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ving Hanbok design using denim material and Korean patchwork 'Jogakbo' motif

데님 소재와 조각보 모티프를 활용한 생활한복 디자인

  • Lee, Si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Yo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9.01.27
  • Accepted : 2019.02.1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arious directions of living hanbok and proposed the living hanbok design that integrated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as well as the past and present with denim material that represents the youth cultureby while using the motif of Korean Jogakbo. For the research method, the data on living hanbok, denim, and Jogakbo were surveyed to develop and produce a living hanbok design. The development of a living hanbok design emphasized the meaning of longing for an accumulation of good fortune, by using the concept of 'wishing for fortune' including the symbolic images of denim and Jogakbo. The produc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gakbo motif consisted of patterns yearning for harmony, great fortune, longevity, and many children, and the living hanbok design integrated with the denim material symbolized the convergence of the past and present and the harmony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e study could verify that the living hanbok design was recreated in a contemporary sense to be used everyday by expressing contemporary senses in a traditional image. Second, leftover fabric pieces and recycled materials that can be abandoned by the material market were used for denim. This study could also develop the living hanbok design as a sustainable design through upcycling, an important social trend, puting an emphasis on carrying out socio-ethical responsibilities. Third, denim Jogakbo work, which is connected by small pieces of denim material, used to be a difficult and labor intensive handicraft, but it could be proposed as a new high value-added fashion and generate contemporary living hanbok with a new image.

Keywords

References

  1. 금기숙. (2012). 생활한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자료검색일 2017. 10. 10, 자료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6717
  2. 김미영. (2013). 현대 여성한복에 나타난 퓨전 스타일의 표현적 특성 연구. 한복문화, 16(2), 123-139.
  3. 김미진, 김혜영, 조우현. (2005). 근대이후 여성 생활한복의 특징 및 변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137-158.
  4. 김민정, 채금석. (2002). 진즈 패션의 상징성 연구: 해외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복식, 52(7), 155-166.
  5. 김월계. (2011). 전통 배자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1), 105-115.
  6. 김정미. (2014). 현대 데님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과 미적 특성 연구: 2001년 이후 여성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27-39.
  7. 김지연. (2009). 조선시대 조각보의 색채와 면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포럼, 19(19), 27-36.
  8. 김현희. (2009), 아름다운 우리 전통 보자기 만들기, 서울: 미진사
  9. 임승은. (2015). 거리로 나온 한복. 보그코리아. 검색일 2017. 11. 27, 자료출처 www.vogue.co.kr/2015/08/07/거리로-나온-한복
  10. 박수현. (2017. 3. 29). 봄날 맞은 한복업계... '고루한 명절옷'에서 '우아한 일상복' 으로 탈바꿈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7. 10. 12. 자료출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9/2017032901688.html
  11. 박영선. (2003).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5(1), 19-25.
  12. 박영선. (2005). 생활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55(1), 25-42.
  13. 안명숙. (2006). 우리 옷 이야기. 서울: 예학사.
  14. 안명숙, 김은정, 양숙향. (1998). 현대 생활한복 형성의 배경과 방향. 한국복식학회지, 39, 91-98.
  15. 엄경희, 최유미. (2011).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활용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345-357.
  16. 유관순. (2012). 생활한복 상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15(1), 69-83
  17. 이경희. (2006). 복식의 아이템. 서울: 경춘사.
  18. 이미란, 김혜경, 송혜련. (2016). 생활한복의 문화관광 상품화를 위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3), 15-27.
  19. 이미숙, 염혜정. (2008). 진즈의 패션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2), 319-330.
  20. 이상은. (2000). 생활한복 제작업체의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 97-112.
  21. 이인영, 김수경. (2006). Jeans의 커뮤니케이션 변화,1. 생활과학연구논집, 26(1), 45-65
  22. 이주원. (2002). 생활한복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방안. 한복문화학회지, 5(4), 87-95
  23. 정옥임. (2010). 한복두루마기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71(81), 71-81.
  24. 정용순. (2016).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조형디자인연구, 19(4), 9-28
  25. 정혜경. (2010). 생활한복의 형성 배경과 그 내용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복식학회지, 51(2), 27-42.
  26. 정혜경. (2010). 현대 한복: 1984-2008. 경남: 경남대학교 출판부.
  27. 조말희. (2014). 조각보에 나타난 패치워크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12(1), 40-50.
  28. 조민숙, 이미석, 김정호. (2013).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3(5), 51-60.
  29. 조아라, 박명자, 이연희. (2011). 현대 여성 데님 패션의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2), 133-146.
  30. 최선미, 양숙향. (2007). 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여성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2), 145-150.
  31. 최예빈, 김지은, 이현화. (2016). 생활한복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분석 연구: 2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1), 411-422.
  32. 최원형. (2017. 7. 27). 어디에나 있지만 하나뿐인 청바지. 한겨레신문. 자료검색일 2017. 10. 16, 자료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804625.html#csidxd48bb1ba3b17512988ff aa836b65944
  33. 황의숙. (2009). 디자이너 이리자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한복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12(2), 43-60.
  34. 허동화. (2006), 우리가 알아야한 규방문화, 서울: 현암사
  35. Michel Pastoureau. (1998). 블루, 색의 역사: 성모마리아에서 리바이스까지. 서울: 한길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