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Measures for Enhancing Professional Safety Sheriff's Specialty

안전보안관 전문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 Received : 2019.07.17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afety sheriffs and their necessity in order to improve the activation of safety sheriff's professionalism. Seven security sheriffs were finally selected to discuss their activities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We conducted semi - structured interviews and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limited data and inadequate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get the help of citizens, citizens and residents. If the state wishes to reduce the number of safety accidents and bring positive results to the public, it should not rely solely on the utilization of institutions. Second, in order to be a safe sheriff with a positive response from the local residents, the activities of the sheriff's sheriff are not only aimed at preventing risks in the environmental domain and reducing the number of accidents, Publicity should be provided to the landlord, tenant, and residents to inform them that the activity is preventive of accident prevention. Third, under the current law, it is necessary to disclose public facilities such as roads, airports, and harbor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monitor school facilities and youth training facilities. Fourth, the safety sheriff is expected to put forward the expectations and positive results of prevention through the beginning of the inspection activities, and the role of the Korean people in becoming psychological stable and efforts to be born as safety experts are requir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crete manual, strategic safety inspection plan.

안전보안관의 역할과 필요성 분석을 통하여 논의함으로써 국민에게 희망이 되는 안전보안관 전문성 재고를 위한 활성화 개선방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안전보안관 7명을 최종 선정하여 활동을 파악하고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반구조화된 면담을 활용하였고 한정된 자료, 부족한 선행연구에 적합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안전보안관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제시하기 위해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국민, 시민, 주민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안전사고 감소와 긍정적 결과 도출로 국민의 안녕 된 삶이 영위되어지기 위한 목적을 국가가 원한다면 기관들만의 활용에만 의지하는 것은 안 된다. 둘째,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호응을 얻어 활동하는 안전보안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전보안관의 활동이 환경영역의 위험성 예방을 위한 파악과 사고 발생 수치를 낮추는 역할일 뿐 주변인들에게 피해를 주기위한 목적이 아닌 것으로 각인되어질 수 있도록 건물주 또는 세입자, 주민들에게 사고방지 예방 활동임을 알리는 홍보가 되어야 한다. 셋째, 현행법상 학교시설, 청소년 수련시설 등 감시가 가능하도록 법에 따라 공개하고 정부는 국가안전대진단을 계기로 도로·공항·항만 등 공공시설을 민간에게도 적극 공개해야 한다. 넷째, 안전보안관은 우선점검 활동의 시작을 통하여 반드시 예방된다는 기대감과 긍정적인 결과들을 내놓아 대한민국 국민들이 심리적 안정을 갖게 되는 역할과 안전 전문가로 탄생되는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매뉴얼의 전략적 안전점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철 (2017).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국내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측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헌 (2018). 안전보안관시스템이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여성안심귀가보안관/마을안전 보안관.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오규선 (2015).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책임전가의식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위국환 (2017).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초등학교 교육 종사자의 안전의식 실태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솔지, 이주락 (2016). 지하철보안관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9, 133-154.
  6. 이의형 (2015).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선 방안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정용배 (2017). 소방조직의 업무표준 개선방안.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조민희 (2012). CPTED를 적용한 범죄예방의 학교 안전 확보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조은주 (2017). 유치원의 안전문화 실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학제 (2017). 제조업의 안전 분위기와 근로자의 안전행동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미현 (2016). 진료실 안전사고에 의한 치과위생사의 외상 경험 실태 및 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행정안전부(http://www.mois.go.kr)