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and meanings in the volume of Korea red ginseng trade in late chosun dynasty

조선후기 고려홍삼 무역량의 변동과 의미

  • Received : 2019.01.06
  • Accepted : 2019.01.24
  • Published : 2019.03.0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official Korea Red Ginseng(Hongsam) trade in 19th century. The Hongsam trade activities of the 19th century also show that the collected amount of Posam taxes (Hongsam taxes) alone outweigh the amount of cost spent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o launch tributary actions. It is quite obvious that the Chosun dynasty, supported by the developed techniques of ginseng cultiva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managed to stop the silver leaks while also stimulating the domestic commerce, handicraft business and mining operations, by exporting Hongsam to China and importing raw material and other finished products in return. The Chosun government also managed to secure considerable amount of marginal profit which at times mounted to almost 2 hundred thousand Nyangs of silve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nks to this Hongsam trade activities, and accumulated the hoof-shaped pieces of silver ingot at the office of Ministry of Taxation. Even under the mostly undesirable political environment featuring unjustified deeds of the powerful houses, the commercial activities were being strongly maintained, and the transactions conducted by merchants of the Gaeseong, Euiju areas and the capital city were prospering.

이 논문은 1797년 고려홍삼 무역이 포삼제(包蔘制)라는 공식적인 제도로 시행된 이후 그 수출량과 홍삼세의 규모를 살핌으로써 고려홍삼 무역의 변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고려 홍삼무역은 조선 정부가 받아들이는 세금만으로도 공무역의 비용을 능가하였다. 조선은 인삼을 재배하는 농업기술과 저장 기간을 늘리는 홍삼 증포 기술을 바탕으로, 은화의 유출을 막고 중국의 완제품 및 원료를 들여와 국내 상업계와 수공업 및 광업부문을 자극했다. 더우기 조선정부는 고려 홍삼수출로 19세기 후반 매해 20만 냥에 달하는 재정 수입을 올릴 수 있었고, 한때는 중국에서 말굽 모양의 은을 사와서 호조에 비축하기도 했다. 세도정권하에서도 상업계가 전반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개성상인 의주상인 서울상인의 활동이 두드러진 것은 이러한 사정에 따른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용만지, 열하일기
  2.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3. 今村革丙, 人蔘史, 조선총독부전매국, 1940
  4. 김종원, 근세 동아시아 관계사 연구-조청교섭과 동아삼국교역을 중심으로-, 혜안, 1999
  5. 이철성, 조선후기 대청무역사연구, 국학자료원, 2000
  6. 田代和生,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硏究, 1981, 創文社
  7. 전해종, 한중관계사연구, 일조각, 1970
  8. 오 성, 조선후기 인삼무역의 전개와 삼상의 활동, 세종사학1, 1992.
  9. 유승주, 조선후기 대청무역의 전개과정-17.8세기 부연역관의 무역활동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8, 1970.
  10. 이철성, 대원군 집권기 포삼 무역정책과 해상 밀무역, 조선시대사학보35, 2005.
  11. 이철성,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한국실학연구 20, 2010.
  12. 이철성,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한국실학연구 20, 2010.
  13. Lee, Chulsung, Reevaluation of the Choson Dynasty's Trade Relationship with Ch'ing Dynast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3, 2002.
  14. 이헌창, 한국 전근대 무역의 유형과 그 변동에 관한 연구, 경제사학 36, 2004.
  15. 전해종, 청대 한중조공관계 종고, 진단학보 29.30,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