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 알고리즘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Mining Frequent Contiguous Sequence Patterns in Biological Sequences (생물학적 서열들에서 빈발한 연속 서열 패턴 마이닝)

  • Kang, Tae-H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27-31
    • /
    • 2007
  • 생물학적 서열 데이터는 크게 DNA 염기 서열과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이 있다. 이들 서열은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항목들을 가지고 있어 그 길이가 매우 길다.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는 보통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분 연속 서열들이 존재하는데 이들 서열들을 찾아내는 것은 다양한 서열 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에는 Aprior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순차패턴 마이닝 알고리즘들을 활용하는 방법들이 많이 제시되었다. 그중 PrefixSpan 알고리즘은 Apriori기반의 가장 효율적인 순차패턴 마이닝 기법이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은 길이-1인 빈발 패턴들로부터 서열 패턴을 확장해나가는 방식으로 길이가 긴 연속 서열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 대한 검색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최근에는 기존의 PrefixSpan방식을 이용하면서도 반복적인 처리과정을 줄인 MacosVSpan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 또한 원본 데이터베이스보다 크기가 큰 별도의 프로젝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서 많은 비용부담이 발생하고 특히 길이가 긴 서열에 대해서는 더욱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 많은 양의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로부터 빈번한 연속서열을 고정길이 확장 트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MacosVSpan알고리즘에 비해 검색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한다.

  • PDF

Computational Method for Searching Human miRNA Precursors (인간 miRNA 전구체 탐색을 위한 계산학적 방법)

  • Nam, Jin-Wu;Joung, Je-Gun;Lee, Wha-Ji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88-297
    • /
    • 2003
  • 본 논문은 진화 알고리즘(Evolutionary algorithm)의 기법중의 하나인 유전자 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을 이용하여 miRNA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있다 miRNA는 세포내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중지시킴으로써 유전자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작은 RNA 집단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miRNA를 유전체 데이터에서 동정해내는 작업은 생물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 한편 유전체 데이터에서 miRNA를 동정해내는 알고리즘은 생물학적 실험에서의 시간과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으로 miRNA를 동정하는 많은 어려움을 덜어주게 된다. 하지만 계산학적으로 miRNA의 동정은 1차 염기서열상의 통계적인 중요도가 부족하여 기존의 유전자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iRNA의 염기서열보다는 2차구조에서 더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는 점을 착안하여, 2차구조내에서 공통적인 구조를 찾아내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miRNA를 동정해내는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우리는 test set을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의 특이도(= 34/38)와 민감도(= 38/67)를 계산하였다. 평가결과 본 알고리즘이 기존의 miRNA 예측 프로그램보다 높은 특이도를 갖고 있으며, 유사한 수준의 민감도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A DNA Sequence Generation Algorithm for Traveling Salesman Problem using DNA Computing with Evolution Model (DNA 컴퓨팅과 진화 모델을 이용하여 Traveling Salesman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한 DNA 서열 생성 알고리즘)

  • Kim, Eun-Gyeong;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2
    • /
    • pp.222-227
    • /
    • 2006
  • Recently the research for 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 using DNA computing with massive parallelism has been.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in real biological experiments because the conventional method didn't reflect the precise characteristics of DNA when it express graph. Therefore, we need DNA sequence generation algorithm which can reflect DNA features and reduce biological experiment erro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NA sequence generation algorithm that applied DNA coding method of evolution model to DNA computing. The algorithm was applied to TSP, and compared with a simple genetic algorithm. As a result, the algorithm could generate good sequences which minimize error and reduce the biologic experiment error rate.

Mining Maximal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in Biological Data Sequences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서 빈번한 최대길이 연속 서열 마이닝)

  • Kang, Tae-Ho;Yoo, Jae-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5D no.2
    • /
    • pp.155-162
    • /
    • 2008
  • Biological sequences such as DNA sequences and amino acid sequences typically contain a large number of items. They have contiguous sequences that ordinarily consist of hundreds of frequent items. In biological sequences analysis(BSA), a frequent contiguous sequence sear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Many studies have been done for mining sequential patterns efficiently.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for mining sequential patterns are based on the Apriori algorithm. In particular, the prefixSpan algorithm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sequential pattern mining schemes based on the Apriori algorithm. However, since the algorithm expands the sequential patterns from frequent patterns with length-1, it is not suitable for biological dataset with long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In recent years, the MacosVSpan algorithm was proposed based on the idea of the prefixSpan algorithm to significantly reduce its recursive process. However, the algorithm is still inefficient for mining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from long biological data sequ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mine maximal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in large biological data sequences by constructing the spanning tree with the fixed length.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 experiments in various environments. As the result,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uch more efficient than MacosVSpan in terms of retrieval performance.

Mining Maximal Frequent Contiguous Sequences in Biological Data Sequences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들에서 빈번한 최대길이 연속 서열 마이닝)

  • Kang, Tae-H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45-648
    • /
    • 2006
  • 생물학적 데이터 서열에는 크게 DNA 서열과 단백질 서열이 있다. 이들 서열 데이터들은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걸쳐 매우 방대한 양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서열은 수백 또는 수천 개의 항목들을 가지고 있어 길이가 매우 길다.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변형, 또는 변이로부터 보존된 영역이나 특정 패턴들을 서열 안에 포함하고 있는데 생물학적 서열 데이터에서 보존된 영역이나 패턴들은 계통발생학적 근거로 활용 될 수도 있으며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도 한다. 따라서 서열들로부터 빈번하게 발생하는 패턴을 발견하고자 하는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초창기 Apriori 알고리즘을 변형하여 빈발 패턴을 발견하고자 하는 노력들로부터 근래에는 PrefixSpan 트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성능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여러 번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요구되고 있어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접미사 트리를 변형하여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많은 서열들로부터 빈번하게 발생하는 연속적인 서열을 효과적으로 발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ata Mining Techniques for Analyzing Promoter Sequences (프로모터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 김정자;이도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328-332
    • /
    • 2000
  • As DNA sequences have been known through the Genome project the techniques for dealing with molecule-level gene information are being made researches briskly. It is also urgent to develop new computer algorithms for making databases and analyzing it efficiently considering the vastness of the information for known sequenc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studies the association rule search algorithms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mea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romoter sequences and gene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areas in molecular biology. This paper treat biological data, while previous search algorithms used transaction data. So, we design a transformed association nile algorithm that covers data types and biological propertie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time and the cost for biological experiments by minimizing their candidates.

  • PDF

Data Mining Techniques for Analyzing Promoter Sequences (프로모터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 김정자;이도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4 no.4
    • /
    • pp.739-744
    • /
    • 2000
  • As DNA sequences have been known through the Genome project the techniques for dealing with molecule-level gene information are being made researches briskly. It is also urgent to develop new computer algorithms for making databases and analyzing it efficiently considering the vastness of the information for known sequenc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studies the association rule search algorithms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mea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romoter sequences and gene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areas in molecular biology. This paper treat biological data, while previous search algorithms used transaction data. So, we design a transformed association rule algorithm that covers data types and biological propertie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time and the cost for biological experiments by minimizing their candidates.

  • PDF

Association Rule Discovery for Sequence Analysis (서열 분석을 위한 연관 규칙 탐사)

  • 김정자;이도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1-93
    • /
    • 2001
  • 최근 지놈(Genome) 프로젝트를 통해 핵산, 단백질 서열 정보가 밝혀짐에 따라 분자 수준의 유전자 정보를 다루는 기법들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방대한 서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부족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와 컴퓨터 알고리즘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단백질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서열 정보간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탐사하기 위한 서열 연관 규칙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원자 항목을 취급하였던 기존 알고리즘과는 달리 중복을 반영해야 하는 서열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실험을 단백질 서열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여러 서열에 빈발하게 발생하는 부 서열 집합을 찾고, 부 서열 집합들간에 존재하는 관련성을 탐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탐사된 규칙으로부터 다른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할 수 있고, 이 정보는 필요로 하는 생물학적 분석을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실험 대상의 후부조합을 최소화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PD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Softwares for Haplotype Reconstruction (Haplotype Reconstruction 소프트웨어의 성능 평가 및 비교)

  • 김상준;나경락;여상수;김성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13-315
    • /
    • 2004
  •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은 생물학적 다양성에 관한 연관성 연구(Association Study)에서 이용되어지고 있다. haplotype을 구하기 위해 genotype data를 Haplotype Reconstruction을 하여 한 가닥씩 분리를 한다. Haplotype Reconstruction의 방법은 생물학적 접근법(molecular method)과, 계산적 접근방법(in-silico method)으로 연구되고 있다 계산적 접근법은 생물학적 접근법에 비해 적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장점을 지니지만, phase problem으로 인하여 생물학적 접근법에 비해 정확도가 낮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러 알고리즘들과 프로그램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된 프로그램들에 대해서 다양한 테스트를 통한 각 프로그램의 성능 비교를 하였고,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PDF

LD-based Algorithm for Haplotype Block Partitioning (Haplotype 블록 분할을 위한 LD 기반 알고리즘)

  • 나경락;김상준;여상수;김성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31-333
    • /
    • 2004
  • 본 연구는 Haplotype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별개의 Haplotype의 수를 최소화하는 블록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ulti-population case인 Haplotype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패턴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볼록 분할 방법은 전산학적인 최적해의 의미를 가지게 되며, 이와 더불어 생물학적인 의미를 가지는 블록 경계를 찾기 위해 |D'| 을 계산하고 LD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LD는 블록 분할 알고리즘에서 블록 결정 함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정은 X$^2$-test를 통해 이루어졌다. 많은 Sample로 구성된 Haplotype 데이터로부터 평균 패턴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긴 블록 길이를 가지는 블록 분할의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