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rso shape analysis of new senior women for the aged society

고령사회를 대비한 뉴 시니어 여성의 체간부 체형 분석

  • Uh, Mi-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Kim, A-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9.03.30
  • Accepted : 2019.06.19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new senior women's torso shap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7th Size Korea, which analyzed 412 women between the ages of 55-69.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20 indices, including eight based on circumference, eight based on height and length measurements, and four based on torso flattening.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uggest five main factors: torso silhouette, longitudinal size of the body, torso flattening rate, abdominal shape, and posterior longitudinal size.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suggest three overall types: Type 1 is the inverted triangular obese shape which is characterized by large breasts, small buttocks, a short height, and a forward-bending posture; Type 2 is the rectangular, slim shap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forward neck and a flat front and back of the torso, and is the most slender among the three types; Type 3 is the large rectangular, overall obese shap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round shape with large breasts, waist, and buttocks, and a forward-bending posture with a protruding back, and this is the most obese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ross-tabulation, women aged 55-59 showed no trend in body shape; women aged 60-64 showed an increases in the inverted triangular obese shape and the large rectangular, overall obese shape; women aged 65-69 showed an increase in the large rectangular, overall obese shape and a decrease in the rectangular slim shape. In summary, new senior women showed body shape characteristics of being short, more obese having, a bent over posture. As they grew older, the curves disappeared, and the body becomes rounder. The study found that variation in body shape exists among new senior women in the aged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술표준원. (2010). 제 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사업. 충북.
  2. 국가기술표준원. (2015). 제 7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사업. 충북.
  3. 강은아. (2018). 뉴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과 쇼핑 성향에 따른 패션제품 구매행동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경선, 한현숙, 남윤자. (2017). 한국 성인여성의 연령대별 체형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1), 49-60. https://doi.org/10.5805/SFTI.2017.19.1.49
  5. 김경애. (2003).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슬랙스 원형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보아. (2015). 한국 성인남성의 배부위와 상반신 측면체형 분류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수아, 최혜선. (2009). 인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한 실버 여성 3차원 체형 연구. 복식문화연구, 17(6), 1099-1111.
  8. 김수아, 강여선, 정명숙. (2015). 실버여성의 신체 불편 및 의복불편 실태조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4), 41-54.
  9. 김아영. (2019). 시니어 시프트를 고려한 고령 여성의 체형 분류와 토르소 원형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인순, 성화경. (2002). 노년기 여성의 체형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27-38.
  11. 김효숙, 이소영, 김지민, 이준혁. (2012). 50-60대 여성의 체간부 체형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6(3), 311-323. https://doi.org/10.5850/JKSCT.2012.36.3.311
  12. 김효숙, 최창숙, 김지민. (2017). 시니어 여성을 위한 팬츠 패턴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8(3), 68-84.
  13. 법제처. (2016).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세종.
  14. 보건복지부. (2012). 2012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 5기 3차년도.
  15. 성옥진, 김숙진. (2015).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비만여성의 체형연구. 복식문화연구, 23(5), 755-767. https://doi.org/10.29049/RJCC.2015.23.5.755
  16. 심정희, 함옥상. (1996). 중년 여성의 체형에 관한 연구 -40-55세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1), 128-141.
  17. 여혜린. (2008). 노년기 여성의 상의 패턴 설계를 위한 몸통 체형 분류.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0(5), 2937-2951.
  18. 이소영, 김효숙. (2004). 60대 노년 여성의 체간부 체형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8(11), 1426-1437.
  19. 이수연, 천종숙. (2015). 한국 중년기와 노년기 여성의 상반신 체형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3(3), 512-522.
  20. 이양경, 이정임. (2009). 노년여성의 측면 변형체형 분석(제2보) -측면 변형체형의 유형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9(2), 59-74.
  21. 이은경. (2001). 노년여성의 체형분석 및 의류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정. (2006). 노년기 여성의 체형 연구에 대한 이론적 분석.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1), 35-41.
  23. 임팩트. (2017). 고령화시대의 유망고령친화산업 (실버산업) 분야별 시장동향 및 관련 산업동향. 서울: 임팩트.
  24. 차수정. (2017).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노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60대 여성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18(4), 390-402.
  25. 최순화. (2016). 뉴노멀 시대의 마케팅. 서울: 세종서적.
  26. 최유미. (1994). 중년기 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재성, 장인협. (2016).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8. 통계청. (2016). 장래인구추계: 2015-2065. 대전:통계청.
  2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고령사회, 시니어시프트(Senior Shift)에 대응하는 국내외 비즈니스 혁신사례. 고령친화산업 레포트.
  30. 현대경제연구원. (2016). 시니어시프트 도래에 따른 경제환경 변화와 기업대응 트렌드. 통권 653호.
  31. 허소미. (2016). 시니어 여성의 체형변화분석을 통한 브래지어 디자인 차별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KIET 산업경제. (2018). 우리나라 고령층의 특징과 소비구조 변화. 세종: 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