dezeen.com
  29. Greenbaum, T. (1994), Bizarre Bijoux: Surrealism in Jewelry. The Journal of Decorative and Propaganda Arts, 20, 197-207.
  30. Henning, E. B. (1979), A Painting by Joan Miro, The Bulletin of the Cleveland Museum of Art, 66(6), 235-240.
  31. Kira. (2015. 4. 5). Emirati designer Khulood Thani creates Dubai's first 3D printed dress.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www.3ders.org
  32. Neri Oxman. (2014). Zuhal.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neri.media.mit.edu
  33. Paul, C. (2007). 디지털아트:예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조충연 역). 서울:시공사,
  34. Rose Etherington, (2010. 8. 1). Crystallization by Iris van Herpen, Daniel Widrig and MGX by Materialise.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www.dezeen.com
  35. Tatiana. (2013. 9. 25). 3D printing dresses from NY Fashion Week to the Jewish Museum.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s://i.materialise.com
  36. 8 Strangely Fascinating and Innovative Fashion Designers.(nd).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 출처 https://scene36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