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Self-regula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4.15
  • Accepted : 2019.05.31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by utiliz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mong four-year-olds. Methods: A total of 52 four-year-olds(control group 26, experimental group 26) attending two classes at D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ll participants individually took a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strument and rated their self-regulation with a teacher.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COVA in the way of sett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nd post-test score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First, the total and subarea of self-regul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car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Keywords

BOJGB2_2019_v15n3_6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 개발 진행 절차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일반적 특징

BOJGB2_2019_v15n3_61_t0001.png 이미지

표 2.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

BOJGB2_2019_v15n3_61_t0002.png 이미지

표 3.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 계획안(1차시)

BOJGB2_2019_v15n3_61_t0003.png 이미지

표 4.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 계획안(2차시)

BOJGB2_2019_v15n3_61_t0004.png 이미지

표 5.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별 개념과 문항 수 및 신뢰도

BOJGB2_2019_v15n3_61_t0005.png 이미지

표 6.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별 측정방법 및 점수범위와 신뢰도

BOJGB2_2019_v15n3_61_t0006.png 이미지

표 7.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사전, 사후 및 조정된 사후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BOJGB2_2019_v15n3_61_t0007.png 이미지

표 8. 유아의 자기조절력 사후점수의 공분산분석 결과

BOJGB2_2019_v15n3_61_t0008.png 이미지

표 9.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 및 조정된 사후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BOJGB2_2019_v15n3_61_t0009.png 이미지

표 10.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사후점수의 공분산분석 결과

BOJGB2_2019_v15n3_61_t0010.png 이미지

표 10. 계속

BOJGB2_2019_v15n3_61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정화 (2008). 반편견 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윤우 (2014). 협력중심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5. 권수영 (2009).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원의 (2018). 생활주제 연계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효진 (2016). 사회.정서적 보드게임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기숙 (2016). 협동활동을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명화 (2010). 이해중심 유아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민희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선화 (2014). 소집단중심의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세정, 김희태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5), 259-280.
  13. 김수혜 (2013).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언경 (2015).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영희 (2008).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 및 협동적 집단게임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우영, 김영옥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263-290. doi:10.18023/kjece.2014.34.3.013
  17. 김푸름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주도적 그룹게임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현희 (2011). 구성주의에 근거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희태, 이임순 (2009).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20. 라현정, 정계숙 (2013). 그림책의 갈등상황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혁신연구, 23(1), 45-67.
  21. 박민아 (2011). 협동활동을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 32(2), 23-43.
  22. 박유미 (2008). 친사회적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7(1), 19-35.
  23. 박은서, 이경님 (2017). 미술 통합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95-119. doi:10.20437/KOAECE22-1-04
  24. 박지영 (2010). 동화를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혜경 (2014). 협동적 게임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변영계, 김광휘 (1999).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7. 신현옥 (1996). 자신과 타인이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양옥승 (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29. 엄정애 (2004). 유아의 충동성 기질 및 사회극놀이 참여도와 자기규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5), 72-92.
  30. 염연정 (2009).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오영란 (2008). 협동미술활동에 있어서 집단구성방법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2001).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양서원.
  33. 이수기 (200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수진 (2012).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연수 (2000). 또래 간 협동적 문제해결이 유아의 조망수용 능력과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현정 (2016). 인성관련 동화책을 활용한 협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임효정 (2018). 숲 활동을 통한 융합인재교육이 유아의 메타인지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현정 (2014). 따돌림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이 만 4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주경선 (2016).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게임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차지혜 (2016).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미선 (2001).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타인과의 상호작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사전:용어편.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43. Blair, C., & Razze,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doi:10.1111/j.1467-8624.2007.01019.x
  44. Carver, C. S. & Scheier, M. F. (2013). Self-regulation of action and affect.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2nd ed., pp. 3-21). New York: Guilford Press.
  45. Cole, P. M., Michel, M. K., & Teti, L. 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73-102. doi:10.1111/j.1540-5834.1994.tb01278.x
  46. Girolametto, L., Weitzman, E., & Greenberg, J. (2004). The effects of verbal support strategies on small-group peer interaction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5(3), 254-268. doi:10.1044/0161-1461(2004/024)
  47. Hudson, L. M., Forman, E. A., & Brion, M. S. (1982). Role taking as a predictor of prosocial behavior in cross-age tutors. Child Development, 53(5), 1320-1329. doi:10.2307/1129022
  48. Johnson, D., & Johnson, R. (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9.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10.1037/0012-1649.18.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