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Contribu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Public Librar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of Busan City

  • 윤희윤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경희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9.03.28
  • 심사 : 2019.05.16
  • 발행 : 2019.05.31

초록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 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 직업탐색, 진로탐방 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 직업탐색 중 강연 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focuses on the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educational policy that links career re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career search in middle school, and career planning in high school. This system was fully implemented in 2016 and public libraries also provided various programs. This study analyz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city and demonstrated the contribution of local development. As a result, career and job search, career exploration and experience, and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programs contributed to local knowledge culture, reading culture, learning culture, living culture and leisure culture. However, contribution of reading exhibitions, job experience,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to the leisure culture and local economy were limi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all libraries should add programs related to knowledge ecosystem structure, digital information gap, human healing, social environment issues, future job prospects, and provide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키워드

MHJBB6_2019_v53n2_2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자유학기제 활동영역과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및 프로그램 서비스

<표 1> 국민의 문화예술 공간별 이용률(복수 응답, 단위: %)

MHJBB6_2019_v53n2_29_t0001.png 이미지

<표 2> 한국도서관협회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지원(2017-2018)

MHJBB6_2019_v53n2_29_t0002.png 이미지

<표 3>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설 현황(2018년 하반기)

MHJBB6_2019_v53n2_29_t0003.png 이미지

<표 4> 자유학기제 관련 ‘진로 • 직업 탐색용 도서목록 및 서평집’ 배포와 전시(4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4.png 이미지

<표 5> 자유학기제 연계형 ‘꿈을 찾아 떠나는 진로여행’ 프로그램(사하도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5.png 이미지

<표 6>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연계형 ‘진로독서 • 토론’ 프로그램 및 각종 행사(8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6.png 이미지

<표 7> 자유학기제 연계형 ‘지역 역사문화 탐방’ 프로그램(중앙도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7.png 이미지

<표 8> 자유학기제 연계형 프로그램의 ‘일자리 창출 기여’ 사례(중앙도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8.png 이미지

<표 9> 자유학기제 연계형 ‘사서직 체험’ 프로그램(4개관)

MHJBB6_2019_v53n2_29_t0009.png 이미지

<표 10> 자유학기제 연계형 ‘정보해득력 교육’ 과정(사하도서관)

MHJBB6_2019_v53n2_29_t0010.png 이미지

<표 11>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도

MHJBB6_2019_v53n2_29_t0011.png 이미지

참고문헌

  1. Kwon, Eun-Kyung. 2017. "A Study on Effective Counterplan of Library to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49-76. https://doi.org/10.16981/kliss.48.4.201712.49
  2. Kim, Nara and Choi, Jiwon. 2014.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Free Learning Semester through Foreign Cases Analysis based on Ireland, Denmark, Sweden, and United Kingdom."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7(3): 199-223.
  3. Noh, Young Hee and Kim, Hye In. 2016.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Libraries' Role by Using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93-122.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93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Sejong: MCST.
  5. Yoon, Hee Yoon. 2015.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20. https://doi.org/10.16981/kliss.46.201512.1
  6. Yoon, Hee Yoon. 2017. Public Library: Axiom & Sound Argument. Daegu: Taeilsa.
  7. Yi, Jaehee. 2016. "Analysis of Public Library Programs about Adolescent Career Search -Mainly the Case of Bucheoncity Wonmi Public Library." Digital library, 82: 86-105.
  8. Lim, Mi Hwa. 2014. "The Public Library's Career-searching Reading Education, which Cultivates One's Dreams and Talents: Focused on the Jeongdok Public Library's Reading Discussion Program." Digital library, 73: 29-55.
  9.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7-2018. Report on Humanities Projects on the Road. Seoul: KLA.
  10.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8. Humanities Projects on the Road(2018. 05. 03). [online] [cited 2018. 10. 31.]
  11. Hoang, Gum-Sook and Kim, Soo Kyoung. 2016.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Reading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Free-semeste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3): 99-12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3.099
  12. Joanna, Sin Sei-Ching and Vakkari Pertti. 2015.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U.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3): 209-219. https://doi.org/10.1016/j.lisr.2015.04.009
  13. Marino, Mina Di and Kimmo Lapintie. 2015. "Libraries as Transitory Workspaces and Spatial Incubator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2): 118-129. https://doi.org/10.1016/j.lisr.2015.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